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과패션] 한복을 실제로 착용한 후의 이미지와 느낀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한복의 정의
◈ 한복의 역사와 시대별 특징
◈ 한복의 특징
◈ 느낀 점(한복의 장단점 및 본인의 패션생활에의 적용방향에 대해) 및 고찰
‣한복의 장․단점
‣패션생활에의 적용방향
‣느낀 점 및 고찰

본문내용

성복이 대다수였고 남성복은 많이 디자인이나 기능면에서 많이 미흡 하여서 남자인 것이 약간 씁쓸하였다. 이러한 퓨전한복과 같이 한복의 개량에 있어서 너
무 패션이나 디자인만이 추구된다면 서양 옷을 닮아 한복도 아니고 서양 옷도 아닌 정쩡한 모습이 될 것이다. 한복은 어디까지나 넉넉하고, 몸을 감추는 옷이다. 서양 옷과는 반대의 개념을 가진다. 따라서 이 기본적인 원칙을 훼손해 가면서 개량화한다면 한복의 아무런 가치가 없을 것이다. 나 역시 한복이 한복 본질 자체를 훼손하지 않고 디자인과 기능면에서 우수하다면 한복을 입고 다닐 것이다.
느낀 점 및 고찰
지금까지 한복의 미적, 기능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나는 사실 불가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복에 대한 인식은 별로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정장은 입체적으로 도면하는데 비해 한복은 평면적이라서 불편하다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것은 나의 무지임을 머지않아 알 수 있었다. TV드라마 ‘황진이’의 한복을 디자인한 디자이너 김혜순씨는 이렇게 말한다. ‘평면과 입체의 차이는 옷의 근본적인 차이입니다. 동시에 동양과 서양의 차이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말해서 한복은 옷걸이에 거는 옷이 아닙니다. 접는 옷이에요. 옷에 선이 없으니 입으면 특유의 실루엣이 나오는 겁니다. 그래서 디자인보다는 입는 순서가 중요하고 그래서 태도가 중요한 옷입니다. 무엇을 입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입느냐가 중요한 거지요. 그것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나는 비로소 한복의 미학, 즉 평면의 미학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입는 사람의 태도가 중요하다는 말이 내 가슴에 너무 와 닿았다.
사실 나도 과제를 준비하는 과정과 인터넷 강의를 들으면서 한복에 대해 처음 알게 된 것이 대부분이다. 한복이 이렇게까지 과학적이고 미학적일 줄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지금이라도 우리민족의 의복인 한복에 대해서 알게 된 것이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과제를 준비하기 전까지만 해도 한복에 대한 나의 인식 혹은 태도가 좋았다고 말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전혀 반대이다. 한복은 우리나라의 얼굴로 우리나라의 문화를 대표하는 것이다. 이런 한복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단지 불편하다며 멀리하는 것은 우리문화를 지키는 올바른 태도라 할 수 없을 것이다. 조금 더 한복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조금 더 애용하려고 노력한다면 지금처럼 명절이나 행사 때만 입는 옷으로 전락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나는 한복이 좋아졌다. 물론 평소에 입는 옷만큼 편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래도 자주 입고 싶은 마음은 많이 생기는데 한복을 입고 다니면 이상하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현실이 잘못된 것 같다. 우리나라 사람이 우리나라의 옷인 한복을 입는데 ‘집안에 무슨 일 있어?, 어디 가?, 너 왜 그래?, 한복은 갑자기 왜 입었지?’ 이런 소리를 듣는다면 정말 무엇인가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된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앞으로는 한복 입을 수 있는 날을 많이 만들어져서 또 우리들의 인식이 빨리 전환되어서 아무렇지도 않게 한복을 입을 수 있는 날이 하루 빨리 다가오기를 바란다.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30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