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2. 관계 문헌의 개요 ————————————————————————— 2
Ⅱ. 본론
1. 사례연구 ———————————————————————————— 4
* 수술전 간호사정 ————————————————————————————————— 4
* 수술 중 간호기록(간호사정) ———————————————————————————— 5
2. 실습기록지 ——————————————————————————— 8
(1) 수술실 기본조직과 구조 ———————————————————————————— 8
(2)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 ——————————————————————————— 9
(3) 수술실 장비 및 기계 ————————————————————————————— 10
(4) 기본적인 수술기구 설명 —————————————————————————— 11
(5) Suture material 종류 및 사용법(봉합사, 봉합침) —————————————— 12
(6) 소독물품 취급법 ————————————————————————————— 14
(7) 수술체위 유형과 적용법 ———————————————————————————— 15
(8) Drape용 린넨의 종류와 사용법 ————————————————————————— 16
(9) 외과적 손소독법과 손 말리기 —————————————————————————— 16
(10) 수술가운과 장갑 착용법 ————————————————————————————17
(11) 소독과 멸균법 ———————————————————————————————— 18
(12) 마취와 간호 ————————————————————————————————— 22
(13) Frozen specimen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2. 관계 문헌의 개요 ————————————————————————— 2
Ⅱ. 본론
1. 사례연구 ———————————————————————————— 4
* 수술전 간호사정 ————————————————————————————————— 4
* 수술 중 간호기록(간호사정) ———————————————————————————— 5
2. 실습기록지 ——————————————————————————— 8
(1) 수술실 기본조직과 구조 ———————————————————————————— 8
(2)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 ——————————————————————————— 9
(3) 수술실 장비 및 기계 ————————————————————————————— 10
(4) 기본적인 수술기구 설명 —————————————————————————— 11
(5) Suture material 종류 및 사용법(봉합사, 봉합침) —————————————— 12
(6) 소독물품 취급법 ————————————————————————————— 14
(7) 수술체위 유형과 적용법 ———————————————————————————— 15
(8) Drape용 린넨의 종류와 사용법 ————————————————————————— 16
(9) 외과적 손소독법과 손 말리기 —————————————————————————— 16
(10) 수술가운과 장갑 착용법 ————————————————————————————17
(11) 소독과 멸균법 ———————————————————————————————— 18
(12) 마취와 간호 ————————————————————————————————— 22
(13) Frozen specimen
본문내용
조심한다.
Jacknife 체위
직장이나 항문 수술시 취하는 자세다. 호흡과 순환상태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므로 흉곽과 복부가 억제되지 않도록 하고 서혜부와 무릎, 발목 아래 부분이 압박 받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 상지의 신경과 목의 정맥이 압박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8) Drape용 린넨의 종류와 사용법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부위를 수술절개부위와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Self- adhering plastic sheeting
① Incise Drape
모든 drape에는 피부에 부착된 뒷면에 접착면이 있다. 이것은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방포 sheet와 함께 사용될 수 도 있다. 향균성 중합성 필름은 수술한 동안 환자의 피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키기 위한 Todin 효과를 천천히 증가시키는 rodophor를 함유한 접착물로 코딩되어 있다.
② Tower Drape
plastic sheeting에는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밴드가 있다. 방포수건을 사용할 경우 수건클립 없이 피부에 고정된다. 이것은 수술동안 x-ray에 노출되어야 할 부위의 clip을 치워야만 할 때 장점을 가진다.
③ Aperture Drape
구멍 주위에 접착면이 있는 plastic sheeting이다. 이것은 눈과 귀 같은 수술부위 주위의 피부를 방포하는데 편리하다.
Nonwover fabric drapes
rayon, nylon 또는 polyester 등의 합성 섬유와 목재 펄프 제제인 cellulose를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흡수성인 경우도 있고 비흡수성인 경우도 있다.
Woven fabric drapes
미생물이 이동을 방지해 줄 수 있다. 혈액, 조직액과 수술에 사용되는 생리식염수 등에 의해 쉽게 젖으면서 오염되고 솜털이 많이 날려 airborne, bacteria의 이동을 조장한다.
Draping 주의점
① 무균술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② 젖은 방포는 사용하지 않는다.
③ 소독부위에서 부소독 부위를 향하여 덮어준다.
④ 방포를 고정시키기 위해 towel clip 등을 사용한다.
⑤ 한번 덮어진 방포를 잡아당기거나 위치를 바꾸어서는 안되며, 필요한 부위에는 덧대어 주도록 한다.
⑥ 방포를 부소독 부위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높이 들되 머리나 무영등에 닿지 않도록 한다.
⑦ 방포의 끝이 허리수준 아래로 떨어지면 더 이상 만지지 말고 방포를 떨어뜨린 후 다른 포를 깐다.
구분
내용
소독액의 종류
① 비누
일반 비누 : 항균 및 살균효과가 전혀 없지만, 먼지 및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
항균 비누(antimicrobial soap) : 비상재성 및 상재성 미생물 제거에 효과적. 항균 비누를 사용할 경우에도 손을 자주 세척해야 한다.
②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gluconate : CHG)은 비상재성 세균은 물론 상재성 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에 효과가 있으나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 지속적인 항균효과가 뛰어나다.
③ 알콜(alcohol)
알콜은 세균에 대해 신속하게 효과를 나타낸다.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효과가 적으며 지속성이 떨어진다. 지나치게 잦은 알콜 소독(하루 25회 이상)은 피부지방 제거 및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④ 요오드 살균제(Iodophor)
비상재성 세균의 감소(99.2-99.5%)에 효과를 나타내지만 지속효과는 없다. 0.75% 이상 고농도의 제품은 잔류에 따른 이취 발생 및 피부착색을 유발하므로 주의한다.
⑤ 트리클로산(Triclosan)
그람양성 및 대부분의 그람음성 세균에 대해 광범위하며 신속한 살균효과가 있다. 1.5%의 트리클로산은 비상재성 세균에 대하여 지속적 살균 효과를 나타낸다.
소독시간
첫 수술시 hand scrub은 8-10분, 다음 수술부터는 5-8분정도 닦는다.
외과적 손소독법과 손말리기
① 손톱을 짧게 깎고 손톱 밑을 나무 스틱으로 깨끗이 한다.
② 브러시나 스펀지에 피부소독제를 묻혀 손가락 끝부터 팔꿈치에서 2인치 위까지 깨끗이 씻는다. 한쪽 팔을 씻은 후 다른 쪽 팔도 똑같이 씻는다.
③ 흐르는 수돗물로 손가락 끝부터 팔꿈치 까지 헹군다. 반대편 팔도 마찬가지로 헹군다. 손을 헹구는 동안 오염을 막기 위해 손끝의 위치를 팔꿈치보다 높게 유지한다.
④ 소독 수건으로 손과 전박을 닦은 후 소독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9) 외과적 손소독법과 손 말리기
(10) 수술가운과 장갑 착용법
수술가운착용
자기가 입는 법
① 접어진 가운의 목부분을 잡고 들어서 가볍게 털며 안쪽을 자기쪽에 닿게 한다.
② 펼쳐진 가운의 바깥쪽이 닿지 않게 소매속에 양 손을 넣어 입는다. 어깨선상에서 손을 유지시킨다
③ 순환간호사가 안쪽의 팔 솔기를 잡고 가운을 잡아당겨 손을 소매속으로 집어 넣는다.
④ 순환간호사가 가운의 목과 허리끈을 묶어 준다.
남에게 입혀 줄 때
① 손소독하고 가운 입은 간호사가 가운의 목 부분을 잡고 팔을 앞으로 뻗어 가볍게 턴다.
② 가운의 목 부분을 약간 접어 그 및에 간호사의 장갑 낀 손을 넣어 손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③ 가운의 안쪽을 입은 사람의 앞쪽으로 하여 팔을 끼게 하고, 순환간호사가 소매를 안쪽으로 잡아당겨 입힌 다음 끈을 매어준다.
장갑착용
자기가 끼는 법
① 손소독된 후에 끼게 되며, 부드럽게 끼기위해 가루를 사용하는데, 이때 가루가 날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② 한쪽 장갑 손목에 접어진 안쪽을 만져서 끼는데, 이때 장갑의 겉 부분을 만지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③ 장갑 낀 손으로 끼지 않은 다른 손에 장갑을 끼우는데, 이때는 겉 부분을 만져 낀다.
④ 양쪽 팔의 팔목 가운 위를 장갑의 접어졌던 것으로 덮어 올린다.
⑤ 장갑 양쪽을 낀 후 장갑에 묻은 가루를 젖은 sponge나 소독수에 씻는다.
남에게 끼워 줄 때
장갑의 접어진 속으로 장갑 낀 4개의 손가락을 넣고 엄지손가락은 밖으로 피하면서 빈 장갑의 엄지를 낄 사람 쪽으로 가게하고 벌려 준다.(끼는 사람은 언제나 손바닥 쪽을 자기 쪽으로 향하게 하고 벌려준 장갑에 손을 넣는다.)
폐쇄방법
손이 안보이도록 멸균가운을 내려 입고 멸균 가운 속에
Jacknife 체위
직장이나 항문 수술시 취하는 자세다. 호흡과 순환상태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므로 흉곽과 복부가 억제되지 않도록 하고 서혜부와 무릎, 발목 아래 부분이 압박 받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 상지의 신경과 목의 정맥이 압박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8) Drape용 린넨의 종류와 사용법
수술에 필요한 멸균된 부위를 수술절개부위와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Self- adhering plastic sheeting
① Incise Drape
모든 drape에는 피부에 부착된 뒷면에 접착면이 있다. 이것은 독자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방포 sheet와 함께 사용될 수 도 있다. 향균성 중합성 필름은 수술한 동안 환자의 피부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키기 위한 Todin 효과를 천천히 증가시키는 rodophor를 함유한 접착물로 코딩되어 있다.
② Tower Drape
plastic sheeting에는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밴드가 있다. 방포수건을 사용할 경우 수건클립 없이 피부에 고정된다. 이것은 수술동안 x-ray에 노출되어야 할 부위의 clip을 치워야만 할 때 장점을 가진다.
③ Aperture Drape
구멍 주위에 접착면이 있는 plastic sheeting이다. 이것은 눈과 귀 같은 수술부위 주위의 피부를 방포하는데 편리하다.
Nonwover fabric drapes
rayon, nylon 또는 polyester 등의 합성 섬유와 목재 펄프 제제인 cellulose를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 흡수성인 경우도 있고 비흡수성인 경우도 있다.
Woven fabric drapes
미생물이 이동을 방지해 줄 수 있다. 혈액, 조직액과 수술에 사용되는 생리식염수 등에 의해 쉽게 젖으면서 오염되고 솜털이 많이 날려 airborne, bacteria의 이동을 조장한다.
Draping 주의점
① 무균술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② 젖은 방포는 사용하지 않는다.
③ 소독부위에서 부소독 부위를 향하여 덮어준다.
④ 방포를 고정시키기 위해 towel clip 등을 사용한다.
⑤ 한번 덮어진 방포를 잡아당기거나 위치를 바꾸어서는 안되며, 필요한 부위에는 덧대어 주도록 한다.
⑥ 방포를 부소독 부위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높이 들되 머리나 무영등에 닿지 않도록 한다.
⑦ 방포의 끝이 허리수준 아래로 떨어지면 더 이상 만지지 말고 방포를 떨어뜨린 후 다른 포를 깐다.
구분
내용
소독액의 종류
① 비누
일반 비누 : 항균 및 살균효과가 전혀 없지만, 먼지 및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
항균 비누(antimicrobial soap) : 비상재성 및 상재성 미생물 제거에 효과적. 항균 비누를 사용할 경우에도 손을 자주 세척해야 한다.
②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gluconate : CHG)은 비상재성 세균은 물론 상재성 세균, 병원성 미생물, 곰팡이에 효과가 있으나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 지속적인 항균효과가 뛰어나다.
③ 알콜(alcohol)
알콜은 세균에 대해 신속하게 효과를 나타낸다.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효과가 적으며 지속성이 떨어진다. 지나치게 잦은 알콜 소독(하루 25회 이상)은 피부지방 제거 및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④ 요오드 살균제(Iodophor)
비상재성 세균의 감소(99.2-99.5%)에 효과를 나타내지만 지속효과는 없다. 0.75% 이상 고농도의 제품은 잔류에 따른 이취 발생 및 피부착색을 유발하므로 주의한다.
⑤ 트리클로산(Triclosan)
그람양성 및 대부분의 그람음성 세균에 대해 광범위하며 신속한 살균효과가 있다. 1.5%의 트리클로산은 비상재성 세균에 대하여 지속적 살균 효과를 나타낸다.
소독시간
첫 수술시 hand scrub은 8-10분, 다음 수술부터는 5-8분정도 닦는다.
외과적 손소독법과 손말리기
① 손톱을 짧게 깎고 손톱 밑을 나무 스틱으로 깨끗이 한다.
② 브러시나 스펀지에 피부소독제를 묻혀 손가락 끝부터 팔꿈치에서 2인치 위까지 깨끗이 씻는다. 한쪽 팔을 씻은 후 다른 쪽 팔도 똑같이 씻는다.
③ 흐르는 수돗물로 손가락 끝부터 팔꿈치 까지 헹군다. 반대편 팔도 마찬가지로 헹군다. 손을 헹구는 동안 오염을 막기 위해 손끝의 위치를 팔꿈치보다 높게 유지한다.
④ 소독 수건으로 손과 전박을 닦은 후 소독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9) 외과적 손소독법과 손 말리기
(10) 수술가운과 장갑 착용법
수술가운착용
자기가 입는 법
① 접어진 가운의 목부분을 잡고 들어서 가볍게 털며 안쪽을 자기쪽에 닿게 한다.
② 펼쳐진 가운의 바깥쪽이 닿지 않게 소매속에 양 손을 넣어 입는다. 어깨선상에서 손을 유지시킨다
③ 순환간호사가 안쪽의 팔 솔기를 잡고 가운을 잡아당겨 손을 소매속으로 집어 넣는다.
④ 순환간호사가 가운의 목과 허리끈을 묶어 준다.
남에게 입혀 줄 때
① 손소독하고 가운 입은 간호사가 가운의 목 부분을 잡고 팔을 앞으로 뻗어 가볍게 턴다.
② 가운의 목 부분을 약간 접어 그 및에 간호사의 장갑 낀 손을 넣어 손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③ 가운의 안쪽을 입은 사람의 앞쪽으로 하여 팔을 끼게 하고, 순환간호사가 소매를 안쪽으로 잡아당겨 입힌 다음 끈을 매어준다.
장갑착용
자기가 끼는 법
① 손소독된 후에 끼게 되며, 부드럽게 끼기위해 가루를 사용하는데, 이때 가루가 날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② 한쪽 장갑 손목에 접어진 안쪽을 만져서 끼는데, 이때 장갑의 겉 부분을 만지면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③ 장갑 낀 손으로 끼지 않은 다른 손에 장갑을 끼우는데, 이때는 겉 부분을 만져 낀다.
④ 양쪽 팔의 팔목 가운 위를 장갑의 접어졌던 것으로 덮어 올린다.
⑤ 장갑 양쪽을 낀 후 장갑에 묻은 가루를 젖은 sponge나 소독수에 씻는다.
남에게 끼워 줄 때
장갑의 접어진 속으로 장갑 낀 4개의 손가락을 넣고 엄지손가락은 밖으로 피하면서 빈 장갑의 엄지를 낄 사람 쪽으로 가게하고 벌려 준다.(끼는 사람은 언제나 손바닥 쪽을 자기 쪽으로 향하게 하고 벌려준 장갑에 손을 넣는다.)
폐쇄방법
손이 안보이도록 멸균가운을 내려 입고 멸균 가운 속에
추천자료
제왕절개 수술(Cesarean section) 환자 case
OBGY]관련검사와 수술 전후 처지
산부인과(GY)수술
백내장 수술환자 간호
위암(일반외과 수술) 케이스스터디
병원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사례, 수술실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직업병) 사례, 대우...
대장암의 수술 방법과 종류 및 간호
언론보도의 윤리적 쟁점,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윤리적 쟁점, 임신중절수술(낙태)과 유전자조작...
폐이식(Lung transplantation)수술전후 간호 성인간호
수술실 케이스 - laparoscopic choelcystectomy
남녀차별_남녀불평등,성차별사례,남성성형,여성성형,성형수술,연예인성형
문헌고찰-수술실 (동공반사, 지혈법, SKIN TEST)
[암치료] 암 치료방법(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적 치료, 면역치료, 골수이식)
[case study]수술간호(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