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의 영적 리더십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세의 영적 리더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야에서 굶지 않을 것을 예언하였다. 광야에 들어서자 만나와 메추라기를 주셨다. 먹을 물이 없었을 때 반석을 쳐서 물이 나오게 하였다. 모세는 이스라엘이 강한 군대가 될 것을 예언하였다. 이스라엘이 아멜렉과 싸우는데 아론과 훌은 모세의 지팡이 든 손을 들어 승리케 하엿다. 이드로가 모세의 아내와 두 아들을 데리고 이스라엘 진을 심방하여 이스라엘 장로들의 협력을 얻어 제사를 지냈다. 모세가 재판에 분주한 것을 본 이들로는 작은 일은 아래 사람들에게 맡겨 이스라엘 군대의 조직을 완성했다. 모세는 하나님을 향하여 원망하고 불평하는 백성은 벌을 받을 것이라는 예언하였다. 모세의 십계명과 백성들의 복종 서약-모세는 백성들을 아론과 훌에게 맡기고 계명을 받으러 산에 올라갔다. 모세가 없는 동안 아론이 만든 금송아지를 보고 노하여 비석으로 금송아지를 깨뜨리고 , 하나님께서는 백성을 벌하셨다. 호헵을떠난 후 불평하는 자들을 불로 멸하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신을 받은 사람은 예언을 할 것이라 예언하였다. 회막에서 여호와의 신을 취하여 70인 장로에게 주시니 예언을 시작했다. 엘닫, 메닫에게 대한 여호수아의 진언에 모세가 꾸짖었다. 미리아과 아론이 모세의 외국 여인과의 혼인을 반대함으로 미리암이 문둥이가 되는 벌과 모세의 기도로 나았다. 모세는 하나님께 순종하며 살고 불순종하면 죽을 것이라는 예언하였다. 모세의 말을 듣지 않고 백성들이 가나안을 행해 진군하다가 아말렉, 기타 토인들에게 패하였다. 백성들의 불평으로 인하여 불뱀 재앙 받았으나 모세가 만든 놋뱀을 쳐다 봄으로 살았다.
결론적으로 모세를 통한 애굽의 역사와 예언 성취되었다. 야곱의 혈속이 모두 70인이었더라(출1:5)라고 함은 창46:27의 요약이고, 이스라엘 자손은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고,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출1:7)고 기술함은 기계적이거나 무의미한 반복이 아니라 사실을 인증(引證)하고 세밀한 설명을 유도해 주는 구절이라 하겠다. 이스라엘은 애굽의 가장 좋은 지역 고센에서 요셉을 크게 등용했던 힉소스(Hyksos)왕의 따뜻한 예우로 생활이 자유로웠다. 그러나 힉소스 아하모세(Ahmose)에게 무너졌다. 결국 이스라엘에 있어서는 사태가 악화되고,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애굽을 통치하게 된 것이다.(출1:8). 아하모세(바로)는 그들을 노예로 하여 비돔과 라암셋을, 재료도 주지 아니하고 건축케 했다.(출1:8-14). 그러나 학대를 받을수록 더욱 번식하고 창성했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그렇게 한 것은 그들이 출애굽 할 때까지 한 민족국가로서의(국가형성 과정에서의)적당한 발전이 필요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때에 신정국가 형성과정에서의 리더-모세를 세우셨다. 이와 같은 결정적 이유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로 하여금 국가 형성과정에서 선민(選民)이었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며, 또한 당시대의 리더를 모세로 세우신 의도와 예언의 성취를 부인할 수 없다. 그의 생애 120년을 삼분하여 이해함이 좋을 것이다.
3) 제사장, 선지자, 입법자적 지도력
모세는 여호와 종교의 창시자요 장려자였다. 구약 성경을 통하여 에스겔 40-48장만을 제하고 여호와 예배의 형식과 의례는 모세에게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호와 하나님은 모세가 미디안에 있을 때 나타났으며, 모세가 애굽에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그 여호와를 가르쳤다. 만일 모세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여호와 예배를 가르쳤다면 그는 그 예배 예식에 대한 것을 가르쳤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잇다. 그러나 그는 그런 정도에서 그친 것이 않다. 8세기에 선지자들이 고상한 윤리적 종교를 가르친 것은 전대에서 전혀 알지 못하며 새로운 것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의 윤리적 감정이 더욱 순결하고 도덕적 관념이 더욱 심원했을지는 모르나 그들도 늘 민족의 고원한 이상을 선언하여 거룩하신 하나님께 나아갈 것을 부르짖었다. 어떤 시대에나 그 시대를 높이는 초월한 정신적 지도자들이 있었으며 이스라엘의 역사는 위대한 정치적 지도자, 종교적 지도자, 도덕적 이상가, 공의의 심판자가 나났음을 입증하는바 그를 우리는 모세에게서 찾을 수 있다. 한 나라를 세우고 그들에게 종교를 준 모세는 그들의 마음속에 사회도덕의 씨를 심을 것이었다. 모세의 율법은 사실 모세에게서 온 것이냐 아니냐하는 것은 딴 문제이다. 유목민간에는 성문법보다 관습이 더 힘이 있으며 사람들은 관습에 비추어 마땅한 일인가 아닌가를 정했으니 그것이 옛 사람들의 상식이었다. 성문법이란 상당히 후대에 생긴 것이므로 모세의 율법에는 물론 옛적부터 내려 온 것도 있었을 것이다. 유형기편저, 전게서, 84.
하나님의 선지자로서의 모세(출 6:28-30)는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대언하였고, 인간의 힘으로 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역 수행시 하나님처럼 여김받았다. 하나님의 종으로서 대언자의 사명(출 7:1)은 전달받은 그대대로 전해야 하며, 죽음이라도 감수해야 하고, 충성스럽게 행해야 할 것이다.
4) 경영, 행정에 탁월한 정치적 지도력
출 18장에서 보면 모세는 자기 앞에 놓인 막중한 일을 위하여 많은 지도와 격려를 받은 것이 분명하다. 비록 정치가로서의 그 생애는 80세가 되서야 시작했지만 이루 헤라일 수 없을만큼 여러번 그는 지도력의 위대한 자질을 보여주었다. 앵스트롬, 전게서, 49.
처음 하나님께서 그를 부르신 후 사람들은 그들 가운데 있는 그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했다.(행 7:23-25)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에게 이렇게 물었다. “누가 너를 관원과 재판관으로 우리 위에 세웠느냐? 이렇게 반항할 때 모세는 결코 그의 야망을 잊지 않았으며 그의 백성을 애굽의 탄압으로부터 해방시키게 해 주었던 생명을 건지는 일을 잊지 않았다. 그의 확고한 마음과 불타는 의욕은 그로 하여금 모든 잠재적인 크리스천 지도자를 위한 좋은 모범이 되게 한다. 홍해에서 모세가 겪은 경험은 그가 지도자가 될 수 있을 것인가의 테스트를 어떻게 잘 이겨냈는지를 보여주었다. 그는 참으로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앞에는 홍해 기에는 바로의 군대가 진을 치고 있었다. 확실한 죽음 앞에서 백성들을 분노했다. 그러나 모세는 확고한 신념으로 하나님의 약속에 초점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2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