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서 론
본 론
1. 생체 신장 잇기 수술을 위한 준비
2. 생체에서의 공여신장 적출 술기
3. 뇌사자 신장이식을 위한 준비
4. 뇌사자에서의 신장적출 술기
5. 사체신장에서의 냉장 보존과 보존액
결 론
참고문헌
*부록
본 론
1. 생체 신장 잇기 수술을 위한 준비
2. 생체에서의 공여신장 적출 술기
3. 뇌사자 신장이식을 위한 준비
4. 뇌사자에서의 신장적출 술기
5. 사체신장에서의 냉장 보존과 보존액
결 론
참고문헌
*부록
본문내용
상 장간막 동맥에서 분지 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12%정도) 상 장간막 동맥을 미리 절제하지 않는다. 좌 신정맥을 따라 외측으로 박리를 진행하여 두 신정맥 및 성선정맥을 확인하고 이들을 절리 결찰하면 신장이 수동화 될수 있다. gerota 근막을 절개하고 주위 조직으로부터 신장을 박리 한다. 요관은 골반 상연 하방 부위에서 절단하여 근위 절단 부위를 전방 및 상방으로 견인 한다. 요관 주위의 섬유윤상 조직은 신장의 신우 뒤쪽에서 절개하고 요관 주위와 혈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하여 요관을 적출한다. 특히 신우 아래쪽에서 요관으로 분지되는 혈관은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3) 신장의 관류
총 장골 동맥 분지 부 바로위의 대동맥 아래쪽을 통하여 도관을 삽입하고 결찰하여 고정하고 간을 같이 구득할 때에는 관류를 위한 삽관을 하 장간막 정맥에 삽관한다. 신장만을 적출할 때에는 원위 부 대동맥을 결찰한 후 절단하여 분리하고 대동맥과 대정맥 근위 절단 부를 전방 및 상방으로 들어 올린 후 노출되는 요관 혈관들을 결찰및 절리하여 좌 신정맥까지 박리를 진행 하거나 또는 관류 후 결찰하지 않고 절제하기도 한다. 대동맥과 대정맥을 신 혈관 상부에서 일시 결찰한 후 즉시 UW용액이나 HTK용액을 이용하여 관류를 한다. 신장 만을 구득 할 때에는 관류 용액으로 Ringers lactace(1ℓ) + bicarbonate (10㎖)+ heparine 10,000u를 섞은 용액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대 정맥에 삽관한 도관이나 도관을 하지 않은 경우 절단한 하대 정맥으로 배출되는 관류 액이 깨끗해 질때까지 관류를 계속한다. 보통 신장만을 관류 할때 에는 500~600㎖의 용액이 사용된다. 신장을 보다 빨리 냉각시키기 위해 소독된 식염수 얼음 조각을 복강 내에 투입한다. 관류를 하여 심장 정지가 최종적으로 확인되고 난후 장기를 구득한다. 대동맥과 대정맥의 근위 부를 절단한 후 수동화 된 신장과 요관을 전방으로 들어올리고 후 복막과 대 정맥,대동맥 사이에 남아있는 부위를 절제한다. 대정맥의 위쪽은 좌측 신정맥보다 2~3cm 상부에서 자르고 아래쪽은 좌 신정맥 5~6cm 하부에서 잘라 en block 절제한다.
4) 신장의 분리
대정맥, 대동맥 분절과 함께 덩어리 채 분리된 신장 식염수 얼음 조각이 담긴 용기에 넣은 후 bench수술을 시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기에 in siru 냉각이 가능하고 신장의 구득 시간과 정상적으로 12~15% 존재하는 부가 혈관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대동맥을 통해 관류 액을 주입 할 수 있음으로써 신동맥에 직접 주입하지 않음으로 혈관 내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가 혈관 문합 시 대동맥 cuff를 이용하여 단일 carrel patch문합을 할 수 있어 수술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과도하게 부착된 섬유 윤상 조직을 제거하고 부신을 절제하고 주위의 작은 혈관분지를 결찰한 후 대동맥의 전벽과 후벽을 절단하여 나눈다. 신장 정맥과 동맥을 확인하고 신정맥은 기시부에서 대정맥과 함께 절제한다. 우측 신정맥은 대 정맥을 횡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면을 통합하여 길이를 연장 시킬 수 있다.
뇌사자에서는 다 장기 공여가 이루어지므로 장기의 구득 시 각각의 전문 의료진이 상의하여 혈관 절제 부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하고 특히 신장 구득 시는 요관 혈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UW 용액으로 관류를 하였을 때에는 이식 전에 냉각시킨 하트만 용액으로 관류 액을 충분히 희석 시킨 후 사용한다.
V. 사체신장의 냉장보존과 보존액
1. 장기보관액의 성분 및 기전
허혈시간 동안에 이식되는 신장의 세포손상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과 신장보관액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허혈 및 재관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장기보관에게는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세포에 부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포막을 투과하지 않는 성분(mamnitol, sucrose, hydroxyethyl starch, lactobionace, raffinose, gluconate)이 포함되고 세포내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ATP 전구 물질인 adenosine, xanthine oxydase 억제물질인 allopurinol, 자유 유리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glutathione, 세포막을 인정하기 위하여 insulin과 steroid, 세포의 pH 감소를 완충하기 위한 buffer 물질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세포내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K+ 이온을 첨가하기도 한다.
현재까지의 신장보관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장기보관액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개발되어야 할 분야이다. 1969년 collins에 의하여 개발된 Collins 용액은 그후 Collins C2, Euro-Collins Sucrose 등의 여러 가지 개선된 보관액으로 발전되었으며, Citrate을 포함하는 용액, Bretschneider\'s HYK solution, University of Wisconsin(UW) solution, HES (hydroxyethyl starch)-tree UW solution, Celsior solution 등이 사용된다.
2. 신장보관 방법
신장을 보관하는 방법으로는 장기보관액을 신장동맥에 관류하여 신장의 혈관계의 혈액을 제거하고 대신 장기보관액을 혈관구조에 채워 약 4℃의 냉장상태에 보관하는 냉장보관(cold preservation or static storage)과, 냉장상태에서 기계적로 장치를 이용하여 신장의 혈관구조에 지속적으로 장기보관액을 관류하는 기계관류(perfusion storage)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냉장보관은 기계관류에 비하여 간편하고, 경비가 적게 들며, 관리하는 인원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장기보관중에 지속적인 산소 및 전해질의 공급, 적정의 산도유지, 조직내의 대사산물의 제거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출된 신장에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장기보관액을 관류시켜 신장조직에 산소, 저
3) 신장의 관류
총 장골 동맥 분지 부 바로위의 대동맥 아래쪽을 통하여 도관을 삽입하고 결찰하여 고정하고 간을 같이 구득할 때에는 관류를 위한 삽관을 하 장간막 정맥에 삽관한다. 신장만을 적출할 때에는 원위 부 대동맥을 결찰한 후 절단하여 분리하고 대동맥과 대정맥 근위 절단 부를 전방 및 상방으로 들어 올린 후 노출되는 요관 혈관들을 결찰및 절리하여 좌 신정맥까지 박리를 진행 하거나 또는 관류 후 결찰하지 않고 절제하기도 한다. 대동맥과 대정맥을 신 혈관 상부에서 일시 결찰한 후 즉시 UW용액이나 HTK용액을 이용하여 관류를 한다. 신장 만을 구득 할 때에는 관류 용액으로 Ringers lactace(1ℓ) + bicarbonate (10㎖)+ heparine 10,000u를 섞은 용액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대 정맥에 삽관한 도관이나 도관을 하지 않은 경우 절단한 하대 정맥으로 배출되는 관류 액이 깨끗해 질때까지 관류를 계속한다. 보통 신장만을 관류 할때 에는 500~600㎖의 용액이 사용된다. 신장을 보다 빨리 냉각시키기 위해 소독된 식염수 얼음 조각을 복강 내에 투입한다. 관류를 하여 심장 정지가 최종적으로 확인되고 난후 장기를 구득한다. 대동맥과 대정맥의 근위 부를 절단한 후 수동화 된 신장과 요관을 전방으로 들어올리고 후 복막과 대 정맥,대동맥 사이에 남아있는 부위를 절제한다. 대정맥의 위쪽은 좌측 신정맥보다 2~3cm 상부에서 자르고 아래쪽은 좌 신정맥 5~6cm 하부에서 잘라 en block 절제한다.
4) 신장의 분리
대정맥, 대동맥 분절과 함께 덩어리 채 분리된 신장 식염수 얼음 조각이 담긴 용기에 넣은 후 bench수술을 시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기에 in siru 냉각이 가능하고 신장의 구득 시간과 정상적으로 12~15% 존재하는 부가 혈관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대동맥을 통해 관류 액을 주입 할 수 있음으로써 신동맥에 직접 주입하지 않음으로 혈관 내막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가 혈관 문합 시 대동맥 cuff를 이용하여 단일 carrel patch문합을 할 수 있어 수술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과도하게 부착된 섬유 윤상 조직을 제거하고 부신을 절제하고 주위의 작은 혈관분지를 결찰한 후 대동맥의 전벽과 후벽을 절단하여 나눈다. 신장 정맥과 동맥을 확인하고 신정맥은 기시부에서 대정맥과 함께 절제한다. 우측 신정맥은 대 정맥을 횡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면을 통합하여 길이를 연장 시킬 수 있다.
뇌사자에서는 다 장기 공여가 이루어지므로 장기의 구득 시 각각의 전문 의료진이 상의하여 혈관 절제 부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기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하고 특히 신장 구득 시는 요관 혈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UW 용액으로 관류를 하였을 때에는 이식 전에 냉각시킨 하트만 용액으로 관류 액을 충분히 희석 시킨 후 사용한다.
V. 사체신장의 냉장보존과 보존액
1. 장기보관액의 성분 및 기전
허혈시간 동안에 이식되는 신장의 세포손상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과 신장보관액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허혈 및 재관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장기보관에게는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세포에 부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포막을 투과하지 않는 성분(mamnitol, sucrose, hydroxyethyl starch, lactobionace, raffinose, gluconate)이 포함되고 세포내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ATP 전구 물질인 adenosine, xanthine oxydase 억제물질인 allopurinol, 자유 유리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glutathione, 세포막을 인정하기 위하여 insulin과 steroid, 세포의 pH 감소를 완충하기 위한 buffer 물질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세포내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K+ 이온을 첨가하기도 한다.
현재까지의 신장보관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장기보관액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개발되어야 할 분야이다. 1969년 collins에 의하여 개발된 Collins 용액은 그후 Collins C2, Euro-Collins Sucrose 등의 여러 가지 개선된 보관액으로 발전되었으며, Citrate을 포함하는 용액, Bretschneider\'s HYK solution, University of Wisconsin(UW) solution, HES (hydroxyethyl starch)-tree UW solution, Celsior solution 등이 사용된다.
2. 신장보관 방법
신장을 보관하는 방법으로는 장기보관액을 신장동맥에 관류하여 신장의 혈관계의 혈액을 제거하고 대신 장기보관액을 혈관구조에 채워 약 4℃의 냉장상태에 보관하는 냉장보관(cold preservation or static storage)과, 냉장상태에서 기계적로 장치를 이용하여 신장의 혈관구조에 지속적으로 장기보관액을 관류하는 기계관류(perfusion storage)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냉장보관은 기계관류에 비하여 간편하고, 경비가 적게 들며, 관리하는 인원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장기보관중에 지속적인 산소 및 전해질의 공급, 적정의 산도유지, 조직내의 대사산물의 제거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출된 신장에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장기보관액을 관류시켜 신장조직에 산소, 저
추천자료
인공신장실 보고서(혈액투석, 복막투석)
과학과 수행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
[사회과학] 신장장애
신장장애에 대하여...
인공신장실보고서혈
[진로상담]진로상담의 목적, 의미, 과정, 형태와 진로상담의 방법 및 효율적인 진로상담을 위...
장애학생을 위한 직업 프로그램
신장장애에대해
인공 신장실 실습 레포트
자기주도적학습의 정의와 배경, 자기주도적학습의 원리와 과정, 자기주도적학습을 위한 ICT(...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고 발표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발표지도법
아동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독서지도방법
<간호학> KC 신장센터 케이스 (혈액투석 복막투석 비교)
효율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방안을 증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