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6
298
329
269
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결과를 해석하시오.
(임상병리검사, 방사선 검사, 특수검사)
4. 대상자의 건강사정을 하시오.
(1) 시진 (10월7일)
① 호흡
호흡수 : 24회/min
호흡의 질적 사정 : 과소호흡, 빈호흡 (흉벽의 높이의 변화가 얕고, 빠르다.)
② 흉곽의 전후면
흉곽의 구조 : 약간 술통형 가슴(준흉), 후면의 구조적 기형은 없음.
흉곽 움직임 : 흉식호흡이며, 양쪽의 흉곽이 대칭적으로 움직임.
흉곽 움직임의 통증 : 없음.
호흡 시 부속근의 사용 : 침대에 누운상태에서 Fowler\'s position을 취해주었다.
③ 피부
피부색깔 : 중심부는 약간 붉은 빛을 띠었지만 사지는 점점 푸른빛이 보였다.
체리 혈관종 : 몸통 전체적으로 흐릿하게 보였다.
피부병변 : 피부 전체가 건조하여 인설이 생겼다.
손톱색깔 : 약간 푸른색
손가락모양 : 곤봉지
손톱형태 : Beau선이 양손 엄지와 검지에서 발견되었다.
오른쪽 중지와 새끼손톱의 조갑박리증이 보였다.
④ 얼굴
모양 : 대칭적이다. (눈썹위치, 비순주름)
코 : 일직선 비중격을 볼 수 있었다.
입 : 구강점막이 창백하였다.
만성적인 자극(틀니)으로 인해 볼과 혀에 백반증이 양상이 조금 보였다.
눈 : 공막의 색이 옅은 분홍색으로 빈혈의 양상인 흰 빛을 띠었다.
안검연이 안구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안검내반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동공검진 : 양쪽이 같았다/ 동그란 모양이었다/ 대광반사가 있었다/ 조절현상이 있었 다.→정상이다.
귀 : 무통성이 다윈결절이 양쪽에 하나씩 있었다.
⑤ 심장
심장검진부위 6군데를 시진한다. : 전흉부의 흉쇄골 부위, 대동맥판, 폐동맥판, 우심 실, 좌심실, 상복부
심첨충격(PMI) : 왼쪽 제5늑간에서 중앙쇄골선의 내측에서 볼 수 있었다.
(2) 촉진 (10월 7일)
① 기관과 흉곽 전면
기관의 위치 :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함.
압통덩어리 : 없음
촉감진탕음 :
호흡운동범위(excursion) : 양쪽 엄지손가락이 똑같은 거리만큼 움직임.
② 흉곽 후면
압통덩어리 : 없음
촉감진탕음 : 정상보다 증가하였다.
호흡운동범위(excursion) : 양쪽 엄지손가락이 똑같은 거리만큼 움직임.
③ 피부
탄력성 저하 : 노인이므로 엘라스틴이 저하되어 발생하였다.(얼굴)
함요부종 : 사지에서는 제대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2의 함요부종이 보였 다.
④ 얼굴
전두동 촉진 : 통증이 없다. (축농증 아님)
⑤ 맥박
경동맥 : 사지가 부어있어서 경동맥으로 사정하였다.
98회/분 이였다. 리듬이 규칙하였고 양쪽 강도도 동일하였다.
(한번에 한쪽씩 하였다.)
⑥ 전흉부
진전음 : 미세한 진동을 느낄 수 없었다.
심첨충격 : 중앙쇄골선에서 제5늑간 위치에서 촉진되었다. 위치 변동은 없었다.
(3) 타진 (10월 7일)
① 정상 타진음
공명음 : 폐의 늑간부를 타진할 때 길고 낮으며 속이 빈 듯한 소리가 폐의 전체부 분에서 들린다. 그런데 정상인보다 과도하게 들렸다.
고음 : 공기가 찬 위와 장에서 들렸으며, 북소리와 비슷하였다. 좌측 흉곽 아랫부 분에서 들렸다.
탁음 : 간이나 심장(고밀도 장기), 장이나 심장(실질장기)부분에서 둔탁한소리가 들렸다.
② 비정상 타진음
과도 공명음 : 공명음보다 강하고 낮으며 긴소리로써, 늑막강의 공기유입의 결과로 들렸다.
편평음 : 늑막비후로 ㅕ고 높은 소리가 들렸다.
③ 얼굴
상악동 타진 : 통증이 없다. (축농증 아님)
(4) 청진 (10월 7일)
① 정상호흡음
기관지음 : 기관과 후두근처에더 호기때 크게 들린다.
기관지폐포음 : 전면의 1~2번째 늑간에서 흡기와 호기때 같은 크기로 들린다.
폐포음 : 후면의 제4흉추 부위에서 기관지로부터 멀어진쪽으로 흡기때 크게 들린다.
② 비정상적인 호흡음
악설음 : 폐 전체부분에서 들렸다.
천명음 : 청진기를 안 대어도 천명음이 들렸다.
③ 심장
정상심음 : S1과 S2를 판형으로 들을 수 있었다.
제 1심음은 한소리 였고, 제 2심음은 흡기때 두소리 였다.
정상외 심음 : 제 3심음은 들을 수 없었고 제 4심음은 종형으로 들을 수 있었다.
기능적 심잡음 : 들렸으나 좌위로 바꾸어 주고 다시 들어보니 들리지 않았다.
6. 실습후 소감 (건강사정후 소감)
→ 처음에는 집에서 멀기도 하고, 시험준비기간과 겹쳐서 막막하게만 생각했었는데, 병원 실습을 마치는 지금은, 한 중환자실에서 여러 part의 환자들을 볼 수 있어서 다양한 공부가 많아서 좋았다라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중환자실이라 부호자가 옆에 있지 않아 환자와 더 많이 대화할 수 있었고, 그 덕분에 건강사정하는데에도 협조적이여서 미리 수행해 볼 수 있었다.
노화와 골절로 인해 불편하신 몸이셨지만 심심한 중환자실에서 말벗이 되어주었다며, 나에게 오히려 고마워하며 적극적으로 건강사정하는데에 도움을 주셔서 감사하다.
이론적으로 수업시간에만 배우다가 막상 내가 직접해볼려고 하니 많이 어색하고 조금 은 어려웠지만, 두세번 정도 해보니 어느정도 감이 잡혔다.
또, 정말로 내가 간호사가 되어 환자를 검진하는 것만 같아서 괜히 으쓱해지기도 하 였다.
이번 과제로 인해 이론에서만 그치고 임상에서는 연결 못 시키고 따로 익힐 뻔한 건 강사정 내용을 교수님 덕분에 직접 몸으로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
앞으로 남은 실습도 이런식으로 건강사정을 해보며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노력해 야 겠다.
7. 참고문헌
http://cau.ac.kr/~sds999/CAU3/health/main/dis/천식.htm
http://bestdoctor.naver.com/ency/ency_diseaseinfo_sub.jsp?idx=361
http://www.kmle.co.kr/
http://www.hidoc.co.kr/diz/rightmenu/dictionary/dictionaryOK.jsp
최공옥외. 개정판 건강사정, 현문사
강경자외. 성인간호 실무교육 중환자 간호, 수문사
김옥녀). 임상약리학 (제4판), 수문사
김조자 외. 성인간호학 (제2판), 현문사
김진학 외. 성인간호 실습지침서,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298
329
269
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결과를 해석하시오.
(임상병리검사, 방사선 검사, 특수검사)
4. 대상자의 건강사정을 하시오.
(1) 시진 (10월7일)
① 호흡
호흡수 : 24회/min
호흡의 질적 사정 : 과소호흡, 빈호흡 (흉벽의 높이의 변화가 얕고, 빠르다.)
② 흉곽의 전후면
흉곽의 구조 : 약간 술통형 가슴(준흉), 후면의 구조적 기형은 없음.
흉곽 움직임 : 흉식호흡이며, 양쪽의 흉곽이 대칭적으로 움직임.
흉곽 움직임의 통증 : 없음.
호흡 시 부속근의 사용 : 침대에 누운상태에서 Fowler\'s position을 취해주었다.
③ 피부
피부색깔 : 중심부는 약간 붉은 빛을 띠었지만 사지는 점점 푸른빛이 보였다.
체리 혈관종 : 몸통 전체적으로 흐릿하게 보였다.
피부병변 : 피부 전체가 건조하여 인설이 생겼다.
손톱색깔 : 약간 푸른색
손가락모양 : 곤봉지
손톱형태 : Beau선이 양손 엄지와 검지에서 발견되었다.
오른쪽 중지와 새끼손톱의 조갑박리증이 보였다.
④ 얼굴
모양 : 대칭적이다. (눈썹위치, 비순주름)
코 : 일직선 비중격을 볼 수 있었다.
입 : 구강점막이 창백하였다.
만성적인 자극(틀니)으로 인해 볼과 혀에 백반증이 양상이 조금 보였다.
눈 : 공막의 색이 옅은 분홍색으로 빈혈의 양상인 흰 빛을 띠었다.
안검연이 안구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안검내반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동공검진 : 양쪽이 같았다/ 동그란 모양이었다/ 대광반사가 있었다/ 조절현상이 있었 다.→정상이다.
귀 : 무통성이 다윈결절이 양쪽에 하나씩 있었다.
⑤ 심장
심장검진부위 6군데를 시진한다. : 전흉부의 흉쇄골 부위, 대동맥판, 폐동맥판, 우심 실, 좌심실, 상복부
심첨충격(PMI) : 왼쪽 제5늑간에서 중앙쇄골선의 내측에서 볼 수 있었다.
(2) 촉진 (10월 7일)
① 기관과 흉곽 전면
기관의 위치 :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함.
압통덩어리 : 없음
촉감진탕음 :
호흡운동범위(excursion) : 양쪽 엄지손가락이 똑같은 거리만큼 움직임.
② 흉곽 후면
압통덩어리 : 없음
촉감진탕음 : 정상보다 증가하였다.
호흡운동범위(excursion) : 양쪽 엄지손가락이 똑같은 거리만큼 움직임.
③ 피부
탄력성 저하 : 노인이므로 엘라스틴이 저하되어 발생하였다.(얼굴)
함요부종 : 사지에서는 제대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2의 함요부종이 보였 다.
④ 얼굴
전두동 촉진 : 통증이 없다. (축농증 아님)
⑤ 맥박
경동맥 : 사지가 부어있어서 경동맥으로 사정하였다.
98회/분 이였다. 리듬이 규칙하였고 양쪽 강도도 동일하였다.
(한번에 한쪽씩 하였다.)
⑥ 전흉부
진전음 : 미세한 진동을 느낄 수 없었다.
심첨충격 : 중앙쇄골선에서 제5늑간 위치에서 촉진되었다. 위치 변동은 없었다.
(3) 타진 (10월 7일)
① 정상 타진음
공명음 : 폐의 늑간부를 타진할 때 길고 낮으며 속이 빈 듯한 소리가 폐의 전체부 분에서 들린다. 그런데 정상인보다 과도하게 들렸다.
고음 : 공기가 찬 위와 장에서 들렸으며, 북소리와 비슷하였다. 좌측 흉곽 아랫부 분에서 들렸다.
탁음 : 간이나 심장(고밀도 장기), 장이나 심장(실질장기)부분에서 둔탁한소리가 들렸다.
② 비정상 타진음
과도 공명음 : 공명음보다 강하고 낮으며 긴소리로써, 늑막강의 공기유입의 결과로 들렸다.
편평음 : 늑막비후로 ㅕ고 높은 소리가 들렸다.
③ 얼굴
상악동 타진 : 통증이 없다. (축농증 아님)
(4) 청진 (10월 7일)
① 정상호흡음
기관지음 : 기관과 후두근처에더 호기때 크게 들린다.
기관지폐포음 : 전면의 1~2번째 늑간에서 흡기와 호기때 같은 크기로 들린다.
폐포음 : 후면의 제4흉추 부위에서 기관지로부터 멀어진쪽으로 흡기때 크게 들린다.
② 비정상적인 호흡음
악설음 : 폐 전체부분에서 들렸다.
천명음 : 청진기를 안 대어도 천명음이 들렸다.
③ 심장
정상심음 : S1과 S2를 판형으로 들을 수 있었다.
제 1심음은 한소리 였고, 제 2심음은 흡기때 두소리 였다.
정상외 심음 : 제 3심음은 들을 수 없었고 제 4심음은 종형으로 들을 수 있었다.
기능적 심잡음 : 들렸으나 좌위로 바꾸어 주고 다시 들어보니 들리지 않았다.
6. 실습후 소감 (건강사정후 소감)
→ 처음에는 집에서 멀기도 하고, 시험준비기간과 겹쳐서 막막하게만 생각했었는데, 병원 실습을 마치는 지금은, 한 중환자실에서 여러 part의 환자들을 볼 수 있어서 다양한 공부가 많아서 좋았다라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중환자실이라 부호자가 옆에 있지 않아 환자와 더 많이 대화할 수 있었고, 그 덕분에 건강사정하는데에도 협조적이여서 미리 수행해 볼 수 있었다.
노화와 골절로 인해 불편하신 몸이셨지만 심심한 중환자실에서 말벗이 되어주었다며, 나에게 오히려 고마워하며 적극적으로 건강사정하는데에 도움을 주셔서 감사하다.
이론적으로 수업시간에만 배우다가 막상 내가 직접해볼려고 하니 많이 어색하고 조금 은 어려웠지만, 두세번 정도 해보니 어느정도 감이 잡혔다.
또, 정말로 내가 간호사가 되어 환자를 검진하는 것만 같아서 괜히 으쓱해지기도 하 였다.
이번 과제로 인해 이론에서만 그치고 임상에서는 연결 못 시키고 따로 익힐 뻔한 건 강사정 내용을 교수님 덕분에 직접 몸으로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
앞으로 남은 실습도 이런식으로 건강사정을 해보며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노력해 야 겠다.
7. 참고문헌
http://cau.ac.kr/~sds999/CAU3/health/main/dis/천식.htm
http://bestdoctor.naver.com/ency/ency_diseaseinfo_sub.jsp?idx=361
http://www.kmle.co.kr/
http://www.hidoc.co.kr/diz/rightmenu/dictionary/dictionaryOK.jsp
최공옥외. 개정판 건강사정, 현문사
강경자외. 성인간호 실무교육 중환자 간호, 수문사
김옥녀). 임상약리학 (제4판), 수문사
김조자 외. 성인간호학 (제2판), 현문사
김진학 외. 성인간호 실습지침서,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미숙아,신생아특발성 호흡곤란 증후군 CASE STUDY
[산모][산모 간호][산전산모][산모 제왕절개수술 전후 간호][산전산모 사정][산욕기 산모 간...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간호학]RDS-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신생아의 호흡 장애 증후군
[아동간호]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case study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본인의 가족 혹은 친구 중 한명을 선정하여 사정도구(3개 이상)를 활용...
[통증][통증 의미][통증 전달과정][통증 조절][통증 지각][통증 측정도구][통증 간호사정]통...
ARDS(급성호흡곤란 증후군)의 환자간호 (History, 진단적 기준, 발병률, 사망률, 원인, 병태...
case study 태변흡인 증후군(MAS) 간호진단, 간호과정 ,병태생리, NICU
아동신체및 발달사정 A+ (아동 신체사정, 아동 발달사정, 사정, 아동, 발달사정, 신체사정)
가족사정 시 프리드만의 사정도구사용 가족진단 시: ICNP분류틀 적용 가족계획, 중재 및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