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산책을 통한 자연관찰일기
1. 제1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 채집
2. 제2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 집을 만들어주다.
3. 제3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가 먹이를 먹다.
4. 제4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의 땅속파기.
5. 제5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 관찰하고나서.
실외놀이 관찰계획서
◈문놀이◈
◈ 그림자 놀이◈
◈ 왕대포 ◈
◈풀각시 놀이◈
◈ 두꺼비집 짓기 ◈
1. 제1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 채집
2. 제2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 집을 만들어주다.
3. 제3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가 먹이를 먹다.
4. 제4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의 땅속파기.
5. 제5일(2010년 0월 0일) : 사슴벌레 관찰하고나서.
실외놀이 관찰계획서
◈문놀이◈
◈ 그림자 놀이◈
◈ 왕대포 ◈
◈풀각시 놀이◈
◈ 두꺼비집 짓기 ◈
본문내용
하여 극놀이 활동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 점차 자연현상의 변화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자신이 그림자를 관찰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아직 감정조절이 잘 안 되고 감정표현의 변화가 심한 3살기의 유아에게는 다른 유아와 함께 놀이하면서 조금씩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왕대포 ◈
* 참여인원 : 2명
* 준비물 : 없음
* 활동 방법 : 1.주사위를 던져 술래를 정한다.
2. 주사위 수가 가장 적게 나온 유아가 술래가 된다.
3. 지름 30cm 정도의 원 안에 술래가 두 손으로 발목을 짚고 다리를 편다.
4. 나머지 유아들은 순서를 정해 차례로 한다.
제1동작 : “왕”하면서 머리를 숙이고 두 손으로 발목을 짚는다.
제2동작 : \"대“하면서 엉덩이끼리 맞댄다.
제3동작 : “포”하면서 엉덩이로 술래 엉덩이를 툭친다.
5. 이 때 술래가 엉덩이를 맞고 원 밖으로 나가면 다시 술래가 되어 엎드리 고 안 나갈 경우 엉덩이를 친 사람이 술래가 되어 놀이를 계속한다.
* 도움말 : 유아가 넘어졌을 때 머리를 부딪칠 수 있으므로 바닥이 부드럽거나 푹신푹신한 장소를 택하여 실시한다. (모래사장, 카펫 등)
- 두 명의 유아가 서로 엉덩이를 맞대어 중심을 잘 잡기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지구력이 길러지고, 공간개념을 가질 수 있다.
◈풀각시 놀이◈
* 참여인원 : 2~5명
* 준비물 : 긴 풀 또는 데쳐낸 옥수수 수염, 끈
* 활동 방법 : 1. 유치원 실외나 가까운 야외 풀밭에서 인형을 만들 EO 필요한 풀을 모은 다.
2. 긴 풀이나 옥수수 수염다발을 구하여 살짝 데친다.
3. 나뭇가지에 긴 풀이나 옥수수 수염다발 데친 것을 가지런히 대고 묶는다.
4. 다시 거꾸로 뒤집어 한 번 더 묶는다.
5. 풀을 머리처럼 땋거나 쪽을 지워 준다.
6. 치마와 저고리를 만든다.
7. 만든 인형을 가지고 인형놀이를 한다.
- 여러 명의 유아들이 모여서 풀이나 옥수수 수염으로 인형을 만드는 과정에서 풀과 옥수수수염의 촉감을 느낄 수 있고 만든 인형의 머리를 땋으면서 손을 섬세하게 움직여 주는 과정에서 조작능력이 발달할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인형을 다 만들고 나서 서로의 만든 인형을 가지고 역할놀이를 하면서 언어능력과 사회성이 발달할 수 있다.
◈ 두꺼비집 짓기 ◈
* 참여인원 : 3~5명
* 준비물 : 모래 사장
* 활동방법 : 1. 흙더미나 모래 더미가 있는 곳을 찾는다.
2. 흙이나 모래 속에 한 손을 파묻고 다른 한 손으로 흙이나 모래를 파묻힌 손 위로 쌓는다.
3. 흙이나 모래를 쌓으면서 두들겨서 단단하게 두꺼비집을 만든다.
4. 두꺼비집을 만들면서 노래를 부른다.
노래 1 : 두껍아 두껍아 집지어라
황새야 황새야 물 길어 와라
노래 2 :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5. 내기를 할 경우에는 지은 집이 누가 더 큰가, 혹은 누가 지은 집이 더 깊은 가를 정해 놀이를 한다.
- 흙의 촉감을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며 집을 더 크게 혹은 더 깊게 짓는 과정에서 공간개념을 배울 수 있다.
- 점차 자연현상의 변화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자신이 그림자를 관찰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아직 감정조절이 잘 안 되고 감정표현의 변화가 심한 3살기의 유아에게는 다른 유아와 함께 놀이하면서 조금씩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왕대포 ◈
* 참여인원 : 2명
* 준비물 : 없음
* 활동 방법 : 1.주사위를 던져 술래를 정한다.
2. 주사위 수가 가장 적게 나온 유아가 술래가 된다.
3. 지름 30cm 정도의 원 안에 술래가 두 손으로 발목을 짚고 다리를 편다.
4. 나머지 유아들은 순서를 정해 차례로 한다.
제1동작 : “왕”하면서 머리를 숙이고 두 손으로 발목을 짚는다.
제2동작 : \"대“하면서 엉덩이끼리 맞댄다.
제3동작 : “포”하면서 엉덩이로 술래 엉덩이를 툭친다.
5. 이 때 술래가 엉덩이를 맞고 원 밖으로 나가면 다시 술래가 되어 엎드리 고 안 나갈 경우 엉덩이를 친 사람이 술래가 되어 놀이를 계속한다.
* 도움말 : 유아가 넘어졌을 때 머리를 부딪칠 수 있으므로 바닥이 부드럽거나 푹신푹신한 장소를 택하여 실시한다. (모래사장, 카펫 등)
- 두 명의 유아가 서로 엉덩이를 맞대어 중심을 잘 잡기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지구력이 길러지고, 공간개념을 가질 수 있다.
◈풀각시 놀이◈
* 참여인원 : 2~5명
* 준비물 : 긴 풀 또는 데쳐낸 옥수수 수염, 끈
* 활동 방법 : 1. 유치원 실외나 가까운 야외 풀밭에서 인형을 만들 EO 필요한 풀을 모은 다.
2. 긴 풀이나 옥수수 수염다발을 구하여 살짝 데친다.
3. 나뭇가지에 긴 풀이나 옥수수 수염다발 데친 것을 가지런히 대고 묶는다.
4. 다시 거꾸로 뒤집어 한 번 더 묶는다.
5. 풀을 머리처럼 땋거나 쪽을 지워 준다.
6. 치마와 저고리를 만든다.
7. 만든 인형을 가지고 인형놀이를 한다.
- 여러 명의 유아들이 모여서 풀이나 옥수수 수염으로 인형을 만드는 과정에서 풀과 옥수수수염의 촉감을 느낄 수 있고 만든 인형의 머리를 땋으면서 손을 섬세하게 움직여 주는 과정에서 조작능력이 발달할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인형을 다 만들고 나서 서로의 만든 인형을 가지고 역할놀이를 하면서 언어능력과 사회성이 발달할 수 있다.
◈ 두꺼비집 짓기 ◈
* 참여인원 : 3~5명
* 준비물 : 모래 사장
* 활동방법 : 1. 흙더미나 모래 더미가 있는 곳을 찾는다.
2. 흙이나 모래 속에 한 손을 파묻고 다른 한 손으로 흙이나 모래를 파묻힌 손 위로 쌓는다.
3. 흙이나 모래를 쌓으면서 두들겨서 단단하게 두꺼비집을 만든다.
4. 두꺼비집을 만들면서 노래를 부른다.
노래 1 : 두껍아 두껍아 집지어라
황새야 황새야 물 길어 와라
노래 2 :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 새 집 다오
5. 내기를 할 경우에는 지은 집이 누가 더 큰가, 혹은 누가 지은 집이 더 깊은 가를 정해 놀이를 한다.
- 흙의 촉감을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며 집을 더 크게 혹은 더 깊게 짓는 과정에서 공간개념을 배울 수 있다.
추천자료
수업관찰 및 분석방법 -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
[유아교육] 아동학대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아동상담심리] 정신분석 상담의 이론적 개념과 아동상담 사례 (상담 6일 분량의 아주 상세한...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목적,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특징, 수업관찰과 수업분석 주안점, 수업관...
[수업관찰][음악교육][미술교육]수업관찰의 중요성, 수업관찰의 기본전제와 수업관찰의 음악...
[수업관찰][자료수집][기록][국어교육][영어교육]수업관찰 필요성, 수업관찰 접근법 분류, 수...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가치,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목적과 전제,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주...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필요성, 특징,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준비, 전개, 수업관찰과 수업분...
아동화(아동그림, 아동미술)의 특징, 아동화(아동그림, 아동미술)의 발달단계, 아동화(아동그...
수업 관찰·분석을 통한 수업개선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놀이치료의 역사, 놀이치료의 필요성, 놀이치료와 놀이, 놀이치료와 정신분석적 놀...
[영유아 관찰일지][아동의 행동관찰]
아동생활지도 아동행동 관찰법 중 표본기록법을 적용하여 아동의 행동을 관찰해서 기록해보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