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년들을 유혹하는 불건전 퇴폐 놀이문화 환경에 대한 정화작업 역시 동시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경기도 청소년종합상담실(2000). 청소년 놀이프로그램 WORKSHOP, 청소년 지도자 교육자료집.
김경철(1987).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보경문화사.
김병석 외(1999). “청소년의 놀이문화에 대한 조사 연구”, 청소년의 놀이문화, 청소년대화의 광장.
김신일 외(1992). 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연구원.
김영철(1998). “청소년 놀이문화 이해를 위한 시론”, 청소년의 놀이문화, 청소년대화의 광장.
김정명 외(1991). 청소년 놀이마당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원.
남정걸권이종 편(1988). 사회교육 및 청소년 프로그램 편람. 교육과학사.
바멜(1993). 여가와 인간행동. 하현국(역), 백산출판사.
박재환김문겸(1996). 근대사회와 여가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류한구(1987). “교육방법으로서의 놀이의 인식론적 고찰”, 교육과정이론의 쟁점, 교육과학사.
이윤구(1990). “90년대 청소년의 세계와 한국의 과제”, 한국청소년 연구 제1권 제3호, 한국청소년연구원.
전국재(1994). “놀이와 레크리에이션”, 청소년활동론. 한국청소년개발원.
조용환(1993). “체계적인 놀이연구를 위한 ‘놀이’개념의 검토”, 교육연구, 제2집.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청소년개발원 편(1993). 전통문화활동. 서원.
한국청소년개발원(1993). 놀이한마당 활동.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연구원(1990). 청소년전용 놀이마당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원.
Bregha, F.(1985). Leisure and freedom reexamined. In Goodale, T. L. &Witt, P. A.(Eds.). Recreation and Leisure: Isssues in an era of change(2nd ed.). PA.: Venture Publishing, Inc.
Conger, J. &Petersen, A.(1984). Adolescence and Youth(3rd ed.). NY: Harper &Row Publishers.
Gunter, B. G.(1987). The leisure experience: selected properties. Journal of leisure reaearch, 19, 115-130.
Hebb, D. O.(1955). Drives and the conceptual nervous system. Psychological review, 62. 243-254.
Huizinga, J.(1995). Homo Ludens :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Boston : Beacon Press.
Iso-Ahola, SW. E.(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lwa: Wm. C. Brown.
Jaffe, M.(1998). Adolescence. NY: Wiley.
Mannell, R. C., &Kleiber, D. A.(1997). A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PA.: Venture Publishing, Inc.
Neulinger, J.(1974). The Psychology of Leisure.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Rice, P.(1999). The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Culture(9th ed.), Boston: Allyn &Bacon.
Santrock, J. W.(1993). Adolescence(5th ed.). Wisconsin, Madison: Brown &Benchmark Publishers.
ABSTRACT
The Analysis on the Youth Culture of Play in Korean Society
Bang, Hee-Jeong(Kyonggi University)
The play have been recognized as key concept in 21th century. Homo Ludens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name in repr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in modern society. The play and culture must be an attractive item in global market. In the stream of globalization every nations have concerned about the role of play to understand youth life more satisfactorily and to develop the youth culture more competitively. This study attempted 1)to analyse the aspects of culture of play in youth, 2)to find out the problems of leisure-time activities in Korean young people 3)to propose the alternatives for the fostering on youth culture of play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existing data in diverse surveys. The analysis of this paper revealed that many of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were still living passively and dry in both of study and play situation. But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needed more precise supplementary explanation by the futher studies.
참 고 문 헌
경기도 청소년종합상담실(2000). 청소년 놀이프로그램 WORKSHOP, 청소년 지도자 교육자료집.
김경철(1987).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보경문화사.
김병석 외(1999). “청소년의 놀이문화에 대한 조사 연구”, 청소년의 놀이문화, 청소년대화의 광장.
김신일 외(1992). 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연구원.
김영철(1998). “청소년 놀이문화 이해를 위한 시론”, 청소년의 놀이문화, 청소년대화의 광장.
김정명 외(1991). 청소년 놀이마당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원.
남정걸권이종 편(1988). 사회교육 및 청소년 프로그램 편람. 교육과학사.
바멜(1993). 여가와 인간행동. 하현국(역), 백산출판사.
박재환김문겸(1996). 근대사회와 여가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류한구(1987). “교육방법으로서의 놀이의 인식론적 고찰”, 교육과정이론의 쟁점, 교육과학사.
이윤구(1990). “90년대 청소년의 세계와 한국의 과제”, 한국청소년 연구 제1권 제3호, 한국청소년연구원.
전국재(1994). “놀이와 레크리에이션”, 청소년활동론. 한국청소년개발원.
조용환(1993). “체계적인 놀이연구를 위한 ‘놀이’개념의 검토”, 교육연구, 제2집.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청소년개발원 편(1993). 전통문화활동. 서원.
한국청소년개발원(1993). 놀이한마당 활동.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연구원(1990). 청소년전용 놀이마당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원.
Bregha, F.(1985). Leisure and freedom reexamined. In Goodale, T. L. &Witt, P. A.(Eds.). Recreation and Leisure: Isssues in an era of change(2nd ed.). PA.: Venture Publishing, Inc.
Conger, J. &Petersen, A.(1984). Adolescence and Youth(3rd ed.). NY: Harper &Row Publishers.
Gunter, B. G.(1987). The leisure experience: selected properties. Journal of leisure reaearch, 19, 115-130.
Hebb, D. O.(1955). Drives and the conceptual nervous system. Psychological review, 62. 243-254.
Huizinga, J.(1995). Homo Ludens :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Boston : Beacon Press.
Iso-Ahola, SW. E.(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lwa: Wm. C. Brown.
Jaffe, M.(1998). Adolescence. NY: Wiley.
Mannell, R. C., &Kleiber, D. A.(1997). A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PA.: Venture Publishing, Inc.
Neulinger, J.(1974). The Psychology of Leisure.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Rice, P.(1999). The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Culture(9th ed.), Boston: Allyn &Bacon.
Santrock, J. W.(1993). Adolescence(5th ed.). Wisconsin, Madison: Brown &Benchmark Publishers.
ABSTRACT
The Analysis on the Youth Culture of Play in Korean Society
Bang, Hee-Jeong(Kyonggi University)
The play have been recognized as key concept in 21th century. Homo Ludens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name in repr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in modern society. The play and culture must be an attractive item in global market. In the stream of globalization every nations have concerned about the role of play to understand youth life more satisfactorily and to develop the youth culture more competitively. This study attempted 1)to analyse the aspects of culture of play in youth, 2)to find out the problems of leisure-time activities in Korean young people 3)to propose the alternatives for the fostering on youth culture of play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existing data in diverse surveys. The analysis of this paper revealed that many of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were still living passively and dry in both of study and play situation. But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needed more precise supplementary explanation by the futher studies.
추천자료
[남사당놀이][남사당패놀이][남사당놀이 정의][남사당놀이 특징]남사당놀이(남사당패놀이)의 ...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가마싸움놀이(가마타기)의 의미, 유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가...
[민속놀이]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구슬치기와 북한알치기,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구슬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닭싸움(닭싸움놀이)의 명칭, 응용,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닭싸움...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실뜨기(실뜨기놀이) 개념,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실뜨기(실뜨기...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제기차기의 목적, 유의점,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제기차기의 놀...
[민속놀이]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팽이치기(팽이놀이)의 정의, 교육적 가치, 한국 민속놀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중요성, 가치,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유래, 방법, 한국 민속놀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특징, 역사,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연날리기의 구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정의, 가치,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와 놀이, 단계별전통놀이, 한...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방치기(망줍기)의 종류, 규칙과 효과,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
봄 민속놀이(전통놀이) 호드기불기, 풀각시놀이, 여름 민속놀이(전통놀이) 두꺼비집짓기, 사...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윷놀이 역사, 지도,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윷놀이와 윷, 한국 민...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닭싸움(닭싸움놀이) 목적,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 닭싸움(닭싸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