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 단 O. 비아
성서신학의 목적과 과제
신약성서의 다양성과 통일성
역사적 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연구
N. T. 라이트
평가
성서신학의 목적과 과제
신약성서의 다양성과 통일성
역사적 연구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연구
N. T. 라이트
평가
본문내용
이다. 이것은 저자가 현 교회에서 신앙을 지키고 있는 신자들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않고 신약신학의 나아감과 그 방향성을, 그리고 무한한 가능성과 그 역할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처음 연구의 목적을 ‘성서 종교의 가르침에 대한 체계화’로 제시하고 있기는 하나 분석하여 나누는 것에 탁월한 반면, 체계화로 인한 모호함(교리적 모호함이 아닌 신앙 정체성으로써의 모호함)이 더 많이 남았다는 이야기이다.
나름대로의 적용점을 찾아본다면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복음주의와 기독교적 지성에서 그가 지적했던 ‘철학적인 물음에 대한 지대한 연구들을 버려둔 채 신앙만을 간직하는 기독교인’들이 되기보다는 성경의 난해한 질문들에 대해 답을 찾으려 노력하고, 또한 추상적인 대답 이외에 더 신중하고 결속력 있으며 성서적이며 신앙적인 해답을 찾기에 노력하는 기독교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게 될 것이다. 역사적 예수 연구나 해석학적, 비평학적 연구들을 권면하며 다가가기 보다는, 그 필요성을 깨닫고 연구하여 그 지식들을 나누며 성도들을 지성과 영성이 겸비된 하나님의 사람들로 만드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넋두리를 한가지 하자면, 신학생은 이러한 면에서 정말 할 일이 너무나도 많다.
나름대로의 적용점을 찾아본다면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복음주의와 기독교적 지성에서 그가 지적했던 ‘철학적인 물음에 대한 지대한 연구들을 버려둔 채 신앙만을 간직하는 기독교인’들이 되기보다는 성경의 난해한 질문들에 대해 답을 찾으려 노력하고, 또한 추상적인 대답 이외에 더 신중하고 결속력 있으며 성서적이며 신앙적인 해답을 찾기에 노력하는 기독교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게 될 것이다. 역사적 예수 연구나 해석학적, 비평학적 연구들을 권면하며 다가가기 보다는, 그 필요성을 깨닫고 연구하여 그 지식들을 나누며 성도들을 지성과 영성이 겸비된 하나님의 사람들로 만드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넋두리를 한가지 하자면, 신학생은 이러한 면에서 정말 할 일이 너무나도 많다.
키워드
추천자료
불트만의 실존론적 성서해석
제4장 신약신학과 구약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사역(레온모리스-신약신학)
선교 신학의 성서적 기초
성서 해석학의 개요
구약성서(구약성경) 형성, 구약성서(구약성경) 그리스도 사상, 구약성서(구약성경) 구원론, ...
[성서][성경]성서(성경)의 가르침, 성서(성경)의 사명, 성서(성경)의 종말관, 성서(성경)의 ...
해석학과 종교신학
신약 바울 신학에서 본 불교 유교 이슬람 비교 연구
성경해석-성서유니온선교회
경건주의신학의 해석과 현재적 이해
[독후감, 요약, 감상문] 요아킴 예레미아스의 <신약신학>을 일고
[신약신학] 복음서의 예수 그리스도 중심성
<성경의 권위와 스콜라신학> 중세시대의 이성과 계시, 아리스토 텔레스의 재발견, 성경학자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