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론 요약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모교육론 요약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태도
칭찬과 격려를 혼동하는 예 격려의 실례
제4장
《의사소통 : 반영적 경청》
자녀가 감정을 표현할 때
-부모가 인습적으로 하는 역할
효과적인 경청자 반영적 경청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반응 반영적 경청에 대한 부모의 반응
반영적 경청에 대한 자녀의 반응 느낌을 나타내는 단어
반영적 경청 방법 익히기 반영적 경청에서의 주의점
제5장
《의사소통 : 대안찾기, 부모의 생각과 느낌의 표현》
대안찾기 문제를 가진 사람
「나-메시지」 「나-메시지」의 방법
어린이 존중
제6장
《책임감 훈육방법》
기본 원리 결과 적용의 단계
「논리적 결과」에 관한 주의점
제7장
《자연적논리적 결과의 활용》
제8장
《가족모임》
가족 모임을 위한 지침 지도력
가족 모임의 시작 시기 한쪽 부모와 가족 모임 갖기
어린이에게 가족 모임 소개하기 가족 모임의 시작
일반적인 실수
제9장
《자신감 개발 및 잠재력 발휘》
4. STEP프로그램에서의 유의사항
(1) 의사소통은 듣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자녀의 느낌이나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듣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라.
(2) 효과적으로 듣는다는 것은 눈과 눈의 접촉, 자세 등으로 나타내야 한다.
(3) 잔소리, 비평, 위협, 강의하기, 조사하기, 놀리기는 하지 않도록 한다.
(4) 제일 친한 친구를 대하듯이 자녀를 대한다.
(5) 상호존중은 자녀의 느낌을 받아들이는 것을 포함한다.
(6) 사려깊이 듣는다는 것은 자녀의 느낌이나 마음에 품은 뜻을 들어준다는 것이며 이럴 때 자녀는 이해받는다고 느끼게 된다. 이렇게 들어주는 것은 자녀들이 자신을 명확히 볼 수 있게 하는 거울의 역할을 한다.
(7)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며 의미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공개적인 반응을 하도록 한다.
(8) 자녀의 느낌을 무시하는 폐쇄적 반응은 피하고 개방적 반응을 하도록 한다.
(9) 자녀 스스로 배우게 한다. 자녀에게 당신 자신의 해결방안을 주려는 충동을 억제한다.
5. STEP프로그램의 효과
STEP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조사연구를 통해 부모양육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Kozlowski(1978)는 실험집단의 부모 11명을 대상으로 STEP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부모들이 자녀를 이해하고 신뢰하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Moline(1979)은 Salt Lake County Court System으로부터 소환된 학대부모들에게 STEP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그들의 독재적인 태도를 민주적인 태도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변화시키기 어려운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가 나온 주된 원인은 STEP프로그램이 종합적이며 조직화, 체계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실시과정이 단계적이어서 부모들의 점진적인 향상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과정을 거치면서 부모들은 점진적으로 자신의 잘못된 태도를 수정하고 민주적인 양육태도에 접근하여 가는 것이다.
STEP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많은 연구들을 살펴보면,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들은 자녀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함으로써 자녀의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Mckay(1976)는 4세~13세 어린이의 어머니 26명을 통제집단 12명, STEP집단 14명으로 무선 배정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자녀의 행동에 대한 지각을 조사한 결과, STEP집단의 어머니들은 자신들이 목표로 한 긍정적인 변화가 자녀 행동에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STEP의 효과는 Mckay와 Hillman(1979)에 의해 다시 확인되었다.
Bauer(1978)는 STEP집단과 Dreikurs집단의 부모 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녀 행동에 대한 지각이 두 집단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고하였다. Villegas(1978)는 4세~14세 어린이의 어머니 28명을 통제집단 14명, STEP집단 14명으로 양분하고 자녀 행동에 대한 지각을 비교한 결과, STEP집단 어머니들이 자녀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Sellick(1979)은 초등학교 어린이의 어머니 64명을 네 집단으로 분류하여 세 집단에서는 STEP교육을 실시하고 한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에는 두 시간의 교육을 실시하고, 둘째 집단에는 한 시간의 교육을 실시하며, 셋째 집단에서는 독서요법만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TEP 집단 중에서는 첫째 집단에 속한 어머니들이 나머지 집단에 속한 어머니들보다 자녀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Wantz(1984)는 4세~5세 유아의 어머니 11명이 STEP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유아의 행동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양영희(1986)는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3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STEP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9주 동안 빠짐없이 참석한 어머니 1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유아에 대한 전체적인 변화반응을 알아본 결과, 자녀와의 긍정적 관계 수립, 책임 있는 부모로서의 행동, 자신감과 가치관 길러주기, 의사소통, 훈육 시 논리적 결과 사용하기 등의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부모 자신에 대한 긍정적 신념도 가지게 되고 가족 모임도 규칙적으로 가지게 되는 비율이 높아졌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STEP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유아의 행동을 더욱 긍정적으로 지각한다고 밝혀졌다. 이는 STEP이 주장하는 어린이의 행동 이해에 부응하는 결과이며 동시에 어린이의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암시해 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STEP프로그램은 유아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과 유아의 행동변화 모두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참/고/문/헌】
1. Don Dinkmeyer, Gray D Mckay, 이경우(역)(1986),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 창지사
2. 양영희(1986), STEP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유안진, 김연진(1993),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동문사.
4. 이경우(1985),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방법 및 전략 방향,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모색Ⅱ, 한국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회(편).
5. 이원영(1993), 부모교육론, 교문사.

키워드

부모,   교육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4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