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에어 (Charlotte Bronte, 샬롯 브론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인에어 (Charlotte Bronte, 샬롯 브론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제인에어☆

1. 작가 소개
2. < Jane Eyre > 줄거리
3. 등장인물 소개
4. <제인 에어>에 나타난 페미니즘
5. <제인 에어>에 나타난 「제국주의」엿보기
6. <제인 에어>와 < Wide Sargasso > 비교해서 보기

본문내용

집은 잿더미로 변했고 용맹하던 로체스터도 불구가 되었지만 진실한 사랑으로 로체스터와 결혼하게 된다. 제인 에어는 당시 대부분의 소설 속 여성 주인공과는 대조적으로 가난하고 신분이 낮으며 못생겼을 뿐만 아니라 고아이기까지 한 여주인공으로서 그녀가 당하는 부당한 억압에 대항하여 당당하게 반항하고 적극적으로 자아를 확립해나갔다.
로체스터
: 로체스터는 제인에어가 가정교사로 일하게 된 손필드 저택의 주인이자 제인의 사랑을 받고 제인을 사랑하는 사람이다. 권위적이고 이기적인 성격을 지닌 남자로서 당시의 가부장적인 남성상을 대표한다. 로체스터는 제인에어에게 청혼을 하고 결혼하려 하지만 결혼식 도중에 정식 부인인 버사 메이슨의 존재가 탄로나 결혼식을 중단하게 되고 제인에어는 로체스터를 떠난다. 후에 버사가 손필드 저택을 방화하여 한 쪽 눈은 터지고 다른 눈은 염증 때문에 실명하게 되지만 제인에어와 다시 재회하여 결혼 한 후에 극적으로 시력을 회복한다.
버사 메이슨
: 로체스터의 부인. 큰 키에 검은 피부를 한 아름다운 여성이었지만 후에 광기에 찬 채로 손필드의 다락방에 갇혀 산다. 손필드 저택에 방화를 하여 집에서 불 타 죽는다.
리드 숙모네 가족
: 돌아가신 제인 부모의 부탁대로 제인을 맡아 키우고 있지만, 리드 숙모와 그의 자식들은 온갖 구박과 핍박을 제인에게 가한다.
브로클허스트
: 제인 에어에게 거짓말쟁이라는 누명을 씌우며 차갑고 냉정한 면모를 지니고 위선적이고 가부장적인 인물이다. 여성을 획일화 시킬 목적으로 설비된 록우드 학교를 운영한다.
템플 선생님
: 록우드 학교의 교장선생님. 브로클허스트가 제인에게 거짓말쟁이라는 누명을 씌웠을 때 제인의 말을 믿어주고 제인에게 사랑과 격려의 힘을 불어 넣어 주어 그녀의 정신적인 위안처가 되어준다.
헬렌 번즈
: 관용과 인내로 일관하며 성품이 고귀하고 지적인 여성으로서 록우드 학교에서 제인과 마음을 열고 교제하는 친구이다. 내세 지향적이고 금욕주의적인 종교관을 가지고있다. 이는 템플선생님의 정신적인 위안과 더불어 제인의 종교관에 대한 바탕을 성립하게 해준다. 전염병에 걸려 죽게 된다.
세인트 존 리버즈
: 제인이 손필드 저택에서 나와서 무일푼의 신세로 허기에 쓰러졌을 때 도와준 사람. 후에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 제인에게 명목뿐인 청혼을 하지만 거절당한다.
4. <제인 에어>에 나타난 페미니즘
-게이츠헤드 저택
그녀는 그곳에서 온갖 학대와 고통을 감수해야 하는 처지. 여기에서 존은 Reed가의 주인의 권리를 가지고 제인을 괴롭히나 제인은 그를 폭군으로 비유하며 반항.
:가부장적인 남성상에 대한 반항
붉은 방에 제인은 갇히게 되고 굴복하여 얌전한 상태가 되기를 강요받으나, 그곳에서 그녀는 실신.
:붉은 방은 가부장적 사회를 상징한다고 보고, 그곳에서 그녀는 사회가 여성에 요구하는 태도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기절이라는 방법을 택함
-로우드학교
로우드학교는 당대 이상적인 여성상에 알맞은 자질을 교묘한 억압을 통해 교육시키고자하는 자선학교.
:여성의 개념을 파괴하고 벌과 굶주림을 통해 여성성을 억압
제인은 헬렌과 탬플 선생님과의 친분으로부터 정신적 위안을 얻음.
: 페미니즘에서 강조하는 여성들 간의 결속력이나 자매 애의 중요성과 일맥상통하는 것
-로체스터의 등장
제인과 로체스터는 고용주와 가정교사라는 교용인과의 관계로 시작되었지만 로체스터는 제인을 열등하게 취급하기를 원하지 않음.
:표면적 사회적인 지위의 틀을 벗어난 인간으로서의 평등함을 주장
제인이 청혼을 받아들인 이후 로체스터는 제인을 압박하려함. 제인은 그의 권위적인 표현에 해한 거부감을 직접적으로 표현
:소유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억압적 모습에 대해 제인의 독립 지향적 모습 표출
-버사의 등장
추하고, 광기에 가득 찬 여성인 버사의 등장
:남성의 억압에 대한 분노를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서의 파괴적인 욕망을 표현
버사의 존재를 알고난 이후의 제인의 행보
: 로체스터는 자신의 타락한 과거를 치유해줄 내조자로서의 아내를 원하나 제인은 이 역할을 거부하고, 자기 자신을 보존하겠다는 결단을 내리고 로체스터를 떠남.
-세인트존의 등장
존은 제인에게 ‘살아있는 동안 적절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죽을 때까지 절대적으로 소유할수 있는 유일한 내조자’의 역할을 원함
:일방적인 의지의 강요에 의해 제인이 자아를 포기해야 하는 상태를 강요받음
제인은 자신을 부르는 로체스터의 목소리를 듣게됨
: 정신적인 속박에서 벗어나 다시 한번 자아를 찾아 떠나게 됨
-불구가 된 로체스터, 불이 난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9.27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