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북한의 음악 문화>
<2부 남북한 음악의 비교>
<2부 남북한 음악의 비교>
본문내용
1999년 12월 남.북 대중가수들이 한 무대에 선 `2000년 평화친선음악회'와, `민족통일음악회'를 각각 개최함으로써 남.북 공연예술 교류의 활성화 가능성을 한층 높여왔다.
▶ 85년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 교환방문' (서울, 평양)
▶ 89년 10월 `범민족통일음악회'(평양), 12월 `송년통일전통음악회'(서울)
▶ 92년 `사할린 제1회 통일예술제', `뉴욕 한겨레음악회'
▶ 98년 ‘리틀엔젤스예술단’ 방북 공연 (평양)
▶ 98년의 `제1회 윤이상통일음악회'.(평양)
▶ 99년 12월 `2000년 평화친선음악회'와, `민족통일음악회'(서울, 평양)
■최근 들어서는 지휘자 금난새의 유라시안필하모닉과 소프라노 조수미 등 남.북한 및 세계 각국의 음악인들이 함께 출연하는 `2000평화를 위한 국제음악회'를 평양 모란봉극장에서 개최키로 했다 공연 직전 이를 연기함으로써 `공연예술 교류의 퇴보'라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특히 `윤이상통일음악회'를 제외하고 `2000년 평화친선음악회'와 `민족통일음악회', `2000 평화를 위한 국제음악회' 등 최근 민간차원에서 성사 또는 추진됐던 공연 대부분이 북측에 공연대가를 지불했다는 점과 북측이 당초 약속했던 남한 공연이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되지도 않은 점 등은 남.북간 공연예술 교류의 순수성을 떨어뜨리는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지난 10년간 남북 음악교류는 우리의 방향과 목적 그리고 교류 후의 음악적 영향에 관해서 남한의 여러 음악인들이 고민을 종합하고 그들의 합의로 성사된 것이 아니라 정치권의 대북전략이나 국제정세에 따라 음악교류가 진행되었다. 예를 들면, 2000년 남북 음악교류는 북미간의 관계 호전과 남북 경협의 적극적 추진과 관련이 있었다. 국제 정세와 정치 논리에 휘둘렸던 음악 교류는 음악 유산을 활용해야 하는 음악계에는 별 영향과 성과가 없었다. 따라서 약 10년간의 음악교류는 음악인의 손에서 양측의 음악계를 살찌우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정치 교류의 다른 모양에 불과한 것이었다.
■남북한 음악교류는 이제 조금씩 변해나가야 한다. 정치권이나 국제 정세의 전략적 수단으로만 사용된다면, 남북한 음악의 발전과 그 질은 점점 더 뒤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과거의 정치적 음악 교류와 같이 정권에 따라 변하는 것이 아닌 음악인의 합의를 통해 음악인의 손으로 음악계의 이익을 위해 진행되어야 한다는 원칙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 일본 등애서 해외 교포를 대상으로 북한의 연주단체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주회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적 교류을 해두고, 결정적인 대상을 찾아 집중 공략해야한다. 특히 윤이상 음악연구소를 통해 직접 교류의 폭을 넓히고, 각종 음악 단체와 기량 있는 음악가들을 주시해야 한다.
WTO체제 아래 국제적인 문화개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남북한 음악의 동질성 확보와 이 속에서 독창성의 발전만이 국제경쟁력을 보장해 줄 수 있다.
마치며...
광복 반세기를 맞았으나 아직도 분단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 가장 중요하고 절박한 과제는 통일을 설계하는 일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통일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반세기 동안의 사상의 차이와 공간적 격리에 의한 문화의 이질성일 것이며 음악분야도 예외일 수 없다. 따라서 통일을 위해, 그리고 음악학계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서로의 음악체계에 대한 좀 더 심도있는 연구와 이해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남북간에 활발한 문화적 교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가치있는 문제를 한 번이라도 생각해 볼 기회를 주신 곽 연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읽으시는 분들도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 85년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 교환방문' (서울, 평양)
▶ 89년 10월 `범민족통일음악회'(평양), 12월 `송년통일전통음악회'(서울)
▶ 92년 `사할린 제1회 통일예술제', `뉴욕 한겨레음악회'
▶ 98년 ‘리틀엔젤스예술단’ 방북 공연 (평양)
▶ 98년의 `제1회 윤이상통일음악회'.(평양)
▶ 99년 12월 `2000년 평화친선음악회'와, `민족통일음악회'(서울, 평양)
■최근 들어서는 지휘자 금난새의 유라시안필하모닉과 소프라노 조수미 등 남.북한 및 세계 각국의 음악인들이 함께 출연하는 `2000평화를 위한 국제음악회'를 평양 모란봉극장에서 개최키로 했다 공연 직전 이를 연기함으로써 `공연예술 교류의 퇴보'라는 우려를 낳기도 했다. 특히 `윤이상통일음악회'를 제외하고 `2000년 평화친선음악회'와 `민족통일음악회', `2000 평화를 위한 국제음악회' 등 최근 민간차원에서 성사 또는 추진됐던 공연 대부분이 북측에 공연대가를 지불했다는 점과 북측이 당초 약속했던 남한 공연이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확정되지도 않은 점 등은 남.북간 공연예술 교류의 순수성을 떨어뜨리는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지난 10년간 남북 음악교류는 우리의 방향과 목적 그리고 교류 후의 음악적 영향에 관해서 남한의 여러 음악인들이 고민을 종합하고 그들의 합의로 성사된 것이 아니라 정치권의 대북전략이나 국제정세에 따라 음악교류가 진행되었다. 예를 들면, 2000년 남북 음악교류는 북미간의 관계 호전과 남북 경협의 적극적 추진과 관련이 있었다. 국제 정세와 정치 논리에 휘둘렸던 음악 교류는 음악 유산을 활용해야 하는 음악계에는 별 영향과 성과가 없었다. 따라서 약 10년간의 음악교류는 음악인의 손에서 양측의 음악계를 살찌우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정치 교류의 다른 모양에 불과한 것이었다.
■남북한 음악교류는 이제 조금씩 변해나가야 한다. 정치권이나 국제 정세의 전략적 수단으로만 사용된다면, 남북한 음악의 발전과 그 질은 점점 더 뒤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과거의 정치적 음악 교류와 같이 정권에 따라 변하는 것이 아닌 음악인의 합의를 통해 음악인의 손으로 음악계의 이익을 위해 진행되어야 한다는 원칙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 일본 등애서 해외 교포를 대상으로 북한의 연주단체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주회를 통해 연속적으로 인적 교류을 해두고, 결정적인 대상을 찾아 집중 공략해야한다. 특히 윤이상 음악연구소를 통해 직접 교류의 폭을 넓히고, 각종 음악 단체와 기량 있는 음악가들을 주시해야 한다.
WTO체제 아래 국제적인 문화개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남북한 음악의 동질성 확보와 이 속에서 독창성의 발전만이 국제경쟁력을 보장해 줄 수 있다.
마치며...
광복 반세기를 맞았으나 아직도 분단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 가장 중요하고 절박한 과제는 통일을 설계하는 일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통일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반세기 동안의 사상의 차이와 공간적 격리에 의한 문화의 이질성일 것이며 음악분야도 예외일 수 없다. 따라서 통일을 위해, 그리고 음악학계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서로의 음악체계에 대한 좀 더 심도있는 연구와 이해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남북간에 활발한 문화적 교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가치있는 문제를 한 번이라도 생각해 볼 기회를 주신 곽 연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읽으시는 분들도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추천자료
서태지와 그이후의 한국 음악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스타시스템과 경영전략(음악시장을 중심으로)
[가락][가락 종지형태][가락보][가락 감상방법][가락짓기][가락짓기지도][전통음악]가락의 개...
음악과 창작수업(창작활동중심학습)의 개념, 음악과 창작수업(창작활동중심학습)의 지도내용,...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필요성과 교과내용,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기악, 가창...
음악과(음악수업, 음악교육)의 성격, 음악과(음악수업, 음악교육)의 목표, 음악과(음악수업, ...
[음반][불법음반][음반제작자][음반전문쇼핑몰][음악산업][음반산업]음반의 의미, 음반의 특...
음악산업(음반산업)의 동향, 음악산업(음반산업)의 추세, 디지털음악산업(디지털음반산업)의 ...
음악산업(음반산업)의 특징과 규모, 온라인음악산업(인터넷음반산업)의 유형, 온라인음악산업...
[음반][음반기획사][음반 성격][음반기획사 업무][음반기획사 독점행사][음반사][음악산업]음...
[A+] SM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의 경쟁 전략 - 음악시장 산업구조 및 환경분석, STP, ...
음악저작권(MP3저작권, 음반저작권)의 중요성, 정보화, 음악저작권(MP3저작권, 음반저작권) ...
[언어학] 9000세대 인디음악에 나타난 가사로 사회 들여다보기 - 사랑과 관련된 가사를 중심으로
국제브랜드관리 C형)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