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흔히 있는 일이다.
▷ 폐기물처리 새로운 기술 도입-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
중동지역에서 폐기물 처리는 여전히 매립 형태로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조직의 환경관리부서에서 자체적으로 폐기처리를 담당하고 있는데,
최근에 폐기물 처리에 관심을 보이는 몇몇 지방관청에서는 자체적으로 폐기물 혼합
처리 플랜트를 건설하거나 이미 운영하여 일부 폐기물을 에너지나 화학비료로 전환
하는 작업을 통해 폐기물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곳도 있다.
UAE의 두바이 지방청에서는 폐기물을 에너지나 화학비료로 전환하는 처리방법을
활용하기 시작했는데, ‘Zero Waste Technology’ 라는 중동지역에서 입지를 굳히고
있는 폐기물처리 사업체(1996년 바레인에서 설립되어 주로 폐기물 처리 산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중동지역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와 함께 폐기물 전환작업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Zawya의 Middle East News 2007년 10월 27일자에 따르면, 두바이 지방
청은(DMCC: Dubai Multi Commodities Centre) 은 Zero Waste Technology와 지역
폐기물처리프로세스를 향상시킬 것을 발표했다.
Zero Waste Technology는 폐기물을 기계적으로 재활용, 생물학적 에너지로 전환시
키는 기술을 사용하여 폐기물처리를 다룬다. 대표적인 기술을 예로 들어, 혐기성 소
화(Anaerobic digestion)10) 프로젝트를 통해 메탄을 포집하여 에너지로 전환시키거
나, 폐기물을 바이오가스로 전환시켜 발열이나 전력에너지원으로 쓰는 데 기술을 사
용하고 있다. Zero Wast Technology는 이미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폐기물처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더 넓은 중동 지역을 대상
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 베올리아 앙비론느망 (Veolia Environement)
베올리아 앙비론느망은 수자원관리, 폐기물처리, 에너지 서비스 등을 다루는 다국적
환경기업으로, 자회사인 베올리아 워터가 수에즈와 함께 수처리 산업에서 빠른 속도
로 성장하고 있다.
수처리 분야에서는 자원환경으로부터 수자원 추출, 생활용수의 생산 및 공급, 폐하
10) 혐기성 분해라고도 한다. 무산소성균이 슬러지 중의 유기물을 섭취하여 환원 분해하고, 무용한 무기화합
물을 방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 분해과정에는 산성 발효기, 산성 감량기, 알칼리성 발효기의 3단계가 있
다. 신선한 슬러지가 분해되는 경우에 실제로는 우량종에 의해서 산성 감량기를 거치지 않고 급속적인
소화를 행하여 분해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수집 및 처리에 이르는 포괄적인 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처리된 폐하수
의 재사용을 위한 작업도 제공한다.
폐기물 처리 분야에서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중동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베올리
아 앙비론느망은 2006 년 UAE의 아부다비와 폐기물처리와 관련하여 5년 계약을 체
결했다. 본 계약은 42백만 유로의 수익규모사업으로 폐기물함 유통, 생활. 비위험성
산업폐기물 수집, 거리 및 공공지역,해변 청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도시의 수요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설비 개발에서도 아부다비 시의 도시 특성에 따라 요구에 맞춘 장비를 제공하고 있
다. 다음과 같은 청소차 설비를 개발.제공하고 있다.
- 한 명의 작업자가 운전 가능하고, 운전석에 냉난방장치가 서설치되 있으며, 측면
으로 하물함이 부착된 폐기물 수집차량.
- 부피가 큰 산업용 폐기물 수집트럭.
- 폐기물함 청소차
- 회교도 서류와 바구니함을 수집하는 경차.
- 기계청소차량
도시의 특성에 맞춘 청소차량 이외에도 500명의 용역인들이 지자체와의 계약조건으
로 청소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계약으로 베올리아 아비론느망은 1년에 평균 250,000거주자지역을 대상으로
160,000톤의 폐기물을 수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KBR
KBR 역시 중동에서 이미 대형설계 엔지니어링산업으로 진출해 있는 기업으로 최근
환경산업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
력을 바탕으로 대기관련 산업과 수자원공급과 폐수처리 분야도 다루고 있다.
CCS 분야에서는 연료가스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정화기능을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CO2 Capture)을 비롯해 운송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압축 및 건조기능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처리 가스와 관련한 이산화탄소 제거기술의 활용을 바탕으
로 이산화탄소 관리 설비에 관한 선두적인 전문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CCS 기술개
발에 더 나아가 CCS 플랜트를 설계. 건설하고, 자체적인 Auto-Thermal Reform
(ATM)기술을 기반으로 연소를 생산하고 있다. 가스터빈연료에서 탄소를 제거하는
기술을 통해 엄청난 열 효용을 내고 있다.
물 산업 분야에서는 수자원 공급 및 계획, 댐 건설, 수자원 여과프로젝트와 폐수처
리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폐기물 처리분야까지 활
동범위를 넓혀 전반적인 환경산업에의 진출을 가속시키고 있는 전망이다.
▷ 테크닙 (Technip)
오일·가스·석유화학 엔지니어링 및 건설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선진건설업체 중 하나
로 중동지역서 집중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설비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아프리카·중동 지역에서 전체 수주액의 49%를 벌어들이고 있으며, 주요 고객도 아
부다비국립원유사, 오만석유회사, 사우디 아람코, 이란국영석유화학공사 등이다. 각
국에 엔지니어링센터와 비즈니스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 UAE의 아부다비도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테크닙은 지난 1999년 정유, 가스, 석유화학 전문 엔지니어링 기업인 독일의 KTI사
와 에너지와 환경설비 제조에 경쟁력을 보유한 데마그(Demag)를 인수하면서 에틸
렌, 수소, 환경 등 취약부문을 강화했다. 또한 최근에는 해양개발 플랜트와 해저파이
프라인 제조업체이자 경쟁사 중 하나인 콘플렉십(Conflexip)을 인수하면서 해양플랜
트 부문을 강화했고, 경쟁사 지분을 지속적으로 인수하면서 외형을 성장시켰다.
▷ 폐기물처리 새로운 기술 도입-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
중동지역에서 폐기물 처리는 여전히 매립 형태로 처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부분 지방자치단체조직의 환경관리부서에서 자체적으로 폐기처리를 담당하고 있는데,
최근에 폐기물 처리에 관심을 보이는 몇몇 지방관청에서는 자체적으로 폐기물 혼합
처리 플랜트를 건설하거나 이미 운영하여 일부 폐기물을 에너지나 화학비료로 전환
하는 작업을 통해 폐기물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곳도 있다.
UAE의 두바이 지방청에서는 폐기물을 에너지나 화학비료로 전환하는 처리방법을
활용하기 시작했는데, ‘Zero Waste Technology’ 라는 중동지역에서 입지를 굳히고
있는 폐기물처리 사업체(1996년 바레인에서 설립되어 주로 폐기물 처리 산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중동지역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와 함께 폐기물 전환작업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Zawya의 Middle East News 2007년 10월 27일자에 따르면, 두바이 지방
청은(DMCC: Dubai Multi Commodities Centre) 은 Zero Waste Technology와 지역
폐기물처리프로세스를 향상시킬 것을 발표했다.
Zero Waste Technology는 폐기물을 기계적으로 재활용, 생물학적 에너지로 전환시
키는 기술을 사용하여 폐기물처리를 다룬다. 대표적인 기술을 예로 들어, 혐기성 소
화(Anaerobic digestion)10) 프로젝트를 통해 메탄을 포집하여 에너지로 전환시키거
나, 폐기물을 바이오가스로 전환시켜 발열이나 전력에너지원으로 쓰는 데 기술을 사
용하고 있다. Zero Wast Technology는 이미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폐기물처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더 넓은 중동 지역을 대상
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 베올리아 앙비론느망 (Veolia Environement)
베올리아 앙비론느망은 수자원관리, 폐기물처리, 에너지 서비스 등을 다루는 다국적
환경기업으로, 자회사인 베올리아 워터가 수에즈와 함께 수처리 산업에서 빠른 속도
로 성장하고 있다.
수처리 분야에서는 자원환경으로부터 수자원 추출, 생활용수의 생산 및 공급, 폐하
10) 혐기성 분해라고도 한다. 무산소성균이 슬러지 중의 유기물을 섭취하여 환원 분해하고, 무용한 무기화합
물을 방출하는 것을 말한다. 이 분해과정에는 산성 발효기, 산성 감량기, 알칼리성 발효기의 3단계가 있
다. 신선한 슬러지가 분해되는 경우에 실제로는 우량종에 의해서 산성 감량기를 거치지 않고 급속적인
소화를 행하여 분해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수집 및 처리에 이르는 포괄적인 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처리된 폐하수
의 재사용을 위한 작업도 제공한다.
폐기물 처리 분야에서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면서 중동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베올리
아 앙비론느망은 2006 년 UAE의 아부다비와 폐기물처리와 관련하여 5년 계약을 체
결했다. 본 계약은 42백만 유로의 수익규모사업으로 폐기물함 유통, 생활. 비위험성
산업폐기물 수집, 거리 및 공공지역,해변 청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도시의 수요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설비 개발에서도 아부다비 시의 도시 특성에 따라 요구에 맞춘 장비를 제공하고 있
다. 다음과 같은 청소차 설비를 개발.제공하고 있다.
- 한 명의 작업자가 운전 가능하고, 운전석에 냉난방장치가 서설치되 있으며, 측면
으로 하물함이 부착된 폐기물 수집차량.
- 부피가 큰 산업용 폐기물 수집트럭.
- 폐기물함 청소차
- 회교도 서류와 바구니함을 수집하는 경차.
- 기계청소차량
도시의 특성에 맞춘 청소차량 이외에도 500명의 용역인들이 지자체와의 계약조건으
로 청소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계약으로 베올리아 아비론느망은 1년에 평균 250,000거주자지역을 대상으로
160,000톤의 폐기물을 수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KBR
KBR 역시 중동에서 이미 대형설계 엔지니어링산업으로 진출해 있는 기업으로 최근
환경산업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
력을 바탕으로 대기관련 산업과 수자원공급과 폐수처리 분야도 다루고 있다.
CCS 분야에서는 연료가스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정화기능을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CO2 Capture)을 비롯해 운송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압축 및 건조기능 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처리 가스와 관련한 이산화탄소 제거기술의 활용을 바탕으
로 이산화탄소 관리 설비에 관한 선두적인 전문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CCS 기술개
발에 더 나아가 CCS 플랜트를 설계. 건설하고, 자체적인 Auto-Thermal Reform
(ATM)기술을 기반으로 연소를 생산하고 있다. 가스터빈연료에서 탄소를 제거하는
기술을 통해 엄청난 열 효용을 내고 있다.
물 산업 분야에서는 수자원 공급 및 계획, 댐 건설, 수자원 여과프로젝트와 폐수처
리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폐기물 처리분야까지 활
동범위를 넓혀 전반적인 환경산업에의 진출을 가속시키고 있는 전망이다.
▷ 테크닙 (Technip)
오일·가스·석유화학 엔지니어링 및 건설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선진건설업체 중 하나
로 중동지역서 집중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설비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아프리카·중동 지역에서 전체 수주액의 49%를 벌어들이고 있으며, 주요 고객도 아
부다비국립원유사, 오만석유회사, 사우디 아람코, 이란국영석유화학공사 등이다. 각
국에 엔지니어링센터와 비즈니스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 UAE의 아부다비도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테크닙은 지난 1999년 정유, 가스, 석유화학 전문 엔지니어링 기업인 독일의 KTI사
와 에너지와 환경설비 제조에 경쟁력을 보유한 데마그(Demag)를 인수하면서 에틸
렌, 수소, 환경 등 취약부문을 강화했다. 또한 최근에는 해양개발 플랜트와 해저파이
프라인 제조업체이자 경쟁사 중 하나인 콘플렉십(Conflexip)을 인수하면서 해양플랜
트 부문을 강화했고, 경쟁사 지분을 지속적으로 인수하면서 외형을 성장시켰다.
추천자료
미혼모에 복지정책
주택가 주차 정책에 관하여
산아제한정책 문제점과 해결방안(가족계획산업자료)
[저출산] 저출산 문제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대응에 대해
국내 다문화교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향
노인복지정책의 필요성 및 정책방향에 대하여
한국보육정책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정책에 있어서 평등의 가치가 왜 중요한 지에 대하여 자신의 개인적인 예를 구체적으...
[청소년육성제도론 공통] 학교교육과 청소년육성 정책의 특징을 비교하여 논하고, 주요 청소...
청소년복지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및 과제와 발전방안 PPT자료
[졸업논문(여성복지정책)] 우리나라 여성복지정책에 관한 고찰
[다문화가정] 다문화가정 현황, 문제점, 해외지원정책 사례,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지원정책의...
우리나라의 단순노무 외국인인력정책(고용허가제, 방문취업제 등)에 대해 정책의 내용을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