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각기억
2. 단기기억
3. 장기기억
2. 단기기억
3. 장기기억
본문내용
는 적절한 인출단서를 주면 기억에서의 인출을 도울 수 있다. 쇠퇴는 비석에 새겨진 글이 비바람에 깎여서 알아볼 수 없는 것처럼, 기억의 흔적이 시간의 경과에 의해서 부식되어 정보가 사라진다고 본다. 간섭은 회상이 안되는 것은 정보들끼리 간섭을 일으켜서 인출이 방해된다고 본다. 순행간섭은 기존의 지식이 새로운 정보의 학습을 방해하는 경우이고, 역행간섭은 새로운 학습이 기존의 정보의 기억을 방해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간섭은 정보들간의 유사성이 많을수록 잘 일어난다. 동기적 망각은 정신분석학에서 주장하는 것으로 자신이 기억 또는 잊고자 하는 동기에 의하여 정보의 기억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즉 우리에게 즐거운 기억은 오래 간직하고 싶고, 슬픈 기억은 빨리 잊고 싶은 동기에 의하여 빨리 잊혀진다고 본다.
추천자료
Ausubel의 유의적 학습 이론(학습이론을 적용한 영어)
프로이드 & 에릭슨 이론 비교 분석 및 각 이론의 사례제시분석
[심리학과 기억이론] 심리학과 기억이론
심리학개론 - 프로이드 이론과 에릭슨의 이론을 비교설명하시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형벌][형벌이론][형벌의 종류][형벌의 의의][위험사회에 대한 형법과 형벌][형벌의 평가][위...
인지주의 이론과 행동주의 이론을 비교 설명하고 교육적적용에 대해 구체적 예를 들어 서술하...
[사회복지실천이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이론
[사회복지실천이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이론
생태학 이론 및 일반체계이론 특징과 유형 조사분석
[논문] 촘스키 생성문법이론의 정당성 -vindication of generative grammar theory- (연구목...
졸업논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상담이론과 행동주의 상담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