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삶의 주기의 8단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삶의 주기의 8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신뢰(Trust)와 불신(mistrust) : 출생 시부터 18개월까지
(2) 자율성(Autonomy) 과 수치 및 의심(shame and doubt) : 약 18 개월부터 3세까지
(3) 주도권(Initiative)과 죄책감(guilt) : 약 3세부터 5세까지.
(4) 근면성(Industry)과 열등감(inferiority) : 약 5세에서 13세 까지
(5) 정체감(Identity)과 정체감의혼란(identity confusion) : 13세부터 21세 전후까지
(6) 친밀감(Intimacy) 과 고립(isolation) : 21 세부터 40세까지
(7) 어른노릇(Generativity) 과 정체(stagnation) : 40세부터 60세 까지
(8) 성실(Integrity)과 좌절(despair) : 60 세부터 죽을 때까지
(9) 임상적 의미

본문내용

때까지 마음 속 저 깊은 곳으로 사라진다.
아이의 죄책감과 불안은 억압을 통해서 완화되고 주도권을 조절하기 위한 양심을 발전시키게 된다. 양심은 자기를 관찰하고, 자기를 벌 줄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이는 당연하지만, 부모와 사회적 권위가 아이의 마음 속에 자리잡은 것이다. 그 시기의 양심은 매우 원초적이고 거칠고 타협이란 게 없다. 그러나 이는 그 후에 이어지는 도덕심의 발달의 초석이 된다.
아이는 외디푸스적인 욕망을 접어두게 되자 이제는 관심을 가족 밖으로 돌려서 갈등과 죄책감이 덜한 경쟁을 할 수 있는 곳으로 돌리게 된다. 주도권을 점차 확장시켜 나가면서 그 후에는 현실적인 야망과 의도(purpose)라는 미덕을 발전시키게 된다.
주도권과 죄책감의 갈등을 성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경우 그 갈등은 나중에 전환장애, 억압, 공포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 갈등을 과도하게 보상하여 지나친 스트레스로 몰아갈 경우 정신신체 증상(psychosomatic disorder)가 생긴다.
(4) 근면성(Industry)과 열등감(inferiority) : 약 5세에서 13세 까지
아이는 이제 잠재기에 접어들어서 생산의 즐거움을 알게 된다. 새로운 기술을 배워서 근면성을 습득하고 자기가 한 일을 가지고 자부심을 느낀다. 자아의 경계는 자기의 도구와 기술에 까지 연장되고 작업원칙은...그에게 지속적인 집중과 땀흘리는 부지런함을 통해 작업완성의 기쁨을 가르친다. 아이가 일(공부)을 하면서 선생님과 동일시하게 되고 여러 직업을 가지고 싶어서 그 직업을 가지는 상상을 하게 된다. (축구경기를 보면, 축구 선수가 되어 골을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