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사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지 않은데 자기가 먹어볼 리 없다. 식품제조자들이 남에게 팔 음식이기 때문에 자신들이 먹지 않을 성분이나 원료를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런 사람들은 매우 불행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식품을 사먹을 때마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될 테니 소화가 잘 될 리가 없고 따라서 건강할 수도 없을 것이며, 먹는 즐거움도 느끼지 못 할 것이다.
우리 사회 곳곳이 불신의 굴레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이 불신이 식품안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불신이 있다면 대체적으로 불신의 원인제공자가 있게 마련이지만, 때로는 아주 무의미할 정도로 작은 것이 언론의 전달과정을 거치면서 증폭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식품산업체는 억울하다고 불평한다.
어떤 언론학자는 식품산업체가 이런 억울한 일을 당하기 전에 언론이 끼어들 빌미를 제공하지 말아야 한다고 충고한다. 그리고 어려운 일이겠지만 제품에 크고 작은 문제점이 사회에 노출되었을 때 무조건 발뺌하려고만 해도 안 될 것이다. 회사제품의 문제점에 대해 솔직히 고백하고 백배사죄함으로서 문제를 쉽게 해결했던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소비자의 신뢰 없이는 식품안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도 없다.
  • 가격3,36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11.2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