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매체 언어 교육
1.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
2. 매체 언어의 수용 형태
3. 매체 언어를 중심으로 한 국어 교육의 개념
4. 매체 언어의 교재화 방안
5. 영상 매체 수업 운영의 유의점
Ⅱ 매체를 활용한 국어 수업
1. 교육 매체의 개념
2. 교육매체의 역할
3. 국어과 수업 매체의 분류
4. 컴퓨터가 교육의 매체로서 가지는 원리
5. 국어 교육에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 교수-학습 방법 연구
6. 다양한 매체 활용
참고문헌
1.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
2. 매체 언어의 수용 형태
3. 매체 언어를 중심으로 한 국어 교육의 개념
4. 매체 언어의 교재화 방안
5. 영상 매체 수업 운영의 유의점
Ⅱ 매체를 활용한 국어 수업
1. 교육 매체의 개념
2. 교육매체의 역할
3. 국어과 수업 매체의 분류
4. 컴퓨터가 교육의 매체로서 가지는 원리
5. 국어 교육에서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 교수-학습 방법 연구
6. 다양한 매체 활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잡지, TV자막, 인터넷 등에서 틀린 글자, 잘못 사용한 말 찾아내기
step 2. 교실 한쪽 벽에 표를 만들어 붙여 놓고 기록하기
step 3. 기간을 정해서 가장 많이 찾은 사람에게 적절한 보상하기
⑵ 만화 보고 예측하여 말하기
이야기 결말 부분을 일어버렸다고 꾸며내서 흥미를 유발, 결말을 추리해 나가는 시범을 보일때, 학습자가 교사의 생각을 그래도 들여다보는 것처럼 머릿속에서 나오는 말을 그대로 한다. 플래시 만화 유행하니 결말 부분에서 만화를 끄고 학생들이 상상하게 하는 방법도 좋다. 단 이때 교사는 미리 보여줄 플래시 만화를 골라두어야 하며, 어디까지 보여 줄지 정해야 한다. 또한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이며 대부분의 아이들이 알고 있는 작품은 피해야 한다.
▷준비물: 이어질 그림(4컷 만화) 혹은 플래시 만화
▶방법
step 1. 만화를 보여주고, 이야기의 결말을 예측하기 위해 이야기 속 힌트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보여주기
step 2. 교사는 자시의 머릿속에 잇는 말을 그래도 들려주며 결말 완성하기
step 3. 학생에게 이야기의 실제 결말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기
step 4. 교사가 완성한 이야기와 비교하기
step 5. 교사가 만들 결말과 실제 결말 사이의 차이점을 말하게 하기
step 6. 차이점이 무엇 때문에 생겼는지를 토의하기
step 7. 다른 만화 자료를 사용하여 이번에는 학습자가 결말 짓게 하기
⑶ 만화영화 분석하기
짧은 시간에 발단, 전개, 절정, 결말이 드러나는 텔레비전 만화영화가 좋으며, 교과서 속 작품을 떠나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영화를 학습자료로 쓴 이 활동을 통해, 이야기 속 주인공의 마음을 헤아리거나 줄거리 간추리기, 이야기 바꾸어 보기, 내용의 흐름 생각하기 등을 할 수 있다.
<감상 전에>
1. 만화영화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2. 제목을 보고 어떤 내용일지 추측해서 써보세요.
<감상하고 난 후>
3. 영화의 주인공은 주구인가요?
4. 주인공의 성격은 어떤가요?
5. 영화의 줄거리를 써보세요
6. 주인공과 갈등을 겪은 인물은 누구인가요?
7. 갈등이 시작되는 사건은 무엇인가요?
8. 갈등이 해결되는 사건은 무엇인가요?
9. 기억에 남는 인물의 대사는 무엇인가요?
10. 내가( )라면 상화에서 어떻게 했을까요?
11. 제목을 다시 정한다면 어떤 것이 좋을까요?
▷준비물: 만화영화 비디오테이프, 문제지
▶방법
step 1. 이 시간에 감상할 만화영화의 제목(부제목)을 알려주기
step 2. 문제지를 나누어 주고, 1,2번의 문제를 풀게 하고, 다른 문제들 읽게 하기
step 3. 영화 감상하기(20분 소요)
step 4. 영화 감상 후 문제 풀기
⑷ 다양한 글의 종류 알기
글의 종류에 따라 형식과 내용이 다르다고, 글에 따라 어떤 점을 파악하며 읽어야 할지를 학생들이 알 수 있도록 한다. 왜 이 글에 이런 형식과 이런 문체를 사용했는지 생각하게 하여 생활속의 글 속에도 일정한 애용과 목적, 형식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
다양한 글의 내용 때문에 학습자들은 재미와 흥미를 많이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준비물 : 다양한 글 자료
▶방법
step 1. 다양한 읽기 자료 가져오라고 하기(예: 설명문, 논설문, 시, 일기, 기록문, 여행아내서, 사용설명서, 요리책, 전화번호부, 계산서, 영수증 등)
step 2. 한 사람씩 자신이 준비한 글을 읽어보게 하기
step 3. 글의 종류에 달라 읽는 방식이 다름을 설명하기
step 4. 글의 목적, 내영과 형식의 차이, 읽는 사람의 이해도에 따른 글 읽는 속도의 변화등 말하기
step 5. 글을 쓸 때, 읽을 때의 어떤 점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토의하기
⑸ 시낭송 모음집 만들기
시디롬 타이틀로 학급 문집을 만들 때, 자작시를 직접 낭송한 것을 넣는 것이 좋다. 아이들도 신기해하고, 짐작하게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오래도록 목소리를 기억할 수 있어 좋은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녹음 방법도 쉽고 간단하여 긴 시간이 걸리지도 않고 복잡하지도 않다.
▷준비물: 컴퓨터, 자작시
▶방법
step 1. 아이들 각자가 시 쓰기
step 2. 자기가 쓴 시를 충분히 고치고 여러 번 읽어 친숙하게 다가오도록 하기
step 3. 시를 분위기에 어울리게 낭송하기
step 4. 컴퓨터에서 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엔터테인먼트-녹음기를 열기
step 5. 아이들이 낭송하는 목소리 녹음하여 학생 이름으로 저장
step 6. 반 아이들의 시낭송 파일을 모아 디스켓에 넣어 시낭송 집 만들기
⑹ 시각 자료를 이용하여 묘사하거나 설명하기
묘사와 설명을 충분히 할 수 있는지 판가름 해보는 활동으로, 학생들은 자기 자신이 직접 설명하거나 묘사한 결과를 친구들의 그림으로 평가받기 때문에 더 자세하고 알기 쉬운 방법을 찾게 된다.
▷준비물: 재미있는 그림이나 사진
▶방법
step 1. 재미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여러 장 준비하기
step 2. 그림, 사진 속에 있는 장면을 정확하게 설명할 사람 정하기
step 3. 그림을 보고, 사물, 생김새, 모습, 크기, 색깔 등 아주 자세하게 묘사, 설명하기
step 4. 듣는 아이들은 설명하는 말대로 그림을 그려내기
step 5. 누가 원래 그림과 비슷하게 그렸는지 살피기
step 6. 친구의 설명을 들으면서 상상하여 그린 그림과 직접 눈으로 본 그림이 일치하는 지 살펴보기
step 7. 지금까지 활동을 바탕으로 그림을 묘사하거나 설명하는 한 편의 글쓰기
참고문헌
신헌재공저(2001),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방안, 박이정
서유경(2002), 인터넷 매체와 국어교육, 역락,
교육매체 활용과 교수방법의 개선, 백영균(한국 교원대학교), 98,2,17일 한국 교원대학의교수연수세미나 강의자료, 17시 50존재
네이버- 키워드: 매체를 활용한 국어수업, 1page, 웹문서 2번째, 시선집중 즐거운 수업 만들기, 17: 07 존재
http://www.keumgok.es.kr/teacher/staff_portion/play/board/download/Session1%28part1%29%B1%B9%BE%EE%BC%F6%BE%F7%BE%C6%C0%CC%B5%F0%BE%EE.pdf
step 2. 교실 한쪽 벽에 표를 만들어 붙여 놓고 기록하기
step 3. 기간을 정해서 가장 많이 찾은 사람에게 적절한 보상하기
⑵ 만화 보고 예측하여 말하기
이야기 결말 부분을 일어버렸다고 꾸며내서 흥미를 유발, 결말을 추리해 나가는 시범을 보일때, 학습자가 교사의 생각을 그래도 들여다보는 것처럼 머릿속에서 나오는 말을 그대로 한다. 플래시 만화 유행하니 결말 부분에서 만화를 끄고 학생들이 상상하게 하는 방법도 좋다. 단 이때 교사는 미리 보여줄 플래시 만화를 골라두어야 하며, 어디까지 보여 줄지 정해야 한다. 또한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이며 대부분의 아이들이 알고 있는 작품은 피해야 한다.
▷준비물: 이어질 그림(4컷 만화) 혹은 플래시 만화
▶방법
step 1. 만화를 보여주고, 이야기의 결말을 예측하기 위해 이야기 속 힌트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보여주기
step 2. 교사는 자시의 머릿속에 잇는 말을 그래도 들려주며 결말 완성하기
step 3. 학생에게 이야기의 실제 결말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기
step 4. 교사가 완성한 이야기와 비교하기
step 5. 교사가 만들 결말과 실제 결말 사이의 차이점을 말하게 하기
step 6. 차이점이 무엇 때문에 생겼는지를 토의하기
step 7. 다른 만화 자료를 사용하여 이번에는 학습자가 결말 짓게 하기
⑶ 만화영화 분석하기
짧은 시간에 발단, 전개, 절정, 결말이 드러나는 텔레비전 만화영화가 좋으며, 교과서 속 작품을 떠나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영화를 학습자료로 쓴 이 활동을 통해, 이야기 속 주인공의 마음을 헤아리거나 줄거리 간추리기, 이야기 바꾸어 보기, 내용의 흐름 생각하기 등을 할 수 있다.
<감상 전에>
1. 만화영화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2. 제목을 보고 어떤 내용일지 추측해서 써보세요.
<감상하고 난 후>
3. 영화의 주인공은 주구인가요?
4. 주인공의 성격은 어떤가요?
5. 영화의 줄거리를 써보세요
6. 주인공과 갈등을 겪은 인물은 누구인가요?
7. 갈등이 시작되는 사건은 무엇인가요?
8. 갈등이 해결되는 사건은 무엇인가요?
9. 기억에 남는 인물의 대사는 무엇인가요?
10. 내가( )라면 상화에서 어떻게 했을까요?
11. 제목을 다시 정한다면 어떤 것이 좋을까요?
▷준비물: 만화영화 비디오테이프, 문제지
▶방법
step 1. 이 시간에 감상할 만화영화의 제목(부제목)을 알려주기
step 2. 문제지를 나누어 주고, 1,2번의 문제를 풀게 하고, 다른 문제들 읽게 하기
step 3. 영화 감상하기(20분 소요)
step 4. 영화 감상 후 문제 풀기
⑷ 다양한 글의 종류 알기
글의 종류에 따라 형식과 내용이 다르다고, 글에 따라 어떤 점을 파악하며 읽어야 할지를 학생들이 알 수 있도록 한다. 왜 이 글에 이런 형식과 이런 문체를 사용했는지 생각하게 하여 생활속의 글 속에도 일정한 애용과 목적, 형식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한다.
다양한 글의 내용 때문에 학습자들은 재미와 흥미를 많이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준비물 : 다양한 글 자료
▶방법
step 1. 다양한 읽기 자료 가져오라고 하기(예: 설명문, 논설문, 시, 일기, 기록문, 여행아내서, 사용설명서, 요리책, 전화번호부, 계산서, 영수증 등)
step 2. 한 사람씩 자신이 준비한 글을 읽어보게 하기
step 3. 글의 종류에 달라 읽는 방식이 다름을 설명하기
step 4. 글의 목적, 내영과 형식의 차이, 읽는 사람의 이해도에 따른 글 읽는 속도의 변화등 말하기
step 5. 글을 쓸 때, 읽을 때의 어떤 점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토의하기
⑸ 시낭송 모음집 만들기
시디롬 타이틀로 학급 문집을 만들 때, 자작시를 직접 낭송한 것을 넣는 것이 좋다. 아이들도 신기해하고, 짐작하게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오래도록 목소리를 기억할 수 있어 좋은 추억을 만들어 줄 수 있다. 녹음 방법도 쉽고 간단하여 긴 시간이 걸리지도 않고 복잡하지도 않다.
▷준비물: 컴퓨터, 자작시
▶방법
step 1. 아이들 각자가 시 쓰기
step 2. 자기가 쓴 시를 충분히 고치고 여러 번 읽어 친숙하게 다가오도록 하기
step 3. 시를 분위기에 어울리게 낭송하기
step 4. 컴퓨터에서 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엔터테인먼트-녹음기를 열기
step 5. 아이들이 낭송하는 목소리 녹음하여 학생 이름으로 저장
step 6. 반 아이들의 시낭송 파일을 모아 디스켓에 넣어 시낭송 집 만들기
⑹ 시각 자료를 이용하여 묘사하거나 설명하기
묘사와 설명을 충분히 할 수 있는지 판가름 해보는 활동으로, 학생들은 자기 자신이 직접 설명하거나 묘사한 결과를 친구들의 그림으로 평가받기 때문에 더 자세하고 알기 쉬운 방법을 찾게 된다.
▷준비물: 재미있는 그림이나 사진
▶방법
step 1. 재미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여러 장 준비하기
step 2. 그림, 사진 속에 있는 장면을 정확하게 설명할 사람 정하기
step 3. 그림을 보고, 사물, 생김새, 모습, 크기, 색깔 등 아주 자세하게 묘사, 설명하기
step 4. 듣는 아이들은 설명하는 말대로 그림을 그려내기
step 5. 누가 원래 그림과 비슷하게 그렸는지 살피기
step 6. 친구의 설명을 들으면서 상상하여 그린 그림과 직접 눈으로 본 그림이 일치하는 지 살펴보기
step 7. 지금까지 활동을 바탕으로 그림을 묘사하거나 설명하는 한 편의 글쓰기
참고문헌
신헌재공저(2001),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방안, 박이정
서유경(2002), 인터넷 매체와 국어교육, 역락,
교육매체 활용과 교수방법의 개선, 백영균(한국 교원대학교), 98,2,17일 한국 교원대학의교수연수세미나 강의자료, 17시 50존재
네이버- 키워드: 매체를 활용한 국어수업, 1page, 웹문서 2번째, 시선집중 즐거운 수업 만들기, 17: 07 존재
http://www.keumgok.es.kr/teacher/staff_portion/play/board/download/Session1%28part1%29%B1%B9%BE%EE%BC%F6%BE%F7%BE%C6%C0%CC%B5%F0%BE%EE.pdf
추천자료
[교육공학]교수매체이론
매체의 변화와 국어교육의 방향
[GSP활용교육]GSP활용교육(수학) 배경, GSP활용교육(수학) 특징, GSP활용교육(수학) 효과, GS...
[수준별수업]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의미와 도입배경, 영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
[신문활용교육][NIE][신문활용학습][신문활용수업]신문활용교육(NIE)의 필요성, 신문활용교육...
[열린교육][열린교실][열린수업]열린교육의 의미, 열린교육의 원리, 열린교육의 실태, 열린교...
영어과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수업)의 장점과 효과, 영어과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수...
음악과(음악과교육)의 특징,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목표, 음악과(음악과교육)의 변천, 음악과...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용학습, 인터넷활용수업)의 정의와 필요성, 인터넷활용교육(인터넷활...
[EBS교육방송]EBS교육방송의 의미, EBS교육방송의 기능, EBS교육방송의 제반환경, EBS교육방...
EBS 교육방송프로그램의 정의와 활용형태, EBS 교육방송프로그램의 기능, EBS 교육방송프로그...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용수업, 인터넷활용교육)의 특징과 중요성, 인터넷활용학습(인터넷활...
원격 교육 매체에 대한 연구
교수매체의 선택과 제시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고,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