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정의가 객관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은데에 있다. 나는 철저하게 그 정의가 보편적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정의롭지 않은 시대는 고대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어졌다. 이것은 정의에 대한 생각이 각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이 아니다. 단 한 번도 하나님의 정의가 온전하게 이 땅에 실현되어 진 적이 없기 때문이었다. 그의 사상을 빌어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그 신앙인들의 전통을 따라 정의를 실현하려 노력한다면, 언젠가 기독교 공동체가 윤리적이고 도덕적으로 흠 없는 공동체로 한 나라를 만들 것이고, 한 민족을 이룰 것이며, 한 세계를 만들어 낼 것이다. 만일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심판의 때와 함께 공의는 실현된다. 이것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기독교 신앙 공동체의 전통적인 가르침이며 믿음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헤겔의 종합의 체계
몸. 영혼. 정신의 합일체로서의 인간 이해
교육의 본질과 목적 -성경적 관점을 중심으로
[칸트의 사상][칸트의 철학]칸트의 사상과 철학에 관한 고찰(칸트 생애, 칸트 윤리학과 인식...
융의 분석심리학
서양 고대와 중세의 교육
예수(그리스도, 예수그리스도)의 인성과 직무, 예수(그리스도, 예수그리스도)의 자각과 성막,...
[개신교][가톨릭][천주교]개신교의 특징, 개신교의 구원론, 개신교의 성경반포와 신앙공동체,...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영국의 대중국 경제·종교적 팽창의 군사적 결정성 - 아편전쟁기를 ...
사회복지실천론 -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구미 사회복지실천의 발달 과정, 우리나라 사회복...
[목회실습] 목회에 대하여
[심리학과 심리치료] 인간중심치료에 대한 개관적 이해(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이...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