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말과 글의 중요성
2. 말과 글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사례
3.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말과 글의 중요성의 관한 사례
2. 말과 글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사례
3.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말과 글의 중요성의 관한 사례
본문내용
언어들이 쉽게 발견된다. 이것이 옳다 그르다는 차원을 떠나 이제는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정착되고 있는 것이다. 4-50대 이후의 세대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거부감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새로운 도구에 의한 문화현상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지 못할 것도 아니다. 문자 메시지와 댓글을 몇 번 사용하다보면 왜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지 금방 이해할 수 있다. 문자 메시지와 댓글에서는 최대한 축약을 하는 것이 여러 모로 유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화가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의 변화는 서구에서도 마찬가지 인 것 같다. 서구에서 문자메시지의 사용 예를 보면 를 <4u>라고 표현한다고 한다. 또한 서구의 기성세대도 이러한 문자의 파괴에 대하여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을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본 적이 있다. 새로운 도구에 의한 언어 변화는 소통의 단절로 이어지고 있다. 7-80년대에 기성세대와 대화의 단절이 이념의 차이였다면 이제는 사용하는 언어의 문제로 대화가 단절되어가고 있다. 즉 말이란 것이 대화를 전제로 하고 있는 것인데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간에 쓰는 말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대화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앞으로 이러한 사회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보면 같은 세대 간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얼마 전 조사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안습>이라는 단어의 뜻도 조금씩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언어 사용의 분화는 그룹 간의 의미차이를 발생하게 하여 같은 세대 간에서도 쉽게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이 심화되어간다면 같은 세대의 그룹 간에 대화에서도 통역이 필요한 시대가 올지도 모르겠다. 앞으로는 말의 시대가 아닌 은어의 시대가 되어갈 수도 있다. 어쨌든 말은 생물처럼 변화되어간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사회의 갈등을 심화시켜 지금보다 더 불안한 상황으로 만들지 또는 혁신적인 개념이 생겨 사회의 통합으로 갈지 아무도 모른다. 즉 좋은 방향일지 나쁜 방향일지 누구도 확신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말도 사람이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에서도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할 원칙은 존재한다. 말이라는 것은 대화의 도구이기 때문에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만을 위한 말 또는 소수를 위한 존재할 가치가 없다. 말은 모든 사람이 이해하고 모든 사람과 대화에서 유용하여야 한다. 소수를 위한 말만이 발달한다면 지금도 심각한 사회적 갈등이 더욱 깊어져만 갈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우리의 말과 글을 다듬어야 한다. 새로운 사고 또는 새로운 도구에 의하여 새로운 말과 글이 만들어지는 것에 대한 무조건적인 거부보다는 새로운 말과 글이 어떻게 정착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기성세대는 우리말 고유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새로운 개념에 적응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가르쳐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99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보면 같은 세대 간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얼마 전 조사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안습>이라는 단어의 뜻도 조금씩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언어 사용의 분화는 그룹 간의 의미차이를 발생하게 하여 같은 세대 간에서도 쉽게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이 심화되어간다면 같은 세대의 그룹 간에 대화에서도 통역이 필요한 시대가 올지도 모르겠다. 앞으로는 말의 시대가 아닌 은어의 시대가 되어갈 수도 있다. 어쨌든 말은 생물처럼 변화되어간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사회의 갈등을 심화시켜 지금보다 더 불안한 상황으로 만들지 또는 혁신적인 개념이 생겨 사회의 통합으로 갈지 아무도 모른다. 즉 좋은 방향일지 나쁜 방향일지 누구도 확신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말도 사람이 사용하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에서도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할 원칙은 존재한다. 말이라는 것은 대화의 도구이기 때문에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만을 위한 말 또는 소수를 위한 존재할 가치가 없다. 말은 모든 사람이 이해하고 모든 사람과 대화에서 유용하여야 한다. 소수를 위한 말만이 발달한다면 지금도 심각한 사회적 갈등이 더욱 깊어져만 갈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우리의 말과 글을 다듬어야 한다. 새로운 사고 또는 새로운 도구에 의하여 새로운 말과 글이 만들어지는 것에 대한 무조건적인 거부보다는 새로운 말과 글이 어떻게 정착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기성세대는 우리말 고유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새로운 개념에 적응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가르쳐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99
추천자료
[자연과학] 기업의 윤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증적 고찰
체인지 몬스터(CHANGE MONSTER) 서평
스크린쿼터 축소방안에 따른 해결방안제시
기업의 윤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실증적 고찰
사이버범죄 사이버스토킹에대한 나의 의견
[언어이론] 한자 혼용에 대해서
장애아동 교육현실과 교육을 위한 제언
학급운영(학급경영)의 의미, 학급운영(학급경영)의 목표, 학급운영(학급경영)의 원리와 영역,...
한글(우리말, 우리글, 한국어)특성과 음성문자체계, 한글(우리말, 우리글, 한국어) 로마자표...
우리글(한글, 우리말, 한국어)우수성,유래,맞춤법, 우리글(한글, 우리말, 한국어)인도문자기...
[최고의 리더] 우수 독후감, 요약자료
[연구원][국어연구원][기상연구원][기업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국어연구원, ...
2015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중간시험과제물 D형(한국 노동현실에서 중요한 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