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2
Ⅱ. 농심 기업의 발전 및 해외진출상황 ……………… 2
1. 기업소개 ……………………………… 2
1) 기업이념
2) 기업연혁
3) CL
4) 제품소개
2. 해외진출사례 ……………………………… 10
1) 해외진출배경
2) 중국시장
3) 미국시장
4) 그의 국가
3. 경쟁사 분석 ……………………………… 20
4. 농심의 향후 전략 ……………………………… 23
Ⅲ. 결론 ……………………………… 23
※ 참고문헌 ……………………………… 24
Ⅱ. 농심 기업의 발전 및 해외진출상황 ……………… 2
1. 기업소개 ……………………………… 2
1) 기업이념
2) 기업연혁
3) CL
4) 제품소개
2. 해외진출사례 ……………………………… 10
1) 해외진출배경
2) 중국시장
3) 미국시장
4) 그의 국가
3. 경쟁사 분석 ……………………………… 20
4. 농심의 향후 전략 ……………………………… 23
Ⅲ. 결론 ……………………………… 23
※ 참고문헌 ……………………………… 24
본문내용
류열풍으로 해외시장 진출이다. 중국경제가 급성장함에 따라, 한국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이 늘어나며 신라면이 중국에 진출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중국관련 기사에서 보면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한국 브랜드 이미지1위에 신라면이 차지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 신라면 중국진출이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② 해외시장에서 라면의 선호도의 증가이다. 한인시장의 성공을 바탕으로 히스패닉시장을 진출하고 미국의 슈퍼마켓체인과 히스패닉 슈퍼마켓 체인의 진출을 바탕으로 매운 시장을 넓히기 위해 매운맛에 대한 관심이 높은 멕시코로 시장을 넓히는 방안이 국내에 라면시장이 포화 상태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회가 될 수 있다.
⑷ Threat
① Well-Being의식 확산이다. Well-Being의식이 확산되면서 인스턴트인 라면보다는 생면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Well-Being의식이 자리 잡게 된다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인스턴트식품의 대표적인 라면은 큰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② 국내 시장의 포화와 모방제품의 출현이다. 이미 국내 시장은 동종업계 라면시장이 원활하고 방대하게 개척되어 경쟁이 치열하다 못해 시장점유까지도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오뚜기의 열라면, 진라면 매운맛 등 신라면의 매운맛 라면을 따라 잡기 위해 모방 제품이 출현 하고 있다. 그에 따라 신라면은 국내 시장에서 큰 위협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4)그외 국가
(1)일본 시장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전후로 일본의 백화점과 슈퍼체인 등에서 개최한 한국물산전에서 농심 라면이 주종 상품으로 취급된 것을 계기로 일본에서의 농심라면은 10 여년 이상 꾸준히 판매되어 오고 있다. 1997년부터 일본 최대의 편의점 업체인 세븐일레븐에서 농심라면이 판매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제품 판매가 증가되면서 슈퍼마켓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여 일본의 최대 유통업체인 다이에이(DAIEI), 일본 최대 슈퍼 본부인 C.G.C JAPAN CO., LTD 등 대형 체인점에서도 판매할 정도로 신라면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 김치, 불고기, 한국산 고추가루 등 한국음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매운 라면인 신라면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라면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한 일본에서 농심 라면은 현재 외국산 라면 가운데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 hispanic 시장
중남미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이민해 온 사람들로 형성되어있는 시장으로 그 인구는 미국전체에 약 2,000만 정도 있으며, 매운 음식을 좋아한다. 따라서 ㈜농심은 매운 맛, 소고기 맛, 닭고기 맛 등을 포함한 CHOICE 사발면을 중심으로 이들에게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1990년부터 Mexican TV에 광고하고 있고1992년부터 Mexico에 라면을 수출하였다. 바로 이곳의 수출이 대부분 OEM을 통한 수출이기는 하지만 이곳의 규모가 연간 600만불을 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수출거래선이었다.
3. 경쟁사 분석
(1)삼양라면
신라면의 경쟁브랜드라 할 수 있는 삼양라면의 중국 진출 실패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삼양라면 역시 농심보다 훨씬 전에 중국 시장으로 진출했었다 하지만 삼양라면은 지금의 농심만큼 성공치 못하고 중국 진출 사업을 접게 되었다. 삼양라면에 대한 기업자료와 실패원인은 다음과 같다. 삼양라면은 63년부터 라면 생산을 시작해 올해로 35년째를 맞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라면 전문생산업체다. 이 회사는 지난 63년 9월 일본의 명성식품㈜과 라면생산 제휴를 맺고 국내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을 선보였고 지난 70년대에는 \'쇠고기 덕용라면\'을 출시, 덕용라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또 72년부터는 국내 첫 용기면인 \'삼양 컵라면\'을 생산하면서 시장점유율 40%를 기록하며 라면업계 선두를 달렸다. 그러나 지난 89년 11월 \'우지파동\'을 겪으면서 삼양식품은 1천여명의 인원감축과 공장 가동중단으로 시장점유율이 10% 이하로 떨어지고 후발업체인 농심에 업계1위 자리마저 내주는 등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 우지사건이후 7년8개월만인 지난해 8월26일 대법원에서 \'우지라면 사건\'이 무죄판결을 받은 후 매출증가 등 다소의 반사이익을 얻었지만 지난해 시장점유율은 여전히 14%대로 농심(64%)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매출 3천1백억원을 기록한 삼양식품은 자체 계열사를 포함해 전체 납입자본금 규모가 8백72억원이고 종업원수는 4천여명이다. 주력상품은 \'삼양라면\'과 \'삼양 칼국수\', \'삼양 컵라면\'등이고 강원도 문막공장, 인천 장유공장, 원주공장 등 3개 지방공장에서 각각 대관령우유, 골드 식용유와 양조간장, 삼양사료 등을 생산하고 있다.
(2)삼양라면의 중국 진출
삼양라면은 1980년대 말 우리나라의 라면시장의 50%라는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중국시장으로 발판을 넓히기 시작했다.
(3)삼양라면의 중국진출 실패 원인
삼양라면이 중국시장에 발을 들여놓은 직후 유지파동이 일어났다. 검찰은 당시에 면을 튀기는데 식용이 아닌 공업용 쇠기름을 썼다며 삼양식품을 기소하여 삼양라면은 시장점유율 10%이하로 급락하는 등 치명적인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후발인 농심은 우지파동 후 완벽한 1위를 굳혔다. 물론 \'선발을 따라잡기 위해 꾸준히 준비\'를 하긴 했지만 솔직히 \'선발의 불운\'도 도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현재 농심의 시장점유율은 65%로 독점적위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법원이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해 8년만에 명예를 회복했으나 여전히 점유율 20% 정도에 그칠 뿐이었다, 이렇게 기업내부의 문제로 인해 삼양라면의 중국진출은 수포로 돌아갔다 즉, 해외시장으로의 진출 시기에 이를 뒷받침해 줄 기업 경쟁력에 위기를 맞게 되었고 이러한 국내 사정으로 인해 중국 진출은 너무나 큰 짐이 되었다.
지금의 농심의 계획적이고 치밀한 마케팅에 반해 삼양라면의 그 당시 중국 진출 전략은 확실한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채 한국에서의 성공이 중국에서의 성공이라고 쉽게 생각하며 해외로 뻗어나가려고만 했다. 이러한 단순한 생각은 라면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퍼지지 않은 1980년대 중국인(중국인들이 라면을 즐겨먹기 시작한
② 해외시장에서 라면의 선호도의 증가이다. 한인시장의 성공을 바탕으로 히스패닉시장을 진출하고 미국의 슈퍼마켓체인과 히스패닉 슈퍼마켓 체인의 진출을 바탕으로 매운 시장을 넓히기 위해 매운맛에 대한 관심이 높은 멕시코로 시장을 넓히는 방안이 국내에 라면시장이 포화 상태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회가 될 수 있다.
⑷ Threat
① Well-Being의식 확산이다. Well-Being의식이 확산되면서 인스턴트인 라면보다는 생면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Well-Being의식이 자리 잡게 된다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인스턴트식품의 대표적인 라면은 큰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② 국내 시장의 포화와 모방제품의 출현이다. 이미 국내 시장은 동종업계 라면시장이 원활하고 방대하게 개척되어 경쟁이 치열하다 못해 시장점유까지도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오뚜기의 열라면, 진라면 매운맛 등 신라면의 매운맛 라면을 따라 잡기 위해 모방 제품이 출현 하고 있다. 그에 따라 신라면은 국내 시장에서 큰 위협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4)그외 국가
(1)일본 시장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전후로 일본의 백화점과 슈퍼체인 등에서 개최한 한국물산전에서 농심 라면이 주종 상품으로 취급된 것을 계기로 일본에서의 농심라면은 10 여년 이상 꾸준히 판매되어 오고 있다. 1997년부터 일본 최대의 편의점 업체인 세븐일레븐에서 농심라면이 판매되기 시작하였고, 그 후 제품 판매가 증가되면서 슈퍼마켓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여 일본의 최대 유통업체인 다이에이(DAIEI), 일본 최대 슈퍼 본부인 C.G.C JAPAN CO., LTD 등 대형 체인점에서도 판매할 정도로 신라면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 김치, 불고기, 한국산 고추가루 등 한국음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매운 라면인 신라면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라면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한 일본에서 농심 라면은 현재 외국산 라면 가운데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 hispanic 시장
중남미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이민해 온 사람들로 형성되어있는 시장으로 그 인구는 미국전체에 약 2,000만 정도 있으며, 매운 음식을 좋아한다. 따라서 ㈜농심은 매운 맛, 소고기 맛, 닭고기 맛 등을 포함한 CHOICE 사발면을 중심으로 이들에게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1990년부터 Mexican TV에 광고하고 있고1992년부터 Mexico에 라면을 수출하였다. 바로 이곳의 수출이 대부분 OEM을 통한 수출이기는 하지만 이곳의 규모가 연간 600만불을 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수출거래선이었다.
3. 경쟁사 분석
(1)삼양라면
신라면의 경쟁브랜드라 할 수 있는 삼양라면의 중국 진출 실패사례를 조사해 보았다. 삼양라면 역시 농심보다 훨씬 전에 중국 시장으로 진출했었다 하지만 삼양라면은 지금의 농심만큼 성공치 못하고 중국 진출 사업을 접게 되었다. 삼양라면에 대한 기업자료와 실패원인은 다음과 같다. 삼양라면은 63년부터 라면 생산을 시작해 올해로 35년째를 맞고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라면 전문생산업체다. 이 회사는 지난 63년 9월 일본의 명성식품㈜과 라면생산 제휴를 맺고 국내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을 선보였고 지난 70년대에는 \'쇠고기 덕용라면\'을 출시, 덕용라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또 72년부터는 국내 첫 용기면인 \'삼양 컵라면\'을 생산하면서 시장점유율 40%를 기록하며 라면업계 선두를 달렸다. 그러나 지난 89년 11월 \'우지파동\'을 겪으면서 삼양식품은 1천여명의 인원감축과 공장 가동중단으로 시장점유율이 10% 이하로 떨어지고 후발업체인 농심에 업계1위 자리마저 내주는 등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 우지사건이후 7년8개월만인 지난해 8월26일 대법원에서 \'우지라면 사건\'이 무죄판결을 받은 후 매출증가 등 다소의 반사이익을 얻었지만 지난해 시장점유율은 여전히 14%대로 농심(64%)과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매출 3천1백억원을 기록한 삼양식품은 자체 계열사를 포함해 전체 납입자본금 규모가 8백72억원이고 종업원수는 4천여명이다. 주력상품은 \'삼양라면\'과 \'삼양 칼국수\', \'삼양 컵라면\'등이고 강원도 문막공장, 인천 장유공장, 원주공장 등 3개 지방공장에서 각각 대관령우유, 골드 식용유와 양조간장, 삼양사료 등을 생산하고 있다.
(2)삼양라면의 중국 진출
삼양라면은 1980년대 말 우리나라의 라면시장의 50%라는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중국시장으로 발판을 넓히기 시작했다.
(3)삼양라면의 중국진출 실패 원인
삼양라면이 중국시장에 발을 들여놓은 직후 유지파동이 일어났다. 검찰은 당시에 면을 튀기는데 식용이 아닌 공업용 쇠기름을 썼다며 삼양식품을 기소하여 삼양라면은 시장점유율 10%이하로 급락하는 등 치명적인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후발인 농심은 우지파동 후 완벽한 1위를 굳혔다. 물론 \'선발을 따라잡기 위해 꾸준히 준비\'를 하긴 했지만 솔직히 \'선발의 불운\'도 도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현재 농심의 시장점유율은 65%로 독점적위치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법원이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해 8년만에 명예를 회복했으나 여전히 점유율 20% 정도에 그칠 뿐이었다, 이렇게 기업내부의 문제로 인해 삼양라면의 중국진출은 수포로 돌아갔다 즉, 해외시장으로의 진출 시기에 이를 뒷받침해 줄 기업 경쟁력에 위기를 맞게 되었고 이러한 국내 사정으로 인해 중국 진출은 너무나 큰 짐이 되었다.
지금의 농심의 계획적이고 치밀한 마케팅에 반해 삼양라면의 그 당시 중국 진출 전략은 확실한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채 한국에서의 성공이 중국에서의 성공이라고 쉽게 생각하며 해외로 뻗어나가려고만 했다. 이러한 단순한 생각은 라면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퍼지지 않은 1980년대 중국인(중국인들이 라면을 즐겨먹기 시작한
추천자료
[사회과학] 렉서스의 마케팅전략
국제마케팅 사례분석
싸이월드 마케팅 분석 (4P , STP ,SWOT 분석)(A+레포트)
[A+평가 레포트]글로벌 무한경쟁시대에 국내생산거점 기업으로 발전을 위한 (주)HJC의 글로벌...
오리온 초코파이
[사회과학] Four SeasonsRegent Hotels and Resorts
[국제경영]스타벅스의 글로벌 마케팅
레포트_언론(엔터테인먼트산업의 과거 현재 미래)
국제기업으로써의 노키아
싸이월드[2]
월마트(Walmart) - Save money, Live better.
포스코 철강산업
휴맥스 (HUMAX)
“Lock n Lock” 하나코비의 국제 시장 경쟁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