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목차
조직구조론
본문내용
사결정자의 자기 이익에 따라 최종선택되는 경향이 있으며 현실적으로 의사결정자들은 조직의 유효성에 적합한 최적선택이 아닌 자기 이익과 관련된 만족스러운 대안을 선택하는 만족선택을 하게 되며, 여기서 권력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조직의 어떠한 부서를 축소하는 것이 조직에는 이익이 되고 의사결정자에게도 이익이 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자기 부서의 규모 축소에 대해 해당관리자는 대단히 소극적인 경향이 있다.
2. 목표추구과정과 권력작용
규모, 기술, 환경, 전략 등 합리성을 가정하는 측에서는 조직의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강조한다. 그러나 조직의 목표는 다원적이며 개인이나 집단의 선호성에 따라 상이한 다원적 목표가 존재한다. 따라서 조직의 이익보다 자신의 이익에 적합한 구조형성을 위해 투쟁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권력과 조직정치가 만연하며 은근히 조직유효성으로 포장하여 자신의 선호기준과 주장을 합리화 시킨다.
Ⅴ. 권력작용과 조직구조
1. 상황변수와 조직구조
기술론자와 환경론자들은 조직구조를 기술이나 환경의 요구에 따라 적응하고 반응하는 실체로 본다. 이에 비해 권력론자들은 조직구조를 기술과 환경의 변화여건에 따라 합리적으로 변화하는 실체로 보지 않고, 권력을 잡고 있는 사람들의 지배권을 유지,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메커니즘으로 본다. 권력론자들은 지배집단이 기술면에서 일상적인 기술의 도입을, 환경면에서 불확실성의 감소 관리를 시도함으로써 권력을 유지할 수 있는 조직구조를 선택해 나간다고 본다.
2. 기본변수와 조직구조
조직구조에 대한 권력작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기계적인 구조를 택하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기계적인 구조는 안정성, 일상화 그리고 중앙집권적 통제를 행하는 데 가장 적합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권력을 가진 사람은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복잡성이 낮으며 공식화와 집권화가 높은 구조를 선택하려 할 것이다.
1) 복잡성
조직의 심화된 분화(수직, 수평, 장소)는 조정과 통제상의 어려움을 가져오므로 지배집단의 경영자는 여타 상황이 동일하다면 낮은 복잡성의 구조를 선호한다. 경영자는 조직유효성 기준을 충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통제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되도록 낮은 정도의 복잡성을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은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복잡한 조직구조의 통제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복잡한 조직도 강하게 통제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2) 공식화
구성원들이 준수하는 법칙과 규정이 확립될수록 권력층의 통제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권력자들은 가능한 한 높은 공식화를 추구하게 된다.
3) 집권화
현실적으로 조직의 분권화는 좀처럼 잘 일어나지 않는다. 형식적으로 분권화를 행한 조직체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분권화는 좀처럼 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정보기술의 도입으로 분권화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통제가 가능하므로(ERP, MIS 등) 집권화는 더욱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結)
* 직능부제조직(25)
Ⅰ. 서(序)
1. 직능부제 조직의 의의
2. 기업 기능의 구성
1) 라인부분
2) 스탭부분
Ⅱ. 직능부제 조직의 유형
1. 기본유형
2. 수정유형
3. 적합한 상황
Ⅲ. 직능부제 조직형성의 장단점
1. 장점
1) 규모의 경제 획득
2) 기능별 기술개발 용이
3) 기능 목표달성 가능
4) 중간 이하 규모의 조직에 적합
5) 소품종 생산에 적합
2. 단점
1) 조직의 경직화
2) 정보소통능력의 결핍
3) 부문의 독립화
4) 최고경영자에 대한 과다한 업무집중
5) 기업가적 인재육성의 한계
6) 전략적 생존능력 경시
Ⅳ. 직능부제 조직과 조직행동
1. 커뮤니케이션
2. 의사결정
3. 권력과 정치
4. 집단구조
5. 갈등관계
6. 리더십
Ⅴ. 결(結)
Ⅰ. 서(序)
1. 직능부제 조직의 의의
직능부제 조직은 전체 조직을 기능별 분류에 따라 형성시키는 것으로 조직구조 형성의 기본요소가 되며, 모든 조직의 기준이 된다. 직능 전문화의 원리에 따라 각 기능을 분리하여 동일 종류별로 집약시킴으로써 각각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 내지 기술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조직단위를 형성하는 것이다.
2. 기업 기능의 구성
1) 라인부분
라인부분은 기업 고유의 목적에 직접 참가하는 생산과 영업부분으로 연구개발, 구매를 포함한 생산과 시장을 분석하는 판매시스템으로 구성된다.
2) 스탭부분
스텝부분은 라인을 도와주는 인사와 재무부분으로 이를 합쳐 관리부분이라고도 한다. 기업은 생산기술, 마케팅 기술, 관리기술을 축적하여 계속 조직으로 성장하게 된다.
Ⅱ. 직능부제 조직의 유형
1. 기본유형
직능부제 유형의 기본유형은 생산-판매-관리로 형성되며, 연구개발, 구매를 포함시켜 확장된 형태를 갖는다.
2. 수정유형
직능부제 유형의 수정유형은 기본유형을 약간 변형한 것으로 제품별 중앙조정부문과 지역별 중앙조정부문식의 직능부제가 그것이다. 전자는 생산제품이 단일제품이 아닌 경우 제품별로 통괄관리하는 중앙조정부문을 설정함으로써 직능부제를 확립하는 방식이고, 후자는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기업에서 지역적으로 통괄관리하는 중앙조정부문을 설정함으로써 직능부제를 확립하는 방식이다.
Ⅲ. 직능부제 조직형성의 장단점
1. 장점(규개목종소)
1) 규모의 경제 획득
직능부제의 가장 큰 장점은 유사한 업무를 결합시킴으로써 생기는 전문화의 이점, 즉 규모의 경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2) 기능별 기술개발 용이
같은 기능을 가진 사람들이 동일한 장소에서 업무를 수행하면 자원과 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개인의 업무에 필요한 모든 기술을 그가 속한 부서내에서 숙달시킬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기술을 익히는 데 유익하다.
3) 기능 목표달성 가능
같은 부서내에서 같은 기능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는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업무 분위기 향상으로 업무능률이 좋아져 목표달성에 유리하다.
4) 중간 이하 규모의 조직에 적합
소규모 조직, 소품종 생산 조직에서 기능조직은 전문화의 이점이 잘 살아나고 상당히 유효하다.
5) 소품종 생산에 적합
소품종 생산에 있어서는 그만큼 조직구조가 단순해지고 기능간의 조정의 필요성이 적어지므로 기능조직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이
2. 목표추구과정과 권력작용
규모, 기술, 환경, 전략 등 합리성을 가정하는 측에서는 조직의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강조한다. 그러나 조직의 목표는 다원적이며 개인이나 집단의 선호성에 따라 상이한 다원적 목표가 존재한다. 따라서 조직의 이익보다 자신의 이익에 적합한 구조형성을 위해 투쟁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권력과 조직정치가 만연하며 은근히 조직유효성으로 포장하여 자신의 선호기준과 주장을 합리화 시킨다.
Ⅴ. 권력작용과 조직구조
1. 상황변수와 조직구조
기술론자와 환경론자들은 조직구조를 기술이나 환경의 요구에 따라 적응하고 반응하는 실체로 본다. 이에 비해 권력론자들은 조직구조를 기술과 환경의 변화여건에 따라 합리적으로 변화하는 실체로 보지 않고, 권력을 잡고 있는 사람들의 지배권을 유지,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메커니즘으로 본다. 권력론자들은 지배집단이 기술면에서 일상적인 기술의 도입을, 환경면에서 불확실성의 감소 관리를 시도함으로써 권력을 유지할 수 있는 조직구조를 선택해 나간다고 본다.
2. 기본변수와 조직구조
조직구조에 대한 권력작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기계적인 구조를 택하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기계적인 구조는 안정성, 일상화 그리고 중앙집권적 통제를 행하는 데 가장 적합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권력을 가진 사람은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서 복잡성이 낮으며 공식화와 집권화가 높은 구조를 선택하려 할 것이다.
1) 복잡성
조직의 심화된 분화(수직, 수평, 장소)는 조정과 통제상의 어려움을 가져오므로 지배집단의 경영자는 여타 상황이 동일하다면 낮은 복잡성의 구조를 선호한다. 경영자는 조직유효성 기준을 충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통제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되도록 낮은 정도의 복잡성을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은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복잡한 조직구조의 통제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복잡한 조직도 강하게 통제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2) 공식화
구성원들이 준수하는 법칙과 규정이 확립될수록 권력층의 통제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권력자들은 가능한 한 높은 공식화를 추구하게 된다.
3) 집권화
현실적으로 조직의 분권화는 좀처럼 잘 일어나지 않는다. 형식적으로 분권화를 행한 조직체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분권화는 좀처럼 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정보기술의 도입으로 분권화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통제가 가능하므로(ERP, MIS 등) 집권화는 더욱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Ⅵ. 결(結)
* 직능부제조직(25)
Ⅰ. 서(序)
1. 직능부제 조직의 의의
2. 기업 기능의 구성
1) 라인부분
2) 스탭부분
Ⅱ. 직능부제 조직의 유형
1. 기본유형
2. 수정유형
3. 적합한 상황
Ⅲ. 직능부제 조직형성의 장단점
1. 장점
1) 규모의 경제 획득
2) 기능별 기술개발 용이
3) 기능 목표달성 가능
4) 중간 이하 규모의 조직에 적합
5) 소품종 생산에 적합
2. 단점
1) 조직의 경직화
2) 정보소통능력의 결핍
3) 부문의 독립화
4) 최고경영자에 대한 과다한 업무집중
5) 기업가적 인재육성의 한계
6) 전략적 생존능력 경시
Ⅳ. 직능부제 조직과 조직행동
1. 커뮤니케이션
2. 의사결정
3. 권력과 정치
4. 집단구조
5. 갈등관계
6. 리더십
Ⅴ. 결(結)
Ⅰ. 서(序)
1. 직능부제 조직의 의의
직능부제 조직은 전체 조직을 기능별 분류에 따라 형성시키는 것으로 조직구조 형성의 기본요소가 되며, 모든 조직의 기준이 된다. 직능 전문화의 원리에 따라 각 기능을 분리하여 동일 종류별로 집약시킴으로써 각각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 내지 기술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조직단위를 형성하는 것이다.
2. 기업 기능의 구성
1) 라인부분
라인부분은 기업 고유의 목적에 직접 참가하는 생산과 영업부분으로 연구개발, 구매를 포함한 생산과 시장을 분석하는 판매시스템으로 구성된다.
2) 스탭부분
스텝부분은 라인을 도와주는 인사와 재무부분으로 이를 합쳐 관리부분이라고도 한다. 기업은 생산기술, 마케팅 기술, 관리기술을 축적하여 계속 조직으로 성장하게 된다.
Ⅱ. 직능부제 조직의 유형
1. 기본유형
직능부제 유형의 기본유형은 생산-판매-관리로 형성되며, 연구개발, 구매를 포함시켜 확장된 형태를 갖는다.
2. 수정유형
직능부제 유형의 수정유형은 기본유형을 약간 변형한 것으로 제품별 중앙조정부문과 지역별 중앙조정부문식의 직능부제가 그것이다. 전자는 생산제품이 단일제품이 아닌 경우 제품별로 통괄관리하는 중앙조정부문을 설정함으로써 직능부제를 확립하는 방식이고, 후자는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기업에서 지역적으로 통괄관리하는 중앙조정부문을 설정함으로써 직능부제를 확립하는 방식이다.
Ⅲ. 직능부제 조직형성의 장단점
1. 장점(규개목종소)
1) 규모의 경제 획득
직능부제의 가장 큰 장점은 유사한 업무를 결합시킴으로써 생기는 전문화의 이점, 즉 규모의 경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2) 기능별 기술개발 용이
같은 기능을 가진 사람들이 동일한 장소에서 업무를 수행하면 자원과 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개인의 업무에 필요한 모든 기술을 그가 속한 부서내에서 숙달시킬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기술을 익히는 데 유익하다.
3) 기능 목표달성 가능
같은 부서내에서 같은 기능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는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업무 분위기 향상으로 업무능률이 좋아져 목표달성에 유리하다.
4) 중간 이하 규모의 조직에 적합
소규모 조직, 소품종 생산 조직에서 기능조직은 전문화의 이점이 잘 살아나고 상당히 유효하다.
5) 소품종 생산에 적합
소품종 생산에 있어서는 그만큼 조직구조가 단순해지고 기능간의 조정의 필요성이 적어지므로 기능조직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이
추천자료
[조직관리] KBS 조직구조 개편과 팀제도입
경영 전략,롯데 호텔의 인사 시스템과 조직구조 문제점 및 대안과 개선방안,현대조직이론을 ...
세계 대표 기업인 구글의 조직문화 및 조직구조
[조직행동]삼일회계법인 조직구조 사례분석
변형된 현대 조직 유형들 (조직구조론)
집단 구조에 대한 조직구조론상 검토
경영조직론상 woodward의 기술과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
이마트경영,이마트조직구조,조직사회,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
CJ E&M 기업분석-CJ E&M 기업의 조직구조,인사관리 시스템,기업의 조직문화,기업의 ...
중앙경찰(경찰청 警察廳) 조직구조 - 경찰청장(중앙경찰관청) 및 경찰청 차장, 경찰청 하부조...
양창삼,e조직이론 조직구조의 형성, 전문화와 조정
넥슨의 조직 문화 & 조직구조
[조직행동론] 조직구조의 기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