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생애
2. 작품세계
2.1. 현실의식과 자아인식
2.2. 실향의식과 방랑의식
2.3. 초인의지와 미래 염원
3. 작품 구조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생애
2. 작품세계
2.1. 현실의식과 자아인식
2.2. 실향의식과 방랑의식
2.3. 초인의지와 미래 염원
3. 작품 구조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이들 시어들은 결국 잃어버린 조국과 투쟁하는 지사(志士)들의 표징이고, 이들 시어들의 결합으로 표현된 밝고 청초한 감각은 물론 청포도라는 한 사물을 통해 이육사의 끝없는 향수와 아름다운 우정, 그리고 어떤 대상에 대한 끈질긴 기다림과 미래에의 염원을 정서적으로 미화하고 있다. 박성옥, 앞의 논문, p. 36
3. 작품 구조
육사 시의 형태구조 먼저 살펴보면, 대부분의 육사의 시 작품들은 정형적 형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규칙적 시행 배열과 분연 의식의 정형성이 특징인데, 이처럼 거의 기계적인 형태적 정형성을 바탕으로 구성상의 안정과 균형의 감각을 추구한 점이 육사시의 특징이다.
특히 시행과 연 구분의 방식은 고백적이고 서술적인 내용에 균형감과 질서감을 주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연의 분단이 잘 나타난 시는 그의 대표작 <절정(絶頂)>이다. 응결된 이미지의 선명한 부조와 간결한 시행, 생략과 압축의 강한 긴장미를 지닌다. 특히 전구와 결구의 전환과 상징은 눈부시다.
정형 의식 외에도 육사는 시 형태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모색을 보여준다. 그는 단순한 서술형의 어미보다는 청유, 영탄, 의문, 명령형 등의 어미를 즐겨 활용하여 시에 고전적 어감, 의지적 자세 및 감정적 격렬성과 순정성을 보태준다. 시행의 운율적 배열에 의한 리듬과 이미지의 조화를 통한 시적 표현 기법의 세련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두 번째, 이미지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육사의 시에는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핵심 이미지들이 있고, 이 핵심 이미지들은 의미 구조의 핵을 이루면서 일정한 수식적 이미지들의 도움을 받아 두터운 의미의 층을 이루어 상징성을 획득한다. 그 핵심 이미지들은 육사의 시에서 서로 대립적인 경향을 지닌다. 그것은 섬세한 여성적 이미지와 격렬한 남성적 이미지의 양극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불안한 자아의 자각과 초인에의 의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상황에 대한 자각의 이미지와 함께 미래나 과거의 이상향을 지향하는 이미지가 공존하는 양상이기도 하고, 개별적 체험이 보편성을 획득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육사는 이러한 대립적 이미지들을 의도적으로 충돌시킴으로써 상상력에 충격을 주고 언어적 긴장미를 조성하는 수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대립적 이미지의 충돌에 의한 정서적 긴장은 1930년대의 시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것으로 육사의 탁월한 언어감각을 엿볼 수 있다.
육사는 시의 주제나 내용에 효과적으로 어울리는 어조의 활용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운율이나 형태에 대한 감각을 중심으로 시의 미적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추구된 이러한 노력은 귀중한 것이다. 서정적 작품에서는 잔잔한 고백의 어조나 흘러가는 리듬 효과를 활용하고, 의지적 테마의 시에서는 명령, 권유, 확신, 질문의 어법으로 호소력을 강화했다. 육사는 이러한 실험과 조탁을 거쳐 우리 문학사에 기억될 몇 편의 절창을 탄생시켰다. 김대행 외, 『어두운 시대의 빛과 꽃』, 민음사, 2004, pp. 381~389
Ⅲ. 결론
이육사의 시에 나타난 주제의 세 가지 측면과 구조적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육사시는 민족의식과 저항의 세계를 나타내었고, 실향의식과 더불어 향토의 서정을 중시했다. 또한 초인의지와 미래의 소망을 찾을 수 있었다. 육사는 행동의 일환으로서 시행된 시 창작에서 암울하고 괴로운 자기 성찰의 뒤에 극한 상황에 대결하는 강인한 의지를 보이기도 하며, 불굴의 태도에 이어 우수어린 영탄조의 하소연을 나타내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절망과 비극으로 인식한 실제 삶에서 초극의 태도를 견지했던 것처럼 시적 세계에서도 허무와 퇴폐의식에 침몰하지 않고 비극적 상황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시대적 고통에 괴로워하면서도 그 한계 상황을 극복하고 마침내 자기만의 독특한 초월의 경지를 획득하였다. 시대적 저항과 시적 진실과의 양면 공간을 일체로 체현시킨 데에 시사(詩史)적 의의가 있다 하겠다.
<참고문헌>
김재홍, 「투사의 길, 시인의 길」, 『이육사』,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김익중, 「육사시의 외적 형식과 내적 형식고찰」,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86
강화목, 「이육사 시연구」, 고려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77
박혜숙 편, 『이육사 전집-광야』, 미래사, 1991
김영석, 「한국 현대시의 논리」,삼경문화사, 1999
김흥규, 「육사의 시와 현실인식」, 『이육사』,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박성옥, 「이육사론」-特히 詩의 主題와 形態를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82
3. 작품 구조
육사 시의 형태구조 먼저 살펴보면, 대부분의 육사의 시 작품들은 정형적 형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규칙적 시행 배열과 분연 의식의 정형성이 특징인데, 이처럼 거의 기계적인 형태적 정형성을 바탕으로 구성상의 안정과 균형의 감각을 추구한 점이 육사시의 특징이다.
특히 시행과 연 구분의 방식은 고백적이고 서술적인 내용에 균형감과 질서감을 주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연의 분단이 잘 나타난 시는 그의 대표작 <절정(絶頂)>이다. 응결된 이미지의 선명한 부조와 간결한 시행, 생략과 압축의 강한 긴장미를 지닌다. 특히 전구와 결구의 전환과 상징은 눈부시다.
정형 의식 외에도 육사는 시 형태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모색을 보여준다. 그는 단순한 서술형의 어미보다는 청유, 영탄, 의문, 명령형 등의 어미를 즐겨 활용하여 시에 고전적 어감, 의지적 자세 및 감정적 격렬성과 순정성을 보태준다. 시행의 운율적 배열에 의한 리듬과 이미지의 조화를 통한 시적 표현 기법의 세련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두 번째, 이미지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육사의 시에는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핵심 이미지들이 있고, 이 핵심 이미지들은 의미 구조의 핵을 이루면서 일정한 수식적 이미지들의 도움을 받아 두터운 의미의 층을 이루어 상징성을 획득한다. 그 핵심 이미지들은 육사의 시에서 서로 대립적인 경향을 지닌다. 그것은 섬세한 여성적 이미지와 격렬한 남성적 이미지의 양극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불안한 자아의 자각과 초인에의 의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는 상황에 대한 자각의 이미지와 함께 미래나 과거의 이상향을 지향하는 이미지가 공존하는 양상이기도 하고, 개별적 체험이 보편성을 획득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육사는 이러한 대립적 이미지들을 의도적으로 충돌시킴으로써 상상력에 충격을 주고 언어적 긴장미를 조성하는 수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러한 대립적 이미지의 충돌에 의한 정서적 긴장은 1930년대의 시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것으로 육사의 탁월한 언어감각을 엿볼 수 있다.
육사는 시의 주제나 내용에 효과적으로 어울리는 어조의 활용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운율이나 형태에 대한 감각을 중심으로 시의 미적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추구된 이러한 노력은 귀중한 것이다. 서정적 작품에서는 잔잔한 고백의 어조나 흘러가는 리듬 효과를 활용하고, 의지적 테마의 시에서는 명령, 권유, 확신, 질문의 어법으로 호소력을 강화했다. 육사는 이러한 실험과 조탁을 거쳐 우리 문학사에 기억될 몇 편의 절창을 탄생시켰다. 김대행 외, 『어두운 시대의 빛과 꽃』, 민음사, 2004, pp. 381~389
Ⅲ. 결론
이육사의 시에 나타난 주제의 세 가지 측면과 구조적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육사시는 민족의식과 저항의 세계를 나타내었고, 실향의식과 더불어 향토의 서정을 중시했다. 또한 초인의지와 미래의 소망을 찾을 수 있었다. 육사는 행동의 일환으로서 시행된 시 창작에서 암울하고 괴로운 자기 성찰의 뒤에 극한 상황에 대결하는 강인한 의지를 보이기도 하며, 불굴의 태도에 이어 우수어린 영탄조의 하소연을 나타내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절망과 비극으로 인식한 실제 삶에서 초극의 태도를 견지했던 것처럼 시적 세계에서도 허무와 퇴폐의식에 침몰하지 않고 비극적 상황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시대적 고통에 괴로워하면서도 그 한계 상황을 극복하고 마침내 자기만의 독특한 초월의 경지를 획득하였다. 시대적 저항과 시적 진실과의 양면 공간을 일체로 체현시킨 데에 시사(詩史)적 의의가 있다 하겠다.
<참고문헌>
김재홍, 「투사의 길, 시인의 길」, 『이육사』,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김익중, 「육사시의 외적 형식과 내적 형식고찰」,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1986
강화목, 「이육사 시연구」, 고려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77
박혜숙 편, 『이육사 전집-광야』, 미래사, 1991
김영석, 「한국 현대시의 논리」,삼경문화사, 1999
김흥규, 「육사의 시와 현실인식」, 『이육사』,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박성옥, 「이육사론」-特히 詩의 主題와 形態를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82
추천자료
대학생과 중.고등학생의 문화차이(소비문화차이)
양성평등의 정의 및 문제점과 외국 사례분석으로 본 대안제시
청년발달의 이해 1 초기이론
[성교육]정신지체학생(정신지체아동, 지적장애아동) 성교육 필요성, 정신지체학생(정신지체아...
[발달심리학][심리발달이론][현실과 인터넷공간 심리][청소년심리][비행청소년심리]발달심리...
[현대시론]김현승의 시 세계를 세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로 대표적인 작품을 분석하고 각 ...
[심리극][사이코드라마]심리극(사이코드라마)의 정의와 특성, 심리극(사이코드라마)의 구성, ...
[박목월 시세계][박목월시 이데올로기와 어머니][박목월시 향토성과 세계성][박목월시 신화적...
[청소년활동의 교육적 효과] 청소년성장과 자연환경의 영향, 학습적 가치
이상 시 연구 (거울/오감도)
이상 시 연구 (거울/오감도)
아동문학의 중요성을 영아기 발달과 유아기 발달 측면에서 논하시오.
청소년들의 놀이와 모방 문화를 통해본 소비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