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핵심내용, 비판] 미래 기업의 조건(Seeing What's Next) _ 클레이튼 크리스텐슨(Clayton M. Christensen)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평, 핵심내용, 비판] 미래 기업의 조건(Seeing What's Next) _ 클레이튼 크리스텐슨(Clayton M. Christensen)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글쓴이의 저술 동기 ……………………………………………………3
2.책의 핵심 내용 요약 ………………………………………………… 3
3.책을 읽고 수업과 관련하여 배운 것…………………………………5
4.책의 내용에 대한 비판 및 자신의 의견…………………………… 7

본문내용

2부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부 ‘혁신과 미래 예측’에서는 기회는 어디에 있고, 무엇이 혁신에 영향을 미쳐 누가 시장을 이끌어 성공의 기회를 가져오는지 변화를 예측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다룬 내용을 담고 있다. 제2부 ‘혁신으로 바라본 미래의 모습’에서는 교육, 항공, 반도체, 건강관리, 국가, 기업, 전기통신 등 실제 시장에 존재하는 산업에 혁신을 도입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1장 ‘변화의 신호: 기회는 어디에 있는가’ 에서는 산업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과정 중 첫 번째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변화의 신호를 감지하여 기회를 발견하기 위해서 기업이 소비자들의 유형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기업이 성장한 후 존속적 혁신으로 공략하는 불만족 고객, 신규시장의 파괴적 혁신으로 공략하는 비 소비 고객, 이미 제품과 기술에 대해서 만족감을 가지고 있어 로엔드 시장가격으로 공략하는 초과 만족 고객, 기업이 혁신 또는 장애물에 도움이 되는 비 시장 등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제2장 ‘경쟁적 전투: 누가 시장을 이끄는가’ 에서는 산업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과정 중 두 번째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변화의 신호를 감지했다면, 이 단계 에서는 기업의 경쟁력을 파악하고 평가하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PRV Resource, Process, Value 의 약자로, 가치Values(PRV)이론이라고 한다.
를 통하여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시장이라는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한 차별화와 저비용 전략과 또한 전략에 대응하기 위한 방패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제3장 ‘전략적 선택: 성공의 기회를 가져오는 선책’에서는 두 번째 단계에 기업의 경쟁력을 파악하고 평가했다면, 이 단계에서는 파악한 요소들을 가지고 기업의 전략을 세우는 단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진입기업의 성공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초기 환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준비과정 이며, 이용하는 가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론을 들어 설명한다. 또한 기존의 기업들을 위한 성공전략으로써 파괴적 블랙벨트에 대한 이론도 설명하고 있다.
제4장 ‘비 시장 요소 파악: 무엇이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가.’에서는 비 시장이 어떻게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있다. 동기/능력 틀을 이용하여 정부의 지원과 개입이 어떻게 미래의 산업시장을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제5장 ‘학교의 파괴: 교육산업의 미래’에서는 1부에서 설명한 과정을 실제 시장에 대입하여 교육산업의 미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비소비자에 관한 내용을 언급하며 숨겨진 수요를 찾아내거나 기존 교육산업에서 주도권을 갖은 기관들의 파괴적 혁신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다.
제6장 ‘파괴, 날개를 펴다: 항공 산업의 미래’ 에서는 항공 산업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보잉, 에어버스, 지역항공사 등의 예를 토대로 대형 항공사들이 승산 없는 게임을 하게 되었는지,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혁신을 펼쳤는지에 대해서 언급하며, 항공 산업에서 살아남기 위한 해결책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있다.
제7장 ‘무어의 법칙, 그 후: 반도체 산업의 미래’ 에서는 무어의 법칙 이후에 반도체 산업이 기술의 발달에만 치중하여 소비자의 초과 만족을 초래했고, 계속해서 기술 발달에만 치중할 경우 고객을 빼앗기고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8장 ‘삶의 질과 파괴적 혁신: 건강관리 산업의 미래’에서는 건강관리 산업이 병원이 아닌 집에서 편리하고 저렴하게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만드는 파괴적인 혁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파괴적 혁신이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2.1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0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