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등등
접근4
융판을 이용한 시청각 학습
<융판으로 이야기 하는 교사> <융판 동화: 효녀 심청>
접근5(실제적 이야기의 행동)
접근6(효과적인 접근으로 실제상황 연출)
강의2: 죄가 하는 일이 무엇인가?(p230-234)
강의목표: 중등반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들의 생활의 죄의 능력에서 자유를 갈망하도록 촉구하는데 있음
배경: 죄에 대한 성서적 개념은 복잡하지만 성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나타나있다. 죄에 대한 개념위주의 학습을 위해 두 가지 초점을 둔다.
1. 죄의 실재 2. 죄의 인력에 대한 신자의 반응
여기에 로마서 7:19-24을 택한다. 이 부분을 접근할 때 기본 진리가 반드시강의에 의해 주어져야 한다. 이것을 위해 교사는 칠판에 정의를 토론하거나 열거함으로 성경 구절의 신령한 것과 육적인 것 과 같은 중요한 용어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성경귀절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접근1(그림)
옳은 길(오른발)과 잘못된(왼발) 길에서 갈등하는 사람
접근2
“사건의역”성경 본문의 의미를 더 다양하게 다른 말로 바꿔놓는 일
접근3
두 사람씩 짝을 지어 연구하고 답하게 함
질문: 1.바울은 무엇을 하기를 원하는가?
2.바울은 무엇을 행하지 못하고 있던가?
“우리는 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접근4
학습자로 하여금 바울이 죄에 대해 느낀 것을 보여주는 구절을 찾아 기록하고 그들이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이야기 하게 한다. 죄에 대한 의식을 접근케 하여 바울이 죄에 대해 염려했던 이유에 대한 질문에 답해본다. 여기서 자신의 뜻은 예수님을 기쁘게 하기를 갈망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고 벌을 받게 될것과 자기속에 선이란 없음을 알고 하는 근심이라는 실마리를 학습자는 얻게된다.
접근5
중급반 학생들에게 아간이나 유다와 같은 죄를 범한 사람에 대한 성경 이야기를 기억하게 한다.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여러 가지 현상들에 대하여 이야기하게 한다.
접근6
하나님을 사랑해왔지만 악을 범하고 그것을 가슴아프게 여겨오던 사람을 지적한다. 시편 32:3-4를 읽고 다윗이 범죄이후 느낀 점들에 대해 토의 한다.
이후로 학습자에게 “죄”에 대한 교훈을 깨달았을 때 학습자는 다음의 통찰력으로 인도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19통찰력으로 인도하는 법(pp.235-243)
이 부분은 설교와 강의를 구별 짓는 과정으로 보고 창조적인 성서교수법 중 가장 어렵고 가장 도전적인 면이 있다. 어린이들을 통찰력으로 인도하는 일은 곧 배운 진리를 어떻게 자기들의 체험과 일치시키느냐이다. 여기에 교사는 확고하고 큰 그림으로 선명한 강의와 확고한 지도가 요청된다. 그것을 본장에서 서술한다.(p.235)
학습과 참여 통찰력-눈에대한 근본적 개념은 9장 p.128 참고
여기서는 진리 하나님에 관한 진리나 교훈 또는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진리
에 대한 반응이란 하나의 행위일지도 모른다는 것을 상기함이 중요하다. 교사는 진리에 대한 반응에 스스로 집중하도록 도와야 하며 그런 반응촉진을 하도록 도와야 한다.
강의1: 그리스도께서 광풍을 잠잠케 하시다.
강의목표: 초등부 학생으로 하여금 두려울때에 예수님을 신뢰토록 하는데 있음.
투시력의 단계는 아이들이 그리스도를 신뢰하지 않으면 안될 어려운 처지를 앎과 동시에 두려울 때 주님께로 돌아갈 방법을 생각토록 하는데 집중한다. 이에 다음 두가지 방법으로 아이들을 돕는다.
접근1(낚시바늘 활동) 7장(pp.91-104)에서 교사가 학습반에 서슴치 않고 들어가서 주의를 끄는 행동들 “우리가 두려워 하던 때” 열거함. 구체적 낙시바늘에 대한 이미지와 서술은 9장 p126참고
접근2(낚시바늘 활동2)
그림을 그리면서 예수님이 함께 하심을 기억한 이후와 기억하지 못한 때를 비교함 p127의 낚시바늘의 두가지 기능을 기억해야 한다. 1. 주의를 끌고 2. 좋은 목표를 두는 것 이다. 단지 주의를 끄는 기능만을 기억해서는 안된다. 좋은 목표란 설교자들은 ‘필요조건’이라고 표현한다.
접근3(인형놀이)
인형가족놀이를 통해 주님을 신뢰함으로 무사히 집으로 올수 있음을 표현함
접근4
어린이들로 하여금 두려움을 느끼는 장면을 보여준 화판을 준비하여 상황을 이야기 하도록 한다.
접근5
두려움을 이기는 내용의 찬송가를 부르고 구구절절 토의하게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두려울 때 주님을 신뢰하는 통찰로 연결된다.
강의2: 죄가 하는 일이 무엇인가?
강의목적: 중등부 학생으로 하여금 그들의 생활 속에서 죄의 권세로부터 해방 받기를 촉구하는데 있음
이과는 명백한 형태의 행위 반응을 유발케하는 점에 있는 것이 아닌 태도와 동기를 유발케 하는 데 있다. 생활가운데 죄의 의미를 깊이 인식하여 그리스도에게 개인적인 반응을 준비토록 하는데 있다. 특히 투시력의 단계는 중등부 학생으로 하여금 각자 생활속의 죄의 이끄는 힘을 좀더 감각케 하고 죄가 이끌고 오는 죄책 및 죄책감을 깊이 인식토록 계획된 것이다.
접근 1.(이야기 소재)
죄에 대하여 개개의 논란점을 일으킬만한 생활속의 이야기를 소재로 학생들에게 읽히게하여 토론케 한다.(p.240)
접근2.(에니메이션)
나쁜 선택을 했던 사울의 필름을 보고 논의하게 한다.
접근3.(작문)
접근1의 이야기 소재에 대한 옳은 선택과 틀린 선택의 두가지 풍자문을 만들어서 토론토록 한다.
접근4.(문장완성)
어떤 성경 범죄 사건에 대한 친구의 생각을 완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큰소리로 낭독해보게 한다.
저자의 요약
본서가 근거하고 있는 근본적 내용은 성경강의는 학생들로 하여금 하나님께 대한 반응으로 인도하도록 조직되어야 한다. 말씀가운데 만나주시는 하나님의 반응이 아닌 반응은 율법주의로 하락한다. 성서에서 떠난 기교(技巧)에 동기 부여 받은 행위는 영적으로 의의가 있을수 없다. (p.242)
본장의 투시력 활동은 성경공부와 참되게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학생들은 계시가운데 나타난 하나님과 대면하게 된다. 이 활동은 적절한 반응에로 학생들을 인도코자 하는 것이다.
20.반응격려(pp.245-253)
반응이란 하나님편에서 주권적 섭리다. 인간편에서는 자기 결심이다. 교사의 책임적 견해에서 반응하고 실행하기를 격려받아야 하는 것이다.(p.245)
학습자 반응을
접근4
융판을 이용한 시청각 학습
<융판으로 이야기 하는 교사> <융판 동화: 효녀 심청>
접근5(실제적 이야기의 행동)
접근6(효과적인 접근으로 실제상황 연출)
강의2: 죄가 하는 일이 무엇인가?(p230-234)
강의목표: 중등반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들의 생활의 죄의 능력에서 자유를 갈망하도록 촉구하는데 있음
배경: 죄에 대한 성서적 개념은 복잡하지만 성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나타나있다. 죄에 대한 개념위주의 학습을 위해 두 가지 초점을 둔다.
1. 죄의 실재 2. 죄의 인력에 대한 신자의 반응
여기에 로마서 7:19-24을 택한다. 이 부분을 접근할 때 기본 진리가 반드시강의에 의해 주어져야 한다. 이것을 위해 교사는 칠판에 정의를 토론하거나 열거함으로 성경 구절의 신령한 것과 육적인 것 과 같은 중요한 용어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성경귀절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접근1(그림)
옳은 길(오른발)과 잘못된(왼발) 길에서 갈등하는 사람
접근2
“사건의역”성경 본문의 의미를 더 다양하게 다른 말로 바꿔놓는 일
접근3
두 사람씩 짝을 지어 연구하고 답하게 함
질문: 1.바울은 무엇을 하기를 원하는가?
2.바울은 무엇을 행하지 못하고 있던가?
“우리는 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접근4
학습자로 하여금 바울이 죄에 대해 느낀 것을 보여주는 구절을 찾아 기록하고 그들이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이야기 하게 한다. 죄에 대한 의식을 접근케 하여 바울이 죄에 대해 염려했던 이유에 대한 질문에 답해본다. 여기서 자신의 뜻은 예수님을 기쁘게 하기를 갈망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고 벌을 받게 될것과 자기속에 선이란 없음을 알고 하는 근심이라는 실마리를 학습자는 얻게된다.
접근5
중급반 학생들에게 아간이나 유다와 같은 죄를 범한 사람에 대한 성경 이야기를 기억하게 한다.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여러 가지 현상들에 대하여 이야기하게 한다.
접근6
하나님을 사랑해왔지만 악을 범하고 그것을 가슴아프게 여겨오던 사람을 지적한다. 시편 32:3-4를 읽고 다윗이 범죄이후 느낀 점들에 대해 토의 한다.
이후로 학습자에게 “죄”에 대한 교훈을 깨달았을 때 학습자는 다음의 통찰력으로 인도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19통찰력으로 인도하는 법(pp.235-243)
이 부분은 설교와 강의를 구별 짓는 과정으로 보고 창조적인 성서교수법 중 가장 어렵고 가장 도전적인 면이 있다. 어린이들을 통찰력으로 인도하는 일은 곧 배운 진리를 어떻게 자기들의 체험과 일치시키느냐이다. 여기에 교사는 확고하고 큰 그림으로 선명한 강의와 확고한 지도가 요청된다. 그것을 본장에서 서술한다.(p.235)
학습과 참여 통찰력-눈에대한 근본적 개념은 9장 p.128 참고
여기서는 진리 하나님에 관한 진리나 교훈 또는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진리
에 대한 반응이란 하나의 행위일지도 모른다는 것을 상기함이 중요하다. 교사는 진리에 대한 반응에 스스로 집중하도록 도와야 하며 그런 반응촉진을 하도록 도와야 한다.
강의1: 그리스도께서 광풍을 잠잠케 하시다.
강의목표: 초등부 학생으로 하여금 두려울때에 예수님을 신뢰토록 하는데 있음.
투시력의 단계는 아이들이 그리스도를 신뢰하지 않으면 안될 어려운 처지를 앎과 동시에 두려울 때 주님께로 돌아갈 방법을 생각토록 하는데 집중한다. 이에 다음 두가지 방법으로 아이들을 돕는다.
접근1(낚시바늘 활동) 7장(pp.91-104)에서 교사가 학습반에 서슴치 않고 들어가서 주의를 끄는 행동들 “우리가 두려워 하던 때” 열거함. 구체적 낙시바늘에 대한 이미지와 서술은 9장 p126참고
접근2(낚시바늘 활동2)
그림을 그리면서 예수님이 함께 하심을 기억한 이후와 기억하지 못한 때를 비교함 p127의 낚시바늘의 두가지 기능을 기억해야 한다. 1. 주의를 끌고 2. 좋은 목표를 두는 것 이다. 단지 주의를 끄는 기능만을 기억해서는 안된다. 좋은 목표란 설교자들은 ‘필요조건’이라고 표현한다.
접근3(인형놀이)
인형가족놀이를 통해 주님을 신뢰함으로 무사히 집으로 올수 있음을 표현함
접근4
어린이들로 하여금 두려움을 느끼는 장면을 보여준 화판을 준비하여 상황을 이야기 하도록 한다.
접근5
두려움을 이기는 내용의 찬송가를 부르고 구구절절 토의하게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두려울 때 주님을 신뢰하는 통찰로 연결된다.
강의2: 죄가 하는 일이 무엇인가?
강의목적: 중등부 학생으로 하여금 그들의 생활 속에서 죄의 권세로부터 해방 받기를 촉구하는데 있음
이과는 명백한 형태의 행위 반응을 유발케하는 점에 있는 것이 아닌 태도와 동기를 유발케 하는 데 있다. 생활가운데 죄의 의미를 깊이 인식하여 그리스도에게 개인적인 반응을 준비토록 하는데 있다. 특히 투시력의 단계는 중등부 학생으로 하여금 각자 생활속의 죄의 이끄는 힘을 좀더 감각케 하고 죄가 이끌고 오는 죄책 및 죄책감을 깊이 인식토록 계획된 것이다.
접근 1.(이야기 소재)
죄에 대하여 개개의 논란점을 일으킬만한 생활속의 이야기를 소재로 학생들에게 읽히게하여 토론케 한다.(p.240)
접근2.(에니메이션)
나쁜 선택을 했던 사울의 필름을 보고 논의하게 한다.
접근3.(작문)
접근1의 이야기 소재에 대한 옳은 선택과 틀린 선택의 두가지 풍자문을 만들어서 토론토록 한다.
접근4.(문장완성)
어떤 성경 범죄 사건에 대한 친구의 생각을 완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큰소리로 낭독해보게 한다.
저자의 요약
본서가 근거하고 있는 근본적 내용은 성경강의는 학생들로 하여금 하나님께 대한 반응으로 인도하도록 조직되어야 한다. 말씀가운데 만나주시는 하나님의 반응이 아닌 반응은 율법주의로 하락한다. 성서에서 떠난 기교(技巧)에 동기 부여 받은 행위는 영적으로 의의가 있을수 없다. (p.242)
본장의 투시력 활동은 성경공부와 참되게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학생들은 계시가운데 나타난 하나님과 대면하게 된다. 이 활동은 적절한 반응에로 학생들을 인도코자 하는 것이다.
20.반응격려(pp.245-253)
반응이란 하나님편에서 주권적 섭리다. 인간편에서는 자기 결심이다. 교사의 책임적 견해에서 반응하고 실행하기를 격려받아야 하는 것이다.(p.245)
학습자 반응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