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 - chapter 17. 인지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chapter 17. 인지치료

1. 인지치료 정의
2. 인지치료 역사
3. 적응증
4. 인지치료의 목표
5. 기본개념
6. 기법 (3가지 측면-교육적, 인지적, 행동적)

본문내용

에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에 기반을 둔다.
-인지치료방법 : 부정응적인 인지와 행동을 확인하고 수정하도록 돕기 위해 수많은 중재를 구조화
행동-지향적인 방법= 인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적응적 행동전략을 대상자가 배울 수 있도록 한다.
1)행동계획
대상자에게 매일 한 시간마다 활동일지를 기록하고 각 행동을 숙달과 즐거움에 비추어 0~10점까지의 강도를 평점(낮은게 문제, 이걸 인지 시키도록 교육)
2) 점진적 과제할당
-압도적이라고 느끼는 상황에 처한 대상자에게 사용됨.
-과제는 대상자가 한 단계에서 한번에 완성할 수 있는 하위과제로 세분한다.
-각 하위과제는 하나의 목표가 있고 그것을 성취할 수 있는 시간 간격을 둔다.
-각 하위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면 자존감이 증진되고 무력감이 감소된다.
3) 행동리허설
-인지적리허설과 유사하며 병용하기도 함
-역기능적인 인지를 일으키는 부적응행동을 수정하기 위한 역할연기를 사용
4) 분산기법
-역기능적인지가 인식되면 대상자의 주의를 분산하고 부적응적 반응을 일으키는 침습적인 생각이나 우 울한 사고의 반추에서 벗어나게 하는 활동이 무엇인지 확인
5)기타기법 : 이완훈련, 자기주장훈련, 역할모델링, 사회기술훈련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2.05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0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