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3
1. 우리나라 농업의 전반적 현실·····························································3
2. 연구목적 및 방법··············································································5
Ⅱ. 본론··································································································6
1. 협동조합의 필요성············································································6
2. 한국 협동조합의 문제점·····································································8
3. 해외 사례 분석·················································································9
1) 미국의 협동조합 사례···································································9
(1) 설립배경···············································································9
(2) 현황 및 특징·········································································9
(3) 협동조합의 종류····································································10
(4)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11
2) 독일의 협동조합 사례··································································13
(1) 설립배경··············································································13
(2) 현황 및 특징········································································14
(3)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16
3) 프랑스의 협동조합 사례·······························································16
(1) 설립배경··············································································16
(2) 현황 및 특징········································································17
(3) 협동조합의 종류····································································18
(4)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20
Ⅲ. 결론··································································································20
1. 연구결과 ································································
1. 우리나라 농업의 전반적 현실·····························································3
2. 연구목적 및 방법··············································································5
Ⅱ. 본론··································································································6
1. 협동조합의 필요성············································································6
2. 한국 협동조합의 문제점·····································································8
3. 해외 사례 분석·················································································9
1) 미국의 협동조합 사례···································································9
(1) 설립배경···············································································9
(2) 현황 및 특징·········································································9
(3) 협동조합의 종류····································································10
(4)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11
2) 독일의 협동조합 사례··································································13
(1) 설립배경··············································································13
(2) 현황 및 특징········································································14
(3)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16
3) 프랑스의 협동조합 사례·······························································16
(1) 설립배경··············································································16
(2) 현황 및 특징········································································17
(3) 협동조합의 종류····································································18
(4)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20
Ⅲ. 결론··································································································20
1. 연구결과 ································································
본문내용
조합과 생협을 연결하고, 품목 조합을 육성하고 운영에 도움을 주고, 생협이 안정적으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고,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서포트 해줄 수 있는 기관이 필요 하다는 결론에 도달 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는 공급과 소비의 안정적 조화를 위한 품목 조합 공사를 설립하여, 현재 농업 시장의 상황 상 판매자나 유통업자가 비정상적으로 강한 힘을 가지는 구조를 바꾸고 비정상적 시장 최적을 해소하고 고품질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과 활발한 소비를 위한 사회적 최적을 달성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즉. 공사는 영세한 농민의 판매라는 리스크를 부담하고, 생협이 원하는 안정적 공급에 대한 리스크를 흡수함으로써, 농업의 안정적 발전과 안정된 식품 소비라는 사회적 최적 달성에 기여 하게 만들어야 한다.
2. 연구의 한계
본 팀은 연구를 통하여, 현재 시장 상태로 그대로 두어서는 농업이 위험 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시작하여, 현재 농업의 생산 형태는 일정 균형을 가진 품목 조합의 형태로, 품목 조합의 안정적 판매를 위한 생협의 양산이 필요성에 도달 하게 되었다.
안정적 생산과 안정된 소비가 현 농업시장에서는 최적이 달성되기 어렸기 때문에
농업생산자가 일정 규모로 성장 하여 마케팅 능력을 가질 때 까지, 생협의 유통망이 일정량 갖추어 지기 까지 공익적 기관의 공사가 필요 하다고 생각 하였다.
하지만 본연구의 핵심인 품목조합공사는 자칫 모든 리스크의 공사부담이라는 단점과 모든 정보가 공사를 지나간다는 한계로 인하여 지역특성화가 핵심인 품목 조합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변을 해주지 못 하고 있다. 더불어 본 품목조합공사가 제 2의 농협중앙회가 될 수도 있는 또 다른 리스크를 내포 하고 있기도 하다.
3. 발전 방향
본 팀은 협동조합의 구성과 교육을 그리고 판로개선을 위한 역할을 정부의 기관인 공사설립을 통하여 해결해야 한다고 이야기 하였다. 하지만 일정 부분 지역 품목 조합이 설립 되어 진다면, 협동조합 구성과 교육 그리고 유통 정보 제공을 담당해 줄 수 있는 기관은 비단 공사가 아니어도 다양하게 예상 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의 대학의 숫자는 전국적으로 200여개 이른다. 향후 협동조합의 구성과 교육의 기능을 지역 대학이 흡수하여 농민과 연계하여 농학협력이 전개되어진다면, 공사 역할을 축소시킬 수 잇을 것이다. 덧붙여 지역 대학이 농학협력을 통한다면 학교 자체의 농산물 소비 기능과 교내 브랜드를 통한 판매와 유통망 또한 구성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 농업에 가장 필요한 부분은 규모와 유지로 보고 있다. 향후 일정부분의 규모만 가질 수 있다면, 한국의 농업 선진국 도약도 가능 할 것이다.
4. 연구를 마치며
현재 한국의 농업의 형태는 규모와 규조가 영세하고 전통적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 이런 한국의 농업의 한계는 농촌의 대부분이 실제로 산촌촌락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대규모 영농이 어려운 국토 형태적 어려움과 외국의 형태와 같이 농업이 비즈니스 형태로 가지 못하게 된 한국 농업의 구조적 문제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토의 한계 혹은 농업 구조적 발전의 문제로 평가 할 수 있지만, 한국 농업의 비즈니스화 되지 못 한 원인 중 가장 큰 인식은 역시 농업을 국가 정책과 국민들이 인식이 농업을 경쟁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하부 구조 혹은 산업 발전 단계의 하층적 구조로 인식한 부분이 가장 클 것이다.
경제학자 월리엄 페티의 페티클라크의 법칙을 보자면, 1차 산업 보다는 2차 산업이 그리고 2차 보다는 3차 산업의 비중을 이용하여 국가 발단을 판단하였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이나 국민의 인식은 마치 1차 산업이나 2차 산업이 3차 산업의 순서에 따라, 창출하는 부가가치와 순서 따라 산업의 중요도를 가르는 대단히 큰 우를 범하고 있다. 실제로 선진국은 1차 산업이 2차 산업을 든든히 바칠 수 있기 때문에 2차 산업의 발전하고 비중이 커진 것이고, 마찬가지로 1차와 2차 산업이 든든히 바치고 있기 때문에 3차 산업이 발전 한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지금 한국은 농업이란 땅을 밟지 못한 채 몸과 머리만 잔뜩 키운 비정상적 모습을 취하고 있다. 농업은 어머니요 산업의 근본이다. 더 늦기 전에 한국의 농업의 형태가 한국에 맞는 농업 구조를 가지고, 발전해야만 한 것이다 그리고 농업의 발전은 정부와 국민의 인식개선이 선행되어야만 달성 할 수 있는 과제 일 것이다.
< 참고문헌 >
<단행본>
농협대학 농협경제연구소“21C 농협사업의 새로운 방향 모색”, 2002
한국 생협연합회 “생협 인프라의 사회적 활용과 그 미래”, 푸른 나무, 2006
사공 용 “UR, DDA, FTA와 한국농업”,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농촌진흥청 “농업 관련 산업 발달사”, 2008
박광서, “농업생산조직과 지역농업조직화”,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7
<논문>
채욱, 김재수 외, “농업전망 2009 (I) 한국농업 농촌, 도전과 새로운 희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박성재, 황의식, “지역협동조합의 효율적 합동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박성재, 황의식, “농업협동조합의 지배구조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용택, 박준기, “외국의 협동조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김윤두 외, “농업법인 품목별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유통학회, 2009
임영선, “세계 품목조합의 현황과 발전방향”, 농협경제연구소, 2002.
김수석 외, “농업법인의 운영실태와 제도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웹사이트>
http://www.rda.go.kr - 농촌진흥청
http://www.krei.re.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nheri.re.kr - 농협경제연구소
http://www.kostat.go.kr - 통계청
http://www.icoop.or.kr - 생협 홈페이지http://www.psywca.or.kr/ 부산YWCA 생협자료실
http://kr.blog.yahoo.com/leeseo2322/1727 - 네이버블로그 (생협이하는일)
이런 상황에서 국가는 공급과 소비의 안정적 조화를 위한 품목 조합 공사를 설립하여, 현재 농업 시장의 상황 상 판매자나 유통업자가 비정상적으로 강한 힘을 가지는 구조를 바꾸고 비정상적 시장 최적을 해소하고 고품질 농산물의 안정적 공급과 활발한 소비를 위한 사회적 최적을 달성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즉. 공사는 영세한 농민의 판매라는 리스크를 부담하고, 생협이 원하는 안정적 공급에 대한 리스크를 흡수함으로써, 농업의 안정적 발전과 안정된 식품 소비라는 사회적 최적 달성에 기여 하게 만들어야 한다.
2. 연구의 한계
본 팀은 연구를 통하여, 현재 시장 상태로 그대로 두어서는 농업이 위험 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시작하여, 현재 농업의 생산 형태는 일정 균형을 가진 품목 조합의 형태로, 품목 조합의 안정적 판매를 위한 생협의 양산이 필요성에 도달 하게 되었다.
안정적 생산과 안정된 소비가 현 농업시장에서는 최적이 달성되기 어렸기 때문에
농업생산자가 일정 규모로 성장 하여 마케팅 능력을 가질 때 까지, 생협의 유통망이 일정량 갖추어 지기 까지 공익적 기관의 공사가 필요 하다고 생각 하였다.
하지만 본연구의 핵심인 품목조합공사는 자칫 모든 리스크의 공사부담이라는 단점과 모든 정보가 공사를 지나간다는 한계로 인하여 지역특성화가 핵심인 품목 조합의 장점을 잘 살릴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변을 해주지 못 하고 있다. 더불어 본 품목조합공사가 제 2의 농협중앙회가 될 수도 있는 또 다른 리스크를 내포 하고 있기도 하다.
3. 발전 방향
본 팀은 협동조합의 구성과 교육을 그리고 판로개선을 위한 역할을 정부의 기관인 공사설립을 통하여 해결해야 한다고 이야기 하였다. 하지만 일정 부분 지역 품목 조합이 설립 되어 진다면, 협동조합 구성과 교육 그리고 유통 정보 제공을 담당해 줄 수 있는 기관은 비단 공사가 아니어도 다양하게 예상 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의 대학의 숫자는 전국적으로 200여개 이른다. 향후 협동조합의 구성과 교육의 기능을 지역 대학이 흡수하여 농민과 연계하여 농학협력이 전개되어진다면, 공사 역할을 축소시킬 수 잇을 것이다. 덧붙여 지역 대학이 농학협력을 통한다면 학교 자체의 농산물 소비 기능과 교내 브랜드를 통한 판매와 유통망 또한 구성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 농업에 가장 필요한 부분은 규모와 유지로 보고 있다. 향후 일정부분의 규모만 가질 수 있다면, 한국의 농업 선진국 도약도 가능 할 것이다.
4. 연구를 마치며
현재 한국의 농업의 형태는 규모와 규조가 영세하고 전통적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다. 이런 한국의 농업의 한계는 농촌의 대부분이 실제로 산촌촌락의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대규모 영농이 어려운 국토 형태적 어려움과 외국의 형태와 같이 농업이 비즈니스 형태로 가지 못하게 된 한국 농업의 구조적 문제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토의 한계 혹은 농업 구조적 발전의 문제로 평가 할 수 있지만, 한국 농업의 비즈니스화 되지 못 한 원인 중 가장 큰 인식은 역시 농업을 국가 정책과 국민들이 인식이 농업을 경쟁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하부 구조 혹은 산업 발전 단계의 하층적 구조로 인식한 부분이 가장 클 것이다.
경제학자 월리엄 페티의 페티클라크의 법칙을 보자면, 1차 산업 보다는 2차 산업이 그리고 2차 보다는 3차 산업의 비중을 이용하여 국가 발단을 판단하였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이나 국민의 인식은 마치 1차 산업이나 2차 산업이 3차 산업의 순서에 따라, 창출하는 부가가치와 순서 따라 산업의 중요도를 가르는 대단히 큰 우를 범하고 있다. 실제로 선진국은 1차 산업이 2차 산업을 든든히 바칠 수 있기 때문에 2차 산업의 발전하고 비중이 커진 것이고, 마찬가지로 1차와 2차 산업이 든든히 바치고 있기 때문에 3차 산업이 발전 한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지금 한국은 농업이란 땅을 밟지 못한 채 몸과 머리만 잔뜩 키운 비정상적 모습을 취하고 있다. 농업은 어머니요 산업의 근본이다. 더 늦기 전에 한국의 농업의 형태가 한국에 맞는 농업 구조를 가지고, 발전해야만 한 것이다 그리고 농업의 발전은 정부와 국민의 인식개선이 선행되어야만 달성 할 수 있는 과제 일 것이다.
< 참고문헌 >
<단행본>
농협대학 농협경제연구소“21C 농협사업의 새로운 방향 모색”, 2002
한국 생협연합회 “생협 인프라의 사회적 활용과 그 미래”, 푸른 나무, 2006
사공 용 “UR, DDA, FTA와 한국농업”,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농촌진흥청 “농업 관련 산업 발달사”, 2008
박광서, “농업생산조직과 지역농업조직화”,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7
<논문>
채욱, 김재수 외, “농업전망 2009 (I) 한국농업 농촌, 도전과 새로운 희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박성재, 황의식, “지역협동조합의 효율적 합동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0
박성재, 황의식, “농업협동조합의 지배구조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김용택, 박준기, “외국의 협동조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김윤두 외, “농업법인 품목별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유통학회, 2009
임영선, “세계 품목조합의 현황과 발전방향”, 농협경제연구소, 2002.
김수석 외, “농업법인의 운영실태와 제도개선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웹사이트>
http://www.rda.go.kr - 농촌진흥청
http://www.krei.re.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http://www.nheri.re.kr - 농협경제연구소
http://www.kostat.go.kr - 통계청
http://www.icoop.or.kr - 생협 홈페이지http://www.psywca.or.kr/ 부산YWCA 생협자료실
http://kr.blog.yahoo.com/leeseo2322/1727 - 네이버블로그 (생협이하는일)
추천자료
- 생활정치와 사회주부-사회적 어머니 역할과 여성의 정치세력화에 대한
- 웰빙well-being문화의 정의와 전망
- 여성 해고 과정의‘비진의 의사표시’
- [감상문]풀뿌리가 희망이다 (도시속 희망공동체 11곳)
- 감성의 리더쉽
- 도농교류의 이론모형과 정책과제
- 유기가공품 유통실태조사
- 로컬푸드운동의 정의와 해외사례 및 국내 로컬푸드운동 활성화방안 (A+리포트)
- 최신 취업성공 자기소개서 예문분석 74가지 (지원동기, 성장과정, 장단점, 생활신조, 포부 장...
- 사이버 아마겟돈
- [일본]일본의 도시계획법, 일본의 학교교육법, 일본의 산업보건법, 일본의 근로자파견법, 일...
- 친환경 농업의 현황과 전망
- [지역사회복지론][풀뿌리 민주주의]
- SK케미칼 기업분석과 경영전략분석및 바이오에너지 산업분석과 SK케미칼 주요이슈및 경영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