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작법] 용접 정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계공작법] 용접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
■ 가스용접법
■ 아아크용접
■ 전기저항용접법
■ 각종용접법
■ 각종금속의 용접법
■ 용접결함과 검사
■ 용접설계
■ 가스 및 아아크절단법

본문내용

불순물혼입
2. 열처리의 영향(강화)
냉각방식(수냉:담글질,유냉,공냉,노(Forge)노냉
3. 탄소함유량 : 탄소↑→경하고, 취성이 강하다
0.85%C:공석강
723~727도:공석온도
마르텐사이트:담금질 조직의 대표적인 성질, 템프링효과를 거쳐야 사용가능
천이역 : A조직과 B조직의 경계선
조대퍼얼라이트
미디움 퍼얼라이트->Sorbite
미세퍼얼라이트->troostite
상부 Banite
하부 Banite
P.208 그림 2.99필기 참조
※아닐링 :금속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키기 위해 하는 열철리로 thens이라고도함 금속을 적당한 온도 까지 올려 유지하면서 서서히 냉각시켜 원하는 크기의 미립구조를 갖게 하며, 압연가공 등에 의해 금속내부에 생긴 비뚤어진 정도를 제거하기 위해 자주 쓰임, 금속의 유연성의 증가 혹은 가공성의 증가목적으로 이용됨.
● 탄소강의 용접
탄소%에 의해 좌우 된다 저탄소강은 용접후에도 그 열영향을 받은 별질부의 경도는 그다지 상승하지 않고, 용접은 용이하나 고탄소강에서는 경화되어 취화가 현저하므로 균열을 발생하기 쉽다
주철의 용접(가스용접,아아크용접)
보통주철은 연신율이 작고 급냉으로 경화되는 경향이 증대하며, 주철중의 C는 용접시에 산화하여 CO2가 되어 용접성을 해치므로 통상용접이 힘듬
저합금동 탄소(아아크용접,저항용접,가스용접)
함금원소를 소량 가하여 기계적 성질 또는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향상시킨 강이다. 용접용저합금강으로서 탄소를 비교적 적게 하여 저탄소로 다른원소를 조합시킨 것이 강도도 높고 용접성도 좋다
고망간강의 탄소(아아크,가스(다량으로 열을줄우려가 있으므로아아크추천)
탄화물의 석출 때문에 경하고 여리므로 1000~1200도로부터 수중담금질하여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서 사용한다
스테인리스강의탄소(아아크용접:라임티타니아or라임계의 저수소용접봉이용)
강에 Cr 또는 Cr과 Ni를 적량 첨가하여 녹슬지 않도록 한 것을 스테인리스 강이라 한다 크롬 강의 용접은 저탄소일지라도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됨 고탄소 것은 용접이 힘듬
알루미늄, 마그네슘과 그합금의 용접(이중에 중요,불활성가스 아아크 용접)
알루미늄과 그의 합금은 주물과 압연재가 있고, 열처리를 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이 있다. 알루미늄은 일반적으로 용접이 곤란하다.
1. 고온에서 산화 쉽다, 산화물은 융점 높고 안정하고 비중이 커 용융알루미늄의 용착을 저해
2. 비열, 연절도율이 커서 알루미늄의 용융을 위한 대전류 필요
3. 용접시 산화 방지 위해 용재 사용하면 부식이 쉬움
4. 팽창계수가 크며 변형이 크고, 균열이 생기기 쉬움
5. 가스를 잘 흡수함
■ 용접결함과 검사
● 개요
재료에 따른 용접법의 선택
왠만한 강은 아아크용접을 한다 가장일반적임.
● 용접결합
용접부의 균열 : 균열의 발생과정, 적열취성, 급냉에 의한 경화, 수축응력에 의한 균열적열취성(고온에서 공작물이 취약하게 되는 것)
P,S,Cu 등을 다량으로 함유 하면 용착부에 들어가서 균열이 생기기쉬움
경화(단단해지는 것을 말함)
급냉에 의한 변태의 저지로 인한 경화, 체적변화에 의한 내부응력에 기인
수축응력
균열은 용접이음의 고정된으로써 수축변형이 지지된 까닭에 발생하는 것
용접스트레인과 잔류응력
용접스트레인 : 용접에 의해 변형이 생기는 것 용접열로 가열된 모재의 냉각 및 용착강의 응고냉각에 의한 수축이 자요로이 이루어 져 생기는것
잔류응력 : 용접스트레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 용접부는 외부로부터 구속을 받은 상태가 되어 잔류응력이 발생
언더컷
오목하게 패이게 되는 것 운봉법 용접봉의 종류에 영향을 받음 표면의 언더컷은 놋치가됨
오버랩
용착금속 집중을 방해 했을 때 용착금속의 과잉상태를 가져옴
융합불량
용착금속과 모재와 사이 또는 용착금속 상호간의 용합되는 않는 상태
한쪽 모재에 아아크가 충분히 튀지않아서(필렛용접에서)
용입불량
밑바닥 부분이 충분히 융용되지 않고 틈이 남아 있는것
불순물혼입
피복제나 용제의 일부가 용접금속내부로 혼입되어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이 나빠진다
기포
기포->기공이 생김 용착금속내의 공동이며 구상또는 원주상으로 존재
휘슈아이 : 은점, 수소가 발생원인
산화되어 있지 않으며 은백색을 나타내는 부분
나보용접부에서 나타나는일은 드물고 가스 발생식에 의한 용착금속에 나타남
선상조직
용착금속은 냉각시 모재에 가까운 부분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결정이 성장하여 주상조직을 이루며 응고한다 처음에 응고하는 부분은 융점이 높은 그속이고 최후에 응고하는 부분은 저융점의 것
● 검사법
파괴검사 : 천공검사, 파면검사, 매크로조직검사(육안검사), 마이크로 조직검사(현미경검사)
천공검사 : 구멍 뚫어 내면상황을 육안으로
파면검사 : 용접부를 비이드를 따라 파단하여 내부결합, 조직의 상황 육안으로
매크로조직검사 : 단면에 에칭을 하여 매크로 시험편을 작성하여 육안으로 관찰
마이크로검사 : 위와 동일하게 얻은 것을 현미경으로 관찰
비파괴검사 : 방사선투과검사, 초음파검사, 자기탐상검사, 도료침투법
방사선투과검사 : X선과 r선이 이용된50mm정도까지의 검사에 이용
초음파검사 : 검사재의 한쪽에만 접할 수 있으면 검사가 가능하다
자기탐사검사법 : 검사할 부분을 자화하면 표면에 자성물질의 분말 산포 이것이 결합부분에 응집
도료침투법 : 특수적색도료를 도포하여 잠시후 이를 닦애내고 그위에 백색도료를 발라 결합부에 잔류하엿던 적색도료가 나와 착색됨
■ 용접설계
● 개요
용접시 고려해야할 항목(p.220)
● 용접이음의 기본형식
그루브의 현상 분류
용착부현상에 따른 분류 : 그루브, 필렛, 플러그, 덧붙이용접
그루브 : 접합하는 두 부재간에 적당한 형상의 홈을 마련하고 여기에 용착금속을 붙이는 것
필렛 : 홈을 마련함이 없이 용접하는 것
-전면:용접선과 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이 서로 직각방향
-측면:용접선과 응력이 서로 평행
-복합:상기2종의 조합한
-경사:용접선과 응력이 직각이외의 임의의 각
플러그 : 구멍을 뚫고 판의 표면까지 가득하게 용접 하고 다른 쪽 부재와 접합하는 용접
덧붙이용접 : 모재의 용착금속을 모재면보다 높게 솟아오르게 하는 용접
용접이음의 기본형식
1. 맞대기 이음 : 접합할 2개의 모재를 맞대어 놓고 그
  • 가격13,86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11.28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2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