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음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음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다. 말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을 즐기는 시기이기도 하다. 리듬감을 키워 줄 수 있는 활동을 하자. 리듬에 맞춰 박수를 쳐 보도록 하는 것이 좋다. 3살이 넘어서면 자기가 직접 단순한 노래를 만들어 부르기도 한다. 이런 활동에 적극적으로 호응해 주자. 악기를 배우는 것은 4살 이후가 적당하다. 유아의 발달 속도나 인지 능력을 고려해서 가르쳐야 한다. 유아 음악교육기관 상지원 최윤정 교육실장은 “배우기 어려운 악기보다는 리듬막대나 딸랑이 같은 간단한 악기를 맘껏 갖고 놀게 하는 게 더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음악을 들려주면서 꼭 유의해야 할 점은 엄마도 함께 즐겨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 들으라고 음악을 틀어 놓고 엄마는 다른 일을 하는 것은 아이의 발달에 별 도움이 되질 않는다. 엄마와 의사소통이 잘 되도록 하면서 음악을 들어야 한다. 너무 많이 들려주는 것은 별로 도움이 되질 않는다. 하루 내내 틀어 놓는 ‘배경음악’은 아이의 두뇌에 별다른 자극을 주지 못한다고 한다. 아이가 집중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 안에서 자주 들려주는 것이 좋다.
음악은 장르에 상관없이 다 들려줘도 되지만 무엇보다 엄마가 좋아하는 음악이어야 한다. 클래식 음악이 좋다고 해도 엄마가 듣기 괴로워하면 아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함께 들어서 즐거운 음악을 고르는 것이 좋다. 또 멜로디와 박자 등 음감이 정확한 음악을 들려 주는 것이 좋다. 모차르트, 바흐, 비발디 등 바로크시대의 음악들이 주로 추천되는 것은 다른 시대의 음악에 비해 멜로디나 박자가 단순하고 반복적이기 때문에 아이가 받아들이기 쉽고 두뇌 발달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잘 만든 대중음악이라면 아이에게 들려주지 않을 이유가 없다.
아이가 좋아하는 음악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듣지 못하게 한다면 아이가 음악과 친해지지 않는다.
성결대 김인실 교수(유아교육)는 “생활 속에서 음악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음악적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출처 : http://www.fbeshop.com/infant/article_read.asp?cont_type=26&no=1895
유아음악 교육의 내용
제 1절. 음악적 개념의 영역
음악적 개념은 크게 음과 리듬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음의 개념으로는 음의 강약, 음의 장단, 음의 높낮이, 음색 등이 있으며, 리듬의 개념으로는 리듬과 속도, 박과 리듬패턴 등이 있다. 그 외 멜로디, 화성, 형식 등도 음악적 개념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다. 그럼 유아에게 가르쳐야 할 음악적 개념의 요소를 살펴 볼까요?
제 2절.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발달
1. 음에 관한 개념 발달
1) 음 개념 발달
유아는 생후 초기부터 음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발달시켜 나간다. 영아들도 음의 강약, 높낮이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
, 음의 강도, 즉 강하고 약함이 있다는 것을 개념화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어떤 음은 다른 음에 비해서 크거나 작다는 것을 알게 된다.
둘째, 음의 길이가 길거나 짧다는 것을 개념화하게 되어 어떤 음은 다른 음에 비해서 길거나 짧다는 것을 알게 된다. 먼저 보통빠르기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보통빠르기는 메트로롬 90-100정도입니다. 그 이유는 걷는 속도가 1분에 90-100보를 걷는 보행수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빠르기는 시대나 학자마다 조금씩 다를 수도 있습니다. 빠르기에서 알레그레토는 106을 기준으로, 알레그로는 130, 행진곡은 120정도인데 군인의 행진속도에 따른것입니다. 빠르기에 비해 느린곡으로 안단티노 80, 안단테는 72정도의 속도를 말한다.
그럼 보통빠르기를 느껴 볼까요? 음악을 들으면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