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화되었기 때문에 탄소 3개로 이루어진 DPGA가 2분자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ATP 2분자가 부족합니다. 여기서 DPGA 분자 각각을 탄소 3개의 피루브산으로 변환시켰는데, 각 변환 과정이 2분자의 ATP를 내놓기 때문에 합해서 4분자가 됩니다. 결국 ATP 2분자를 사용해서 ATP 4분자를 만들어 2분자의 피루브산과 ATP 2분자의 흑자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②TCA회로(=크렙스 회로 = 시트르산 회로)
-미토콘드리아 내막안 기질에서 발생
(1) 해당 과정으로 생성된 피루브산은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가서 탈탄산 효소와 탈수소 효소에 의해 각각 CO₂와 NADH₂ 를 생성하고 아세트산이 된 후 조효소 A와 결합하여 활성 아세트산이 된다.
(2) 활성 아세트산은 옥살 아세트산과 결합하여 시트르산이 되어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친 후 다시 옥살 아세트산으로 된다. 이 과정에서 1분자의 ATP가 생성되며, 탈탄산 효소와 탈수소 효소에 의해 각각 2CO₂와 3NADH₂, FADH₂가 생성된다. 활성아세트산이 옥살 아세트산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조효소 A는 밖으로 빠져나와 활성 아세트산을 생성하는데 재사용 된다.
(3) 전체 과정 : 피루브산 1분자가 TCA회로를 거치면서 분해되면 3CO₂, 4NADH₂, FADH₂, ATP가 생성된다. 따라서 포도당 1분자로부터는 6CO₂, 8NADH₂, 2FADH₂, 2ATP가 생성된다. 6CO₂는 방출되고, 8NADH₂와 2FADH₂는 전자 전달계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포도당 한 분자는 세포질 내의 해당과정과 미토콘드리아의 TCA회로 및 전자전달계를 거치면서 30여개의 ATP를 생산한다.
▶포도당 신생합성 과정
-간이나 신장에서 당 이외의 물질 즉, 아미노산이나 글리세롤 피루브산 젖산 프로피온산 등을 이용하여 포도당이 합성되는 과정
-세포질 내에서 해당과정과 별개로 이루어지는 과정
-말초조직에서 완전히 산화되지 못한 대사물질은 간으로 이동하여 포도당 합성에 이용
-코리회로: 적혈구에서 포도당은 해당과정을 거쳐 피루브산이 되는 데 ,적혈구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없으므로, 피루브산은 젖산으로 전환된뒤 , 간으로 이동하여 포도당 신생합성의 기질로 사용.
-간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은 젖산으로 되어 간으로 이동(코리회로) 또는, 아미노산 대사에서 나온 아미노기와 함께, 알라닌의 형태로 간으로 이동되어. 다시 포도당 합성에 이용(알라닌 회로)
②TCA회로(=크렙스 회로 = 시트르산 회로)
-미토콘드리아 내막안 기질에서 발생
(1) 해당 과정으로 생성된 피루브산은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가서 탈탄산 효소와 탈수소 효소에 의해 각각 CO₂와 NADH₂ 를 생성하고 아세트산이 된 후 조효소 A와 결합하여 활성 아세트산이 된다.
(2) 활성 아세트산은 옥살 아세트산과 결합하여 시트르산이 되어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친 후 다시 옥살 아세트산으로 된다. 이 과정에서 1분자의 ATP가 생성되며, 탈탄산 효소와 탈수소 효소에 의해 각각 2CO₂와 3NADH₂, FADH₂가 생성된다. 활성아세트산이 옥살 아세트산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조효소 A는 밖으로 빠져나와 활성 아세트산을 생성하는데 재사용 된다.
(3) 전체 과정 : 피루브산 1분자가 TCA회로를 거치면서 분해되면 3CO₂, 4NADH₂, FADH₂, ATP가 생성된다. 따라서 포도당 1분자로부터는 6CO₂, 8NADH₂, 2FADH₂, 2ATP가 생성된다. 6CO₂는 방출되고, 8NADH₂와 2FADH₂는 전자 전달계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포도당 한 분자는 세포질 내의 해당과정과 미토콘드리아의 TCA회로 및 전자전달계를 거치면서 30여개의 ATP를 생산한다.
▶포도당 신생합성 과정
-간이나 신장에서 당 이외의 물질 즉, 아미노산이나 글리세롤 피루브산 젖산 프로피온산 등을 이용하여 포도당이 합성되는 과정
-세포질 내에서 해당과정과 별개로 이루어지는 과정
-말초조직에서 완전히 산화되지 못한 대사물질은 간으로 이동하여 포도당 합성에 이용
-코리회로: 적혈구에서 포도당은 해당과정을 거쳐 피루브산이 되는 데 ,적혈구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없으므로, 피루브산은 젖산으로 전환된뒤 , 간으로 이동하여 포도당 신생합성의 기질로 사용.
-간에서 생성된 피루브산은 젖산으로 되어 간으로 이동(코리회로) 또는, 아미노산 대사에서 나온 아미노기와 함께, 알라닌의 형태로 간으로 이동되어. 다시 포도당 합성에 이용(알라닌 회로)
키워드
추천자료
미생물의 대사
광합성의 과정
체액의 조성과 수분 배설과정
심장발생과정과 판막형성과정
ATP생성과정
간호과정 - 간호과정 사례 03.호흡곤란과 흉통으로 응급실 방문 (64세)
[질환(질병)]질환(질병)과 구강질환, 호흡기질환, 대사질환, 순환계질환, 질환(질병)과 근골...
수분과 에너지 대사
기본간호학 A2 투약간호과정 - 진단명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 1형 당뇨병)
Cardiac Cirrhosis - (심장성간경화증 케이스, 심장성간경화증 간호과정, 심장성간경화증 간...
독일의 통일과정과 문제점
심부전 case study 시나리오 및 간호과정
성인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과정)
Schizophrenia 정신 분열증 정신간호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