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레나룻
2. 긴가민가
3. 눈시울
4. 맨송맨송하다
5. 미주알고주알
6. 비지땀
7. 부리나케
8. 사근사근하다
9. 알나리깔나리
10. 어중이떠중이
11. 미리내
12. 바람만바람만
2. 긴가민가
3. 눈시울
4. 맨송맨송하다
5. 미주알고주알
6. 비지땀
7. 부리나케
8. 사근사근하다
9. 알나리깔나리
10. 어중이떠중이
11. 미리내
12. 바람만바람만
본문내용
차림이나 행동을 했을 때 주위의 아이들이 서로 놀리면서 하는 말이다. 흔히 쓰이는 \'얼레리꼴레리\'나 \'얼레꼴레\'는 \'알나리깔나리\'가 변해서 된 말이다.
10. 어중이떠중이
\'어중이\'는 \'어중간하다\'가 명사화된 것으로 신분이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하게 낀 사람이라는 뜻이고, \'떠중이\'는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어중이떠중이\'는 여기 저기에서 모인 변변치 못한 사람들이란 뜻으로 쓰인다.
11. 미리내
미리내는 은하수를 이르는 우리말로 이 단어에는 우리 조상들의 재치와 센스가 스며있다. 미리내는 미르와 내가 합하여진 단어인데 미르는 용을 가르키는 우리말이며 내는 물(시냇물) 혹은 강을 가르키는 단어의 우리말이다.
12. 바람만바람만
바라보일 만한 정도로 뒤에 멀찍이 떨어져 따라가는 모양
10. 어중이떠중이
\'어중이\'는 \'어중간하다\'가 명사화된 것으로 신분이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하게 낀 사람이라는 뜻이고, \'떠중이\'는 정처없이 떠돌아다니는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
\'어중이떠중이\'는 여기 저기에서 모인 변변치 못한 사람들이란 뜻으로 쓰인다.
11. 미리내
미리내는 은하수를 이르는 우리말로 이 단어에는 우리 조상들의 재치와 센스가 스며있다. 미리내는 미르와 내가 합하여진 단어인데 미르는 용을 가르키는 우리말이며 내는 물(시냇물) 혹은 강을 가르키는 단어의 우리말이다.
12. 바람만바람만
바라보일 만한 정도로 뒤에 멀찍이 떨어져 따라가는 모양
추천자료
외래어와 차용어에 관한 조사 레포트 (우리말의 뿌리)
인터넷 신조어를 통해 본 우리말의 변화
지나치기 쉬운 주변의 우리말 찾기
4)국어-5-1. 소중한 우리말 -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에 대하여 알아보기
현대문자 생활 백서 우리말 맞춤법 띄어쓰기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
일상 생활에서 잘못 쓰이는 우리말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약안) (소중한 우리말 학습지도안)
2017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우리말의구조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