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의 배경
2. 목적 진술
3. 연구 방법
II. 침례의 발전사
1. 침례란
1) 의미
2) 언어상의 의미
2. 신약시대의 침례
1) 침례요한의 침례
2) 예수님의 침례
3) 초대교회의 침례
III. 유아세례
1. 유아세례의 발전사
2. 원죄론
3. 현대의 유아세례
IV. 침례교인의 유아세례에 대한 입장
1. 유아세례에 대한 비판
2. 유아세례의 미치는 영향
3. 침례교인의 입장
V. 침례교인의 나아가야할 방향
1. 어린아이를 위한 헌신과 축복을 기원하는 예배
2. 신앙적 유산의 상속
3. 회심,구원, 그리고 교회회원으로서의 자격
참고도서 목혹
1. 연구의 배경
2. 목적 진술
3. 연구 방법
II. 침례의 발전사
1. 침례란
1) 의미
2) 언어상의 의미
2. 신약시대의 침례
1) 침례요한의 침례
2) 예수님의 침례
3) 초대교회의 침례
III. 유아세례
1. 유아세례의 발전사
2. 원죄론
3. 현대의 유아세례
IV. 침례교인의 유아세례에 대한 입장
1. 유아세례에 대한 비판
2. 유아세례의 미치는 영향
3. 침례교인의 입장
V. 침례교인의 나아가야할 방향
1. 어린아이를 위한 헌신과 축복을 기원하는 예배
2. 신앙적 유산의 상속
3. 회심,구원, 그리고 교회회원으로서의 자격
참고도서 목혹
본문내용
침례교인과 유아세례
I. 서론
1. 연구의 배경
2. 목적 진술
3. 연구 방법
II. 침례의 발전사
1. 침례란
1) 의미
2) 언어상의 의미
2. 신약시대의 침례
1) 침례요한의 침례
2) 예수님의 침례
3) 초대교회의 침례
III. 유아세례
1. 유아세례의 발전사
2. 원죄론
3. 현대의 유아세례
IV. 침례교인의 유아세례에 대한 입장
1. 유아세례에 대한 비판
2. 유아세례의 미치는 영향
3. 침례교인의 입장
V. 침례교인의 나아가야할 방향
1. 어린아이를 위한 헌신과 축복을 기원하는 예배
2. 신앙적 유산의 상속
3. 회심,구원, 그리고 교회회원으로서의 자격
참고도서 목혹
I.서론
1.연구배경
침례교인과 유아세례에 관한 관심은 1학기에 클리포드 잉글이 엮은 “어린이와 회심”을 읽으면서 시작 되었다.『어린이와 회심』은 어린이에게 있어서의 구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고, 여러 가지 입장들과 그것들에 대한 침례교적 관점에 대해서 세미나 한 것을 클리포드 잉글이 엮어 놓은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과연 어린이의 구원에 대해서 신학적으로 어떠한 관점들이 있으며 어떠한 모습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고 싶었고, 그리고 어린이의 구원의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목적진술
대부분의 장로교 입장에서는 유아세례에 대한 찬성 주장을 하고 있다. 이들도 나름대로 역사적인 주장과 신학적인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침례교인으로서 역사적인 전통보다. 그리고 신학적인 해석보다 성경적인 것을 먼저 추구해 나가야 한다. 유아세례를 주장하는 각 종파의 역사적인 주장과 유아나 영아들에 대한 침례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역사적으로는 어떠한 문제들이 있으며 어떻게 그 문제들을 해결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침레교인들은 유아세례를 주지 않는 것으로 다들 알고 있다. 그래서 어떤 교파들은 침례교는 어린 영혼들을 너무나 가볍게 여기고 있다는 말을 하기도 한다. 침례교인들이 어린 유아들에게 침례를 주지 않는 이유는 무었일까? 그리고 다른 교파에서 어린 유아들에게 세례를 주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었일까? 그리고 그 신학적 바탕에는 무었이 있는지를 알아보기로 한다.
3.연구 방법
침례교인과 유아세례를 연구함에 있어서 침례의 본질적인 규명을 먼저 하고, 다음으로 유아세례를 주는 것과 그 이유의 근거들을 말하고 다음으로 침례교적인 관점에서의 입장을 말하고 다음으로 우리가 나아가야할 바를 말하고자 한다.
II. 침례의 발전사
1. 침례란
1) 의미
은퇴 교수이신 침례신학 대학교의 고재봉 교수는 “신약성경의 침례와 한국침례교회”라는 논문에서 침례의 정의를 “예수님의 명령에 따라 믿음을 고백하고 구원받은 자가 집례자에 의하여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물속에 잠기고 올라 옴으로 그리스도의 죽음과 장사의 부활에 연합하는 것을 상징하는 예배의식이다.”라고 정의한다.
2) 언어상의 의미
침례주다라는 βαπτιζω는 신약에서 의식적 의미로만 사용된다. 명사인 βαπτισμα는 신약 이전의 문서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신약의 저자들은 희랍의 신비종교나 유대인의 정결의식과는 다르게 교회의침례를 구별하기 위하여 특별한 용어로 사용한 것이다. Βαπτζειν은 물에 잠기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요한 칼빈은 이 말은 물에 잠기는 것을 뜻하고 초대교회에서 물에 잠기는 침례의식을 가졌던 것은 확실하다고 하였다. 바르트는 희랍어 Βαπτζειν은 한사람이나 혹은 한 문체가 완전히 물 속에 잠긴 후에 다시 나오는 과정을 진술하는 말이라고 하였다.
2. 신약시대의 침례
1). 침례요한의 침례
침례는 기독교 이전에도 있었다. 성서에 기록된 침례의 선구자는 단연 “침례요한”을 들 수 있다. 요한의 침례의 기원에 대해서 Walker의 교회사에서는 레위인의 몸을 씻는 습관에서 끌어온 것이라는 추론을 하고 있다.침례의 기원을 침례요한의 침례로 보느냐 또는 초대교회인 예루살렘 교회로부터인가는 침례의 의미 여하에 따라 결정된다. 오늘날 우리의 침례와 예수께서 받으신 침례의 의미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우리는 알수 있다. 그것은 침례 요한의 선포인 “회개하라 척국이 가까웠느니라(마4:17)”는 예수님의 첫 선포와 동일함을 통하여 우리는 요한이 에수님의 선구자로서의 사역을 하였음을 알게 된다. 이 침례요한의 침례는 회심의 침례이며, 죄로부터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하나님께 순종하며 사는 신앙적이며, 윤리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요한의 침례는 삼위 하나님께서 인정하신 것이고 허락하신 것이다. 그리고 요한의 침례를 받음으로 부터 예수님의 사역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예수님의 침례
예수님의 침례받음의 의의는 침례요한에게 침례를 받음으로 의의를 성취하는 것(마3:15)의 시작이었다. 그리고 예수님 자신이 침례를 받으심으로 죄인과의 동등한 합일에까지 자기를 비어 겸비한 희생 제물로 십자가의 고난의 종으로 죽음과 장사와 부활(눅12:50)을 예징하신 것이다. 또한 성도들이 받는 침례의
I. 서론
1. 연구의 배경
2. 목적 진술
3. 연구 방법
II. 침례의 발전사
1. 침례란
1) 의미
2) 언어상의 의미
2. 신약시대의 침례
1) 침례요한의 침례
2) 예수님의 침례
3) 초대교회의 침례
III. 유아세례
1. 유아세례의 발전사
2. 원죄론
3. 현대의 유아세례
IV. 침례교인의 유아세례에 대한 입장
1. 유아세례에 대한 비판
2. 유아세례의 미치는 영향
3. 침례교인의 입장
V. 침례교인의 나아가야할 방향
1. 어린아이를 위한 헌신과 축복을 기원하는 예배
2. 신앙적 유산의 상속
3. 회심,구원, 그리고 교회회원으로서의 자격
참고도서 목혹
I.서론
1.연구배경
침례교인과 유아세례에 관한 관심은 1학기에 클리포드 잉글이 엮은 “어린이와 회심”을 읽으면서 시작 되었다.『어린이와 회심』은 어린이에게 있어서의 구원의 문제를 다루고 있고, 여러 가지 입장들과 그것들에 대한 침례교적 관점에 대해서 세미나 한 것을 클리포드 잉글이 엮어 놓은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과연 어린이의 구원에 대해서 신학적으로 어떠한 관점들이 있으며 어떠한 모습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고 싶었고, 그리고 어린이의 구원의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목적진술
대부분의 장로교 입장에서는 유아세례에 대한 찬성 주장을 하고 있다. 이들도 나름대로 역사적인 주장과 신학적인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침례교인으로서 역사적인 전통보다. 그리고 신학적인 해석보다 성경적인 것을 먼저 추구해 나가야 한다. 유아세례를 주장하는 각 종파의 역사적인 주장과 유아나 영아들에 대한 침례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역사적으로는 어떠한 문제들이 있으며 어떻게 그 문제들을 해결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침레교인들은 유아세례를 주지 않는 것으로 다들 알고 있다. 그래서 어떤 교파들은 침례교는 어린 영혼들을 너무나 가볍게 여기고 있다는 말을 하기도 한다. 침례교인들이 어린 유아들에게 침례를 주지 않는 이유는 무었일까? 그리고 다른 교파에서 어린 유아들에게 세례를 주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었일까? 그리고 그 신학적 바탕에는 무었이 있는지를 알아보기로 한다.
3.연구 방법
침례교인과 유아세례를 연구함에 있어서 침례의 본질적인 규명을 먼저 하고, 다음으로 유아세례를 주는 것과 그 이유의 근거들을 말하고 다음으로 침례교적인 관점에서의 입장을 말하고 다음으로 우리가 나아가야할 바를 말하고자 한다.
II. 침례의 발전사
1. 침례란
1) 의미
은퇴 교수이신 침례신학 대학교의 고재봉 교수는 “신약성경의 침례와 한국침례교회”라는 논문에서 침례의 정의를 “예수님의 명령에 따라 믿음을 고백하고 구원받은 자가 집례자에 의하여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물속에 잠기고 올라 옴으로 그리스도의 죽음과 장사의 부활에 연합하는 것을 상징하는 예배의식이다.”라고 정의한다.
2) 언어상의 의미
침례주다라는 βαπτιζω는 신약에서 의식적 의미로만 사용된다. 명사인 βαπτισμα는 신약 이전의 문서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신약의 저자들은 희랍의 신비종교나 유대인의 정결의식과는 다르게 교회의침례를 구별하기 위하여 특별한 용어로 사용한 것이다. Βαπτζειν은 물에 잠기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요한 칼빈은 이 말은 물에 잠기는 것을 뜻하고 초대교회에서 물에 잠기는 침례의식을 가졌던 것은 확실하다고 하였다. 바르트는 희랍어 Βαπτζειν은 한사람이나 혹은 한 문체가 완전히 물 속에 잠긴 후에 다시 나오는 과정을 진술하는 말이라고 하였다.
2. 신약시대의 침례
1). 침례요한의 침례
침례는 기독교 이전에도 있었다. 성서에 기록된 침례의 선구자는 단연 “침례요한”을 들 수 있다. 요한의 침례의 기원에 대해서 Walker의 교회사에서는 레위인의 몸을 씻는 습관에서 끌어온 것이라는 추론을 하고 있다.침례의 기원을 침례요한의 침례로 보느냐 또는 초대교회인 예루살렘 교회로부터인가는 침례의 의미 여하에 따라 결정된다. 오늘날 우리의 침례와 예수께서 받으신 침례의 의미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우리는 알수 있다. 그것은 침례 요한의 선포인 “회개하라 척국이 가까웠느니라(마4:17)”는 예수님의 첫 선포와 동일함을 통하여 우리는 요한이 에수님의 선구자로서의 사역을 하였음을 알게 된다. 이 침례요한의 침례는 회심의 침례이며, 죄로부터 하나님께로 돌아와서 하나님께 순종하며 사는 신앙적이며, 윤리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요한의 침례는 삼위 하나님께서 인정하신 것이고 허락하신 것이다. 그리고 요한의 침례를 받음으로 부터 예수님의 사역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예수님의 침례
예수님의 침례받음의 의의는 침례요한에게 침례를 받음으로 의의를 성취하는 것(마3:15)의 시작이었다. 그리고 예수님 자신이 침례를 받으심으로 죄인과의 동등한 합일에까지 자기를 비어 겸비한 희생 제물로 십자가의 고난의 종으로 죽음과 장사와 부활(눅12:50)을 예징하신 것이다. 또한 성도들이 받는 침례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