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참회 및 종교적 고백)
말라르메···반수신의 오후(상징시, 최고 걸작), 주사위의 일척(산문시)
랭보···지옥의 계절
발레리···젊은 파르크, 해변의 묘지, 레오나르도 다빈치 방법 서설, 손수 시론
---------------->>>>>>>>>>>>>>>>>>>>>고답파(프랑스에서 읾, 1860~1950)
리얼리즘의 한 분파
과학적 방법으로 실험·해부
이성보다 정욕을, 신성보다 동물적 충동을 대상으로 함
사회악에 필요 이상의 조명
졸라의 재창으로 번짐
······세계관·인생관으로 확대·심화
르콜트 드릴 중심-고티에, 보들레르, 말라르메, 베를렌
프랑스에서 유행한 시의 유파/반사회적·반자본적
낭만주의 반대/객관주의 강조(자연·사실주의와 상통)
현대 고답 시집
------------------>>>>>>>>>>>>>상징주의(프랑스에서 읾, 19C 말~20C 초)
독일
호프만슈탈(시, 극)···어제(극시), 의인과 죽음(희곡), 티치안의 죽음, 장미의 기사
게오르게···혼의 1년, 생활의 융단(시집) 새로운 나라(최후의 시집) 그림자 없는 여인(소설)
릴케···말테의 수기, 두이노의 비가, 기도 시집, 오귀스트 로댕(평)----(오스트리아)신낭만파/로댕의 비서
영국
시먼즈(시, 평)···낮과 밤, 런던 야경, 이탈리아의 거리거리
예이츠(시, 극)···이니스프리의 호도, 쿨 호의 백조, 아싱의 표류, 갈대밭에 이는 바람
벨기에
마테를링크-몬나반나(희곡) 1902/1911 노벨 문학상 수상
베르하렌-초기엔 상징시인 뻗어 가는 도시 1895(후기 작품)
저녁, 붕괴, 검은 횃불
영국, 엘리어트 및 imagism에 크게 영향
개인을 도그마와 형식에서 해방
일체의 어법에서 해방(반이성으로 전후 불안 표현)
프랑스의 트리스탕·차라가 취리히에서 일으킴(시 운동)
폐전의 허무, 항의, 불만, 공포, 파괴를 표현
초현실주의에 영향
1919. 기관지 문학-브로통, 아라공, 수포(초현실적 미의 강조)
1924. 앙드레 브로통의 초현실주의 선언···“인간의 상상에 자유를”
인간 해방을 위한 선악·종교·국가·가정 등 기성 가치 파괴
Dadaism에서->Sur-realism으로 발전
1929. ‘자크리고’의 자살(극단의 현실 도피)로 폐업
------------------------>>>>>>>>>>>>다다이즘(스위스에서 읾,1916)
------------------------->>>>>>>>>>>>초현실주의(프랑스에서 읾,1924~30)
-------------------------세기말(1890년대)
19C 말의 퇴폐·허무·회의/퇴폐파
찰나의 관능적 향락 탐닉/강력한 자극·피로 속의 독소 어린 쾌락의 미
O.Wilde가 대표적, 보들레르
김억 <오뇌의 무도>와 <태서문예신보>활동
황석우·주요한·이상화 등
-------------------------유미주의(영국에서 읾,19C 후반)
미를 인생의 지상 과제로/미의 창조 속에 인생의 의의 발견/사실주의와는 반대 Dandyism 경향
낭만주의에 접맥/‘예술을 위한 예술’주장
영 W.Pater->라파엘로 전파->O.Wilde
보들레르의 악의 꽃, 단눈치오의 시의 승리
상징ㅊ파, 데카당스, 고답파 등은 모두 유미주의의 계열
유미주의(상징주의, 실존주의)
T.E.Hulme 흄의 시론
형상주의·사상주의·영상주의···자유시 운동
애매한 개념 부정/명확한 심상 표현/새 운율 창조
집중적 효과를 누린 신시 운동-낭만주의에 반대/고전주의 복귀 재창
한국-1930년대 김기림, 정지용, 김광균, 장만영, 장서언, 박남수
----------------------------->>>>>>>>>>>이미지즘(1908~17)
----------------------------->>>>>>>>>>>상징주의(1910년대)
영 W.James의 ‘의식의 흐름’(의식 작용의 계속)에서 자극
발자크, 졸라, 모파상의 객관적 사상에 반기
내적 독백·감정의 간헐·무의식의 환상->Ich-roman, 자전적 독백체, 탐미적 문장, 심리적 시간
영국
J.Joyce···율리시스(1904.6.16 하루동안 스티븐슨과 레오폴드의 더블린 시에서의 의식 추적) 젊은 예술가의 초상(청년 스티븐슨의 정신 성장 과정/종교적 정신 구조 반축)
V.Woolf···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세월
D.H.Lawrence···채털리 부인의 사랑(클리퍼드의 처 ‘코니’와 산지기 ‘멜러즈’의 성과 심리)
프랑스
M.프루스트···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인칭의 회상풍 장면/과거 경험의 재구성/무의식적 기억)
미국
W.Faulkner···음향과 정노(백치의 의식에서 정상의 의식까지 4현실의 관찰) 존재 가치를 상실한 인간 현실의 모습을 제시
한국
이상···날개(‘나’와 처인 매춘부 ‘연심’/자의식 분석의 독백체 효시)
장용학, 손창섭, 최상길, 서기원, 이문희 등
모더니즘
기성 질서에 반항/자유·평등의 근대 사상 제창
한국에선 1934년경 최재서, 김기림이 도입
김기림, 김광균, 장서언, 이상 등 imagist와 같음
주지주의(영·미에서 읾, 1920년대)
1920년대 1차 대전 후 읾···Hulme->E.Pound->T.S.Elliot
감정·행동보다 지성·이론 중시···유미주의·상징주의 반대
E.Pound(미)···조이스, 엘리어트, 타고르 발굴/동서양 박학의 완벽한 심미주의 시인
T.S.Elliot(미->영)
성림(The Sacred wood. 1920. 평론. 인상 비평 반대, 전통주의 표방)
황무지(The Waste Land. 1922. 장시. 전쟁 후의 황막과 허무, 20C 영문학에 최대의 영향)
칵테일 파티(1949. 희곡)
A.Huxley(영)···냉조·풍자·기지의 명수/지식층의 회의적 경향 대변
대위법(냉소와 회의의 인생관), 놀라운 새 세상, 카자에 눈이 멀어
행동주의(1930년대)
1차 대전 후 ‘말로’ 중심으로 제창
과격한 행동으로 제 현실을 해결학좌 함
행동의 Humanism - 정치의 소용돌이에 몸을 던짐으로써, 불만과 충동에 넘치는 모험가로서 정신의 가능성 실현
현실과 행동을 결합함으로써 새 인간상 모색
프랑스:말로··· 행동주의 문학의 대표/전통적 소설 구성 무시-르포르타주 형식 선택
Ander M믹
말라르메···반수신의 오후(상징시, 최고 걸작), 주사위의 일척(산문시)
랭보···지옥의 계절
발레리···젊은 파르크, 해변의 묘지, 레오나르도 다빈치 방법 서설, 손수 시론
---------------->>>>>>>>>>>>>>>>>>>>>고답파(프랑스에서 읾, 1860~1950)
리얼리즘의 한 분파
과학적 방법으로 실험·해부
이성보다 정욕을, 신성보다 동물적 충동을 대상으로 함
사회악에 필요 이상의 조명
졸라의 재창으로 번짐
······세계관·인생관으로 확대·심화
르콜트 드릴 중심-고티에, 보들레르, 말라르메, 베를렌
프랑스에서 유행한 시의 유파/반사회적·반자본적
낭만주의 반대/객관주의 강조(자연·사실주의와 상통)
현대 고답 시집
------------------>>>>>>>>>>>>>상징주의(프랑스에서 읾, 19C 말~20C 초)
독일
호프만슈탈(시, 극)···어제(극시), 의인과 죽음(희곡), 티치안의 죽음, 장미의 기사
게오르게···혼의 1년, 생활의 융단(시집) 새로운 나라(최후의 시집) 그림자 없는 여인(소설)
릴케···말테의 수기, 두이노의 비가, 기도 시집, 오귀스트 로댕(평)----(오스트리아)신낭만파/로댕의 비서
영국
시먼즈(시, 평)···낮과 밤, 런던 야경, 이탈리아의 거리거리
예이츠(시, 극)···이니스프리의 호도, 쿨 호의 백조, 아싱의 표류, 갈대밭에 이는 바람
벨기에
마테를링크-몬나반나(희곡) 1902/1911 노벨 문학상 수상
베르하렌-초기엔 상징시인 뻗어 가는 도시 1895(후기 작품)
저녁, 붕괴, 검은 횃불
영국, 엘리어트 및 imagism에 크게 영향
개인을 도그마와 형식에서 해방
일체의 어법에서 해방(반이성으로 전후 불안 표현)
프랑스의 트리스탕·차라가 취리히에서 일으킴(시 운동)
폐전의 허무, 항의, 불만, 공포, 파괴를 표현
초현실주의에 영향
1919. 기관지 문학-브로통, 아라공, 수포(초현실적 미의 강조)
1924. 앙드레 브로통의 초현실주의 선언···“인간의 상상에 자유를”
인간 해방을 위한 선악·종교·국가·가정 등 기성 가치 파괴
Dadaism에서->Sur-realism으로 발전
1929. ‘자크리고’의 자살(극단의 현실 도피)로 폐업
------------------------>>>>>>>>>>>>다다이즘(스위스에서 읾,1916)
------------------------->>>>>>>>>>>>초현실주의(프랑스에서 읾,1924~30)
-------------------------세기말(1890년대)
19C 말의 퇴폐·허무·회의/퇴폐파
찰나의 관능적 향락 탐닉/강력한 자극·피로 속의 독소 어린 쾌락의 미
O.Wilde가 대표적, 보들레르
김억 <오뇌의 무도>와 <태서문예신보>활동
황석우·주요한·이상화 등
-------------------------유미주의(영국에서 읾,19C 후반)
미를 인생의 지상 과제로/미의 창조 속에 인생의 의의 발견/사실주의와는 반대 Dandyism 경향
낭만주의에 접맥/‘예술을 위한 예술’주장
영 W.Pater->라파엘로 전파->O.Wilde
보들레르의 악의 꽃, 단눈치오의 시의 승리
상징ㅊ파, 데카당스, 고답파 등은 모두 유미주의의 계열
유미주의(상징주의, 실존주의)
T.E.Hulme 흄의 시론
형상주의·사상주의·영상주의···자유시 운동
애매한 개념 부정/명확한 심상 표현/새 운율 창조
집중적 효과를 누린 신시 운동-낭만주의에 반대/고전주의 복귀 재창
한국-1930년대 김기림, 정지용, 김광균, 장만영, 장서언, 박남수
----------------------------->>>>>>>>>>>이미지즘(1908~17)
----------------------------->>>>>>>>>>>상징주의(1910년대)
영 W.James의 ‘의식의 흐름’(의식 작용의 계속)에서 자극
발자크, 졸라, 모파상의 객관적 사상에 반기
내적 독백·감정의 간헐·무의식의 환상->Ich-roman, 자전적 독백체, 탐미적 문장, 심리적 시간
영국
J.Joyce···율리시스(1904.6.16 하루동안 스티븐슨과 레오폴드의 더블린 시에서의 의식 추적) 젊은 예술가의 초상(청년 스티븐슨의 정신 성장 과정/종교적 정신 구조 반축)
V.Woolf···댈러웨이 부인, 등대로, 세월
D.H.Lawrence···채털리 부인의 사랑(클리퍼드의 처 ‘코니’와 산지기 ‘멜러즈’의 성과 심리)
프랑스
M.프루스트···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인칭의 회상풍 장면/과거 경험의 재구성/무의식적 기억)
미국
W.Faulkner···음향과 정노(백치의 의식에서 정상의 의식까지 4현실의 관찰) 존재 가치를 상실한 인간 현실의 모습을 제시
한국
이상···날개(‘나’와 처인 매춘부 ‘연심’/자의식 분석의 독백체 효시)
장용학, 손창섭, 최상길, 서기원, 이문희 등
모더니즘
기성 질서에 반항/자유·평등의 근대 사상 제창
한국에선 1934년경 최재서, 김기림이 도입
김기림, 김광균, 장서언, 이상 등 imagist와 같음
주지주의(영·미에서 읾, 1920년대)
1920년대 1차 대전 후 읾···Hulme->E.Pound->T.S.Elliot
감정·행동보다 지성·이론 중시···유미주의·상징주의 반대
E.Pound(미)···조이스, 엘리어트, 타고르 발굴/동서양 박학의 완벽한 심미주의 시인
T.S.Elliot(미->영)
성림(The Sacred wood. 1920. 평론. 인상 비평 반대, 전통주의 표방)
황무지(The Waste Land. 1922. 장시. 전쟁 후의 황막과 허무, 20C 영문학에 최대의 영향)
칵테일 파티(1949. 희곡)
A.Huxley(영)···냉조·풍자·기지의 명수/지식층의 회의적 경향 대변
대위법(냉소와 회의의 인생관), 놀라운 새 세상, 카자에 눈이 멀어
행동주의(1930년대)
1차 대전 후 ‘말로’ 중심으로 제창
과격한 행동으로 제 현실을 해결학좌 함
행동의 Humanism - 정치의 소용돌이에 몸을 던짐으로써, 불만과 충동에 넘치는 모험가로서 정신의 가능성 실현
현실과 행동을 결합함으로써 새 인간상 모색
프랑스:말로··· 행동주의 문학의 대표/전통적 소설 구성 무시-르포르타주 형식 선택
Ander M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