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왕조실록 이란
2. 조선왕조실록 편찬의 유래
3. 조선왕조실록의 체제와 기술내용
4. 조선왕조실록의 보관
5. 참고문헌
2. 조선왕조실록 편찬의 유래
3. 조선왕조실록의 체제와 기술내용
4. 조선왕조실록의 보관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편찬 규례에도 맞지 않는 점이 많다.
2. 조선왕조실록 편찬의 유래
조선왕조실록은 황제나 국왕과 같은 제왕이 조정에서 일어나거나 보고되는 일들을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로서 일종의 연대기에 해당한다. 그 기원은 황제의 측근에서 매사를 기록하던 한 대의 기거주에서 시작되지만 실록이라는 명칭이 생긴 것은 6세기 중엽 양무제때 주흥사가 편찬한 황제실록이 처음이다 이후 당, 송 시대를 지나면서 그 체제가 정비되었다.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는 지속적으로 실록을 편찬하였으나 중세 이전의 것으로는 당대에 한유가 편찬한 순종실록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전하지 ㅇ낳는다. 다만 근세의 실록인 명실록 2909권과 청실록 3000여권이 전하고 있으나 조선왕조실록처럼 내용이 풍부하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초기부터 사관을 설치하고 실록을 편찬하였다. 태조에서부터 목종까지의 7대에 걸친 실록이 차례로 편찬되었으나 1011년 거란족의 침략으로 궁궐, 사관과 함께 소실되었다. 현정 13년에 황주량, 최충, 윤징고 등에게 칠대실록을 복원하도록 명하여 1034년에 완성하였다. 이를 이어 후대의 왕들도 실록을 편찬하였고, 조선 왕조도 고려의 전통을 계승하여
2. 조선왕조실록 편찬의 유래
조선왕조실록은 황제나 국왕과 같은 제왕이 조정에서 일어나거나 보고되는 일들을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로서 일종의 연대기에 해당한다. 그 기원은 황제의 측근에서 매사를 기록하던 한 대의 기거주에서 시작되지만 실록이라는 명칭이 생긴 것은 6세기 중엽 양무제때 주흥사가 편찬한 황제실록이 처음이다 이후 당, 송 시대를 지나면서 그 체제가 정비되었다.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는 지속적으로 실록을 편찬하였으나 중세 이전의 것으로는 당대에 한유가 편찬한 순종실록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전하지 ㅇ낳는다. 다만 근세의 실록인 명실록 2909권과 청실록 3000여권이 전하고 있으나 조선왕조실록처럼 내용이 풍부하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초기부터 사관을 설치하고 실록을 편찬하였다. 태조에서부터 목종까지의 7대에 걸친 실록이 차례로 편찬되었으나 1011년 거란족의 침략으로 궁궐, 사관과 함께 소실되었다. 현정 13년에 황주량, 최충, 윤징고 등에게 칠대실록을 복원하도록 명하여 1034년에 완성하였다. 이를 이어 후대의 왕들도 실록을 편찬하였고, 조선 왕조도 고려의 전통을 계승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