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현대 카드의 역사
주요 개념
본론 1 : 현대마트 마케팅 사례
디자인마케팅
⑴ 카드 간 디자인 통합
⑵ 알파벳과 숫자 도입
⑶ 카드 옆면 디자인
⑷ 카드 이외의 디자인
⑸ Design Lab 운영
VVIP마케팅
문화마케팅
⑴ 현대카드 슈퍼매치
⑵ 슈퍼콘서트
본론 2 : 마케팅 전략분석
STP 분석
⑴ Segmentation
⑵ Targeting
⑶ Positioning
4P 분석
⑴ Product
⑵ Price
⑶ Place
⑷ Promotion
SWOT 분석
⑴ Strength
⑵ Weakness
⑶ Opportunity
⑷ Threat
결론 및 앞으로의 전망
현대 카드의 역사
주요 개념
본론 1 : 현대마트 마케팅 사례
디자인마케팅
⑴ 카드 간 디자인 통합
⑵ 알파벳과 숫자 도입
⑶ 카드 옆면 디자인
⑷ 카드 이외의 디자인
⑸ Design Lab 운영
VVIP마케팅
문화마케팅
⑴ 현대카드 슈퍼매치
⑵ 슈퍼콘서트
본론 2 : 마케팅 전략분석
STP 분석
⑴ Segmentation
⑵ Targeting
⑶ Positioning
4P 분석
⑴ Product
⑵ Price
⑶ Place
⑷ Promotion
SWOT 분석
⑴ Strength
⑵ Weakness
⑶ Opportunity
⑷ Threat
결론 및 앞으로의 전망
본문내용
지만 현대카드는 생활에 가장 가깝게 밀착되어 있는 아주 작은 것부터 디자인해야 한다고, 작기 때문에 기능을 담아 더욱 잘 디자인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단품의 카드 하나를 디자인 해야 할 때도, 향후를 바라보며 수 십장에 달하는 카드 디자인의 전체적인 컨셉을 먼저 고민했다. 그렇게 해서 등장한 것이 컬러와 알파벳 그리고 숫자를 활용한 디자인이다. 수십 장의 서로 다른 카드가 서로 연계되어 전체적으로 일관성을 띠며, 브랜드 관리에도 용이한 디자인으로 이보다 좋은 수단은 없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서비스의 정도를 알 수 있는 숫자가 있다.
내용이 없는 디자인은 장식에 불과하며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은 하지 말자는 생각으로, 현대카드는 한 장의 작은 카드에 이러한 신념과 의지를 가득 담았다.
⑴ 카드 간 디자인 통합
여타 회사들이 카드 종류 별로 디자인을 다 다르게 하는 것과는 달리, 현대 카드는 동일한 부류의 카드 간 디자인을 통일하였다. 이는 카드 디자인의 체계적인 통일성, 애초에 한 개의 카드를 디자인할 때 먼저 전체에 관한 밑그림을 그렸기에 가능한 일이다. 이것이 나무보다 숲을 보는 게 더 중요한 이유이다. 이로써 현대카드만의 이미지를 구축하게 되었고, 회사의 아이덴티티를 가지는 데에도 이바지하였다.
⑵ 알파벳과 숫자 도입
알파벳 을 이용한 현대 카드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쉽고 빠르게 그 카드의 효용을 인식시킬 수 있다. 그와 달리, 타 회사 카드는 혜택이 서로 다른 수많은 종류의 카드에 복잡한 이름을 붙여 소비자들이 기억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현대카드는 먼저 카드가 담고 있는 특성에 맞춰 이니셜의 단어를 뽑았고, 이 알파벳은 카드가 구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V(Value, 할인혜택), W(Weekend, 여행/레저), U(University, 대학생), A or K(Asiana, Korean air, 항공 마일리지)처럼 알파벳은 특정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한다. 이같이 카드 이름에 알파벳을 도입하여 기억하기도 쉽고 사용하기도 쉬워져 고객들에게 편리함을 주었다. 특히 카드 이름인 알파벳을 카드 전면 부 디자인에 표기하여 알아보기 쉽고 깔끔한 디자인을 유지하게 되었다.
숫자의 도입 은 기존 알파벳 카드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도 플래티넘 카드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어떻게 드러낼 것인지 고민하다가 이루어졌다. 숫자는 기본 네 종류의 카드를 바탕으로 혜택의 크기에 따라 숫자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M2카드는 기존 M카드보다 혜택이 더 큰 카드임을 의미하는데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숫자도 기억하기 쉽고 알아보기도 쉽다는 점에서 알파벳 디자인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더불어 숫자를 사용함으로써 카드 이름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도 새로운 종류의 카드를 출시할 수 있게 되었다.
⑶ 카드 옆면 디자인
‘카드 옆면 을 왜 디자인해?’ 이것이 당시 카드회사들의 전반적인 생각이었다. 하지만 현대카드는 카드 옆면의 1mm의 색상과 디자인도 신경 썼다. 이는 당시 카드 디자인의 혁명적 요소로, 지갑에서 현대카드를 찾을 때 카드를 한 장씩 일일이 꺼내지 않아도 옆면 색상만 보고도 꺼내 쓸 수 있도록 편리성을 갖춘 것뿐만 아니라, 특별한 카드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되었다.
⑷ 카드 이외의 디자인
현대카드 는 카드 자체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회사의 로고, 지점과 마일리지 샵의 인테리어, 인터넷 홈페이지 등 카드 이외의 부분에서도 고유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는 현대카드의 CI전략 (기업이나 조직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단일화하는 전략)에서 비롯된 것으로, 내적으로는 현대카드만의 기업문화를 창조해 직원의 단결심과 애사심을 고취시키고, 외적으로는 특화된 이미지를 고객들에게 정립하여 강한 브랜드 의식을 남기기 위한 것이다.
⑸ Design Lab 운영
금융의 ‘360도 디자인’ 을 실현하기 위한 곳이 현대카드의 Design Lab이다. 360도 디자인이란, 현대인의 일상에 꼭 필요한 ‘금융’을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관점으로 디자인을 한다는 의미이다. Design Lab에서는 카드 Plate와 발급 패키지로 시작해 회원 Communication을 위한 다양한 요소들은 물론이며 현대카드의 서비스를 위한 파이낸스숍 / M포인트몰과 같은 공간 외에도 회사와 관련된 거의 모든 디자인을 하고 있다. ‘금융회사가 디자인 잘 하는 것이 뭐 그렇게 중요하냐.’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금융회사이기 때문에 디자인을 잘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Design Lab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금융은 생활에 꼭 필요한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어려운 것, 자신과는 특별히 상관없는 것, 그래서 때로는 부정적인 것으로 때로는 불필요한 것으로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현대카드는 ‘생활에 꼭 필요한 디자인’을 창조해냄으로써 금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2. VVIP 마케팅
VVIP용 카드 를 출시하면서 레드, 퍼플, 블랙과 같은 고급 이미지를 가진 색상으로 카드를 설계하였다. 컬러는 카드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것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알파벳 디자인을 한 것처럼 컬러에 맞춰 프리미엄 디자인을 하였다. 이 색상들을 통해 프리미엄 카드 이미지 구축이 가능했고, VVIP 고객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다. 특별한 색상의 도입은 카드 자체 디자인뿐만 아니라, 카드가 담겨 있는 패키지 디자인에도 적용되었다. 기존의 카드 패키지와 달리 현대카드는 카드 패키지 역시 카드 디자인의 연장선으로, 카드 패키지는 고객이 카드를 접했을 때 가장 먼저 느끼는 첫인상이라는 점에서 카드 디자인과 동일한 아이덴티티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레드카드 패키지는 종이와 플라스틱을 함께 사용해 그 자체가 단단하고 품위 있어 보이되, 보관이 편리한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되었다. 반면 레드카드 보다 더 상위 레벨인 블랙카드의 패키지는 전체 카드 디자인과 일맥상통할 수 있도록 종이가 아닌 리퀴드 메탈이라는 소재의 특이성을 살려 금속으로 제작되었다
심리적 만족감 이 이런 카드들의 가장 큰 혜택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
단품의 카드 하나를 디자인 해야 할 때도, 향후를 바라보며 수 십장에 달하는 카드 디자인의 전체적인 컨셉을 먼저 고민했다. 그렇게 해서 등장한 것이 컬러와 알파벳 그리고 숫자를 활용한 디자인이다. 수십 장의 서로 다른 카드가 서로 연계되어 전체적으로 일관성을 띠며, 브랜드 관리에도 용이한 디자인으로 이보다 좋은 수단은 없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서비스의 정도를 알 수 있는 숫자가 있다.
내용이 없는 디자인은 장식에 불과하며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은 하지 말자는 생각으로, 현대카드는 한 장의 작은 카드에 이러한 신념과 의지를 가득 담았다.
⑴ 카드 간 디자인 통합
여타 회사들이 카드 종류 별로 디자인을 다 다르게 하는 것과는 달리, 현대 카드는 동일한 부류의 카드 간 디자인을 통일하였다. 이는 카드 디자인의 체계적인 통일성, 애초에 한 개의 카드를 디자인할 때 먼저 전체에 관한 밑그림을 그렸기에 가능한 일이다. 이것이 나무보다 숲을 보는 게 더 중요한 이유이다. 이로써 현대카드만의 이미지를 구축하게 되었고, 회사의 아이덴티티를 가지는 데에도 이바지하였다.
⑵ 알파벳과 숫자 도입
알파벳 을 이용한 현대 카드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쉽고 빠르게 그 카드의 효용을 인식시킬 수 있다. 그와 달리, 타 회사 카드는 혜택이 서로 다른 수많은 종류의 카드에 복잡한 이름을 붙여 소비자들이 기억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현대카드는 먼저 카드가 담고 있는 특성에 맞춰 이니셜의 단어를 뽑았고, 이 알파벳은 카드가 구현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V(Value, 할인혜택), W(Weekend, 여행/레저), U(University, 대학생), A or K(Asiana, Korean air, 항공 마일리지)처럼 알파벳은 특정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한다. 이같이 카드 이름에 알파벳을 도입하여 기억하기도 쉽고 사용하기도 쉬워져 고객들에게 편리함을 주었다. 특히 카드 이름인 알파벳을 카드 전면 부 디자인에 표기하여 알아보기 쉽고 깔끔한 디자인을 유지하게 되었다.
숫자의 도입 은 기존 알파벳 카드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도 플래티넘 카드의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어떻게 드러낼 것인지 고민하다가 이루어졌다. 숫자는 기본 네 종류의 카드를 바탕으로 혜택의 크기에 따라 숫자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M2카드는 기존 M카드보다 혜택이 더 큰 카드임을 의미하는데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숫자도 기억하기 쉽고 알아보기도 쉽다는 점에서 알파벳 디자인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더불어 숫자를 사용함으로써 카드 이름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도 새로운 종류의 카드를 출시할 수 있게 되었다.
⑶ 카드 옆면 디자인
‘카드 옆면 을 왜 디자인해?’ 이것이 당시 카드회사들의 전반적인 생각이었다. 하지만 현대카드는 카드 옆면의 1mm의 색상과 디자인도 신경 썼다. 이는 당시 카드 디자인의 혁명적 요소로, 지갑에서 현대카드를 찾을 때 카드를 한 장씩 일일이 꺼내지 않아도 옆면 색상만 보고도 꺼내 쓸 수 있도록 편리성을 갖춘 것뿐만 아니라, 특별한 카드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되었다.
⑷ 카드 이외의 디자인
현대카드 는 카드 자체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회사의 로고, 지점과 마일리지 샵의 인테리어, 인터넷 홈페이지 등 카드 이외의 부분에서도 고유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는 현대카드의 CI전략 (기업이나 조직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단일화하는 전략)에서 비롯된 것으로, 내적으로는 현대카드만의 기업문화를 창조해 직원의 단결심과 애사심을 고취시키고, 외적으로는 특화된 이미지를 고객들에게 정립하여 강한 브랜드 의식을 남기기 위한 것이다.
⑸ Design Lab 운영
금융의 ‘360도 디자인’ 을 실현하기 위한 곳이 현대카드의 Design Lab이다. 360도 디자인이란, 현대인의 일상에 꼭 필요한 ‘금융’을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관점으로 디자인을 한다는 의미이다. Design Lab에서는 카드 Plate와 발급 패키지로 시작해 회원 Communication을 위한 다양한 요소들은 물론이며 현대카드의 서비스를 위한 파이낸스숍 / M포인트몰과 같은 공간 외에도 회사와 관련된 거의 모든 디자인을 하고 있다. ‘금융회사가 디자인 잘 하는 것이 뭐 그렇게 중요하냐.’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금융회사이기 때문에 디자인을 잘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Design Lab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금융은 생활에 꼭 필요한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어려운 것, 자신과는 특별히 상관없는 것, 그래서 때로는 부정적인 것으로 때로는 불필요한 것으로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현대카드는 ‘생활에 꼭 필요한 디자인’을 창조해냄으로써 금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2. VVIP 마케팅
VVIP용 카드 를 출시하면서 레드, 퍼플, 블랙과 같은 고급 이미지를 가진 색상으로 카드를 설계하였다. 컬러는 카드의 이미지를 상징하는 것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알파벳 디자인을 한 것처럼 컬러에 맞춰 프리미엄 디자인을 하였다. 이 색상들을 통해 프리미엄 카드 이미지 구축이 가능했고, VVIP 고객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다. 특별한 색상의 도입은 카드 자체 디자인뿐만 아니라, 카드가 담겨 있는 패키지 디자인에도 적용되었다. 기존의 카드 패키지와 달리 현대카드는 카드 패키지 역시 카드 디자인의 연장선으로, 카드 패키지는 고객이 카드를 접했을 때 가장 먼저 느끼는 첫인상이라는 점에서 카드 디자인과 동일한 아이덴티티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레드카드 패키지는 종이와 플라스틱을 함께 사용해 그 자체가 단단하고 품위 있어 보이되, 보관이 편리한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되었다. 반면 레드카드 보다 더 상위 레벨인 블랙카드의 패키지는 전체 카드 디자인과 일맥상통할 수 있도록 종이가 아닌 리퀴드 메탈이라는 소재의 특이성을 살려 금속으로 제작되었다
심리적 만족감 이 이런 카드들의 가장 큰 혜택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
추천자료
삼성몰의 마케팅 전략
하나은행 기업분석 및 마케팅 전략
CRM 보고서(확정본)
[이비지니스(E-business)] 전자상거래 기업의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인터넷 쇼핑몰)
스타벅스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커피의 특징과 성공적인 ...
인터넷 쇼핑몰 마케팅
금융마케팅의 정의, 금융마케팅의 특성, 금융마케팅의 채널, 금융마케팅과 소매금융마케팅, ...
“이제는 컬러시대, 색(色)으로 승부한다” (색체마케팅, 컬러 마케팅, 컬러마케팅의 성공사례,...
옥션 마케팅 전략 분석
「KT 기업분석과 마케팅전략 연구」 KT 기업현황, 경영분석, 기업환경분석, 핵심역량분석, KT...
CJ,CGV 기업분석과 CGV 마케팅전략분석 (3C, SWOT, STP, 7P 분석).pptx
네이버 라인 서비스분석, 네이버 라인 SWOT,마케팅전략분석, 네이버 라인 향후전망 PPT
[우리은행 경영,마케팅케이스 연구] 우리은행 기업분석과 우리은행 경영전략과 마케팅 SWOT,S...
위메프 마케팅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