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빈민상태를 심각히 여겨 자신의 재산을 투자, 런던의 빈민실태를 조사한 결과 런던시민의 1/3이상이 빈민이며 요크시의 빈곤상태도 대단히 심각하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빈민대책수립에 대한 영국국민들의 여론을 형성, 영국 사회복지정책수립의 기반을 형성하였다. 이는 영국의 선박지주로서, 대부호로서, 그들이 가진 개인적 양심과 소명감이 런던시민들을 빈곤의 처절함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공명심으로 연결되었고, 빈민의 연구조사 실태를 통하여 빈곤상황을 사회에 알림으로써 사회적 책임감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최근의 사회양심이론은 1950년대 영국 사회정책학의 통설로서 애용되었는데, 1952년에 출판된 Hall의 『현대영국의 사회서비스』에 잘 묘사되어 있다. 홀은 이 책에서 보건서비스와 소득보장프로그램, 주택과 도시계획,그리고 아동과 청년들을 위한 사회서비스에 관하여 기술하면서 사회복지란 다른 사람들의 불행을 도우려는 사회양심의 발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베이커는 사회양심론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다섯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 사회복지란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타인에 대한 사랑을 국가를 통해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는 사회적 의무감의 확대와 욕구에 대한 국민들의 지식 향상이라는 두 요인에 의해 변화된다.
셋째, 변화는 누적적이며 사회복지는 균일하게 변화하지는 않지만 계속 발전한다.
넷째, 개선을 불가피하며 현행 서비스는 지금까지의 것 중 최선의 것이다. 다섯째, 역사적으로 볼 때 현행 서비스가 완전한 것은 아닐지라도 사회복지의 주된 문제는 임 해결되었고 사회는 안정기반 위에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사회양심이론은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을 국가의 자선활동으로 간주한다. 즉, 국가의 복지활동을 동정주의적 관점으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연구를 다른 사회제도에 대한 연구와 구별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정치적 요인을 무시하고 사회복지정책을 이상주의와 인간사회에 관한 지식,정보의 발전의 결과라고 본다.
사회양심이론은 복지국가를 이룩하여 온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경험에서 결과론적으로 해석한 낙관적인 이론으로 생각된다. 특히 기독교적인 박애와 이웃사랑은 국가복지정책의 성장과 제도적 정착을 가져오는 초석이 되었다. 그리하여 사회적 양심 이론은 다음과 같은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
첫째, 만일 사회복지제도나 정책이 사회양심이론가들의 주장대로 본질적으로 인간이 지니고 있는 가치적 표현이라면 모든 사회에서 똑같은 가치의 표현을 볼 수 있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의 자비적 특성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국가의 역할에 관해 왜곡된 견해를 갖게 하여 사회복지발전과정의 정확한 이해를 방해하고 있다.
셋째, 특정의 문제가 특정한 시기에 문제로 인식되어 해결의 시도를 받게 되는 사회적 맥락에 관한 설명이 불가능한 것과 같이 사회복지의 형성 및 변화에 미치는 압력 및 영향에 관한 분석이 너무 협소하다는 것이다.
Ⅲ. 의견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이론을
최근의 사회양심이론은 1950년대 영국 사회정책학의 통설로서 애용되었는데, 1952년에 출판된 Hall의 『현대영국의 사회서비스』에 잘 묘사되어 있다. 홀은 이 책에서 보건서비스와 소득보장프로그램, 주택과 도시계획,그리고 아동과 청년들을 위한 사회서비스에 관하여 기술하면서 사회복지란 다른 사람들의 불행을 도우려는 사회양심의 발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베이커는 사회양심론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다섯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첫째, 사회복지란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타인에 대한 사랑을 국가를 통해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는 사회적 의무감의 확대와 욕구에 대한 국민들의 지식 향상이라는 두 요인에 의해 변화된다.
셋째, 변화는 누적적이며 사회복지는 균일하게 변화하지는 않지만 계속 발전한다.
넷째, 개선을 불가피하며 현행 서비스는 지금까지의 것 중 최선의 것이다. 다섯째, 역사적으로 볼 때 현행 서비스가 완전한 것은 아닐지라도 사회복지의 주된 문제는 임 해결되었고 사회는 안정기반 위에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사회양심이론은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을 국가의 자선활동으로 간주한다. 즉, 국가의 복지활동을 동정주의적 관점으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연구를 다른 사회제도에 대한 연구와 구별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정치적 요인을 무시하고 사회복지정책을 이상주의와 인간사회에 관한 지식,정보의 발전의 결과라고 본다.
사회양심이론은 복지국가를 이룩하여 온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적 경험에서 결과론적으로 해석한 낙관적인 이론으로 생각된다. 특히 기독교적인 박애와 이웃사랑은 국가복지정책의 성장과 제도적 정착을 가져오는 초석이 되었다. 그리하여 사회적 양심 이론은 다음과 같은 비판에 직면하게 된다.
첫째, 만일 사회복지제도나 정책이 사회양심이론가들의 주장대로 본질적으로 인간이 지니고 있는 가치적 표현이라면 모든 사회에서 똑같은 가치의 표현을 볼 수 있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의 자비적 특성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국가의 역할에 관해 왜곡된 견해를 갖게 하여 사회복지발전과정의 정확한 이해를 방해하고 있다.
셋째, 특정의 문제가 특정한 시기에 문제로 인식되어 해결의 시도를 받게 되는 사회적 맥락에 관한 설명이 불가능한 것과 같이 사회복지의 형성 및 변화에 미치는 압력 및 영향에 관한 분석이 너무 협소하다는 것이다.
Ⅲ. 의견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이론을
추천자료
교수학습이론 학습원리, 교수학습이론과 오수벨교수학습이론(유의미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의미와 의의, 브루너교수학습이론(발견학습이론)의 특징...
오수벨교수학습이론(유의미학습이론)의 의의와 분류, 오수벨교수학습이론(유의미학습이론)의 ...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의식과 무의식,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심리성적성격발...
구성주의학습이론(구성주의교육)의 원리와 기본가정, 구성주의학습이론(구성주의교육)의 학습...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의 이론적 배경, 심리사회적발달이론(에릭슨)과 자아정체감, 심리...
외국어습득이론(크라센)의 적용, 외국어습득이론(크라센)의 자연순서가설, 외국어습득이론(크...
카오스이론(혼돈이론)의 의미와 원리, 카오스이론(혼돈이론) 수학적 방법론, 카오스이론(혼돈...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 배경과 기본전제,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 특징, 인지발달이론(비고...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이론) 이론적배경과 원리,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이론) 변인, 조작...
발달이론에서, Pavlov와 Skinnerd 행동주의 학습이론, Bandurad 사회학습이론, Lorenz 동물생...
부모교육이론 중 한 이론을 선택하여 자신의 삶의 경험 혹은 가치관에 비추어 장점을 논하고,...
인지발달이론 : [유아발달] 인지발달이론과 정신분석이론의 유아기 특징을 기술하고 본인은 ...
<간호관리이론> 과학관리론특징 간호관리학이론 행정관리론 신고전기 고전기간호이론 현대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