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_성격평가질문지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PAI척도에 대한 해석
1) 타당성 척도
2) 임상척도
3)치료 고려 척도
4)대인관계 척도

본문내용

가지 일에서 작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시험이나 이성문제와 같은 부분에서 약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지만 이 척도에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보아 그것이 나의 성격적인 요인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지지(NON) - 사회적 지지의 부족을 평가하는 이 척도에서 나의 점수는 40으로 상당히 낮은 점수를 받았다. 실제로 내 주위에는 영원한 나의 후원자인 부모님을 비롯하여 나를 믿어주는 동성 친구들과 내가 믿고 의지하는 이성친구가 있기 때문에, 힘들 때 언제든 그들에게 의지할 수 있고 기댈 수 있다. 낮은 비지지 점수로 알 수 있듯이 나의 사회적 지지는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치료거부(RXR) - 심리적, 정서적 측면을 변화시키려는 흥미와 동기를 이론적으로 예언하기 위한 속성과 태도를 평가하는 이 척도에서 나의 점수는 40점으로 정상 집단(49점)보다 다소 낮다. 우울집단이나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 집단에서 40 안팍의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보았을 때 나의 점수는 정상집단에서 벗어나 비정상 집단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치료에 대한 나의 태도(심리적, 정서적 측면을 변화시키려는 동기)가 부정적인 것을 나타낸다.
4)대인관계 척도
지배성(DOM) - 대인관계에서 개인적 통제와 독립성을 유지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이 척도에서 나의 점수는 47점으로 정상집단의 평균 점수와 일치한다. 이는 지배적이지도 않고 복종적이지도 않은 적절한 성향을 나타낸다. 우울증 집단의 T점수는 40으로 복종적인 성격을 나타내며 양극성 장애 집단의 T점수는 59로 다소 지배적임을 알 수 있다.
온정성(WRM) - 이는 대인관계에서 온정과 냉담 차원으로 구성된 척도로써, 이 점수가 낮으면 다소 냉정하고 높으면 온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의 점수는 44점으로 정상 집단의 점수보다 4점 정도 낮다. 사실 나는 냉담하고 거절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다지 온정적인 성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성격검사를 해 오면서 다양한 성격검사 결과들 간에 상당한 일관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건강염려에 관한 척도에서는 항상 평균보다 다소 높은 점수를 보이고, 반사회성 척도나 편집증, 온정성 척도 등에서는 낮은 점수를 보여 왔다. 이는 나의 성격 특성들이 일관성을 가지고 안정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과, 성격을 검사하는 성격검사들이 높은 타당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나온 결과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1.12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5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