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풀무원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중국 현지 시장 환경 분석
 1. 중국의 정치적 환경
 2. 외국인 투자정책 및 제도
  2-1. 외국인투자 산업정책
  2-2. 외국인투자 우대제도
 3. 중국의 경제적 환경
  3-1. 주요 경제지표
  3-2. 중국의 대외개방
  3-3. 2009년 하반기 중국경제전망
 4. 중국 시장규모와 소득수준
  4-1. 중국 시장규모
  4-2. 새롭게 주목해야 할 中國소비시장
  4-3. 중국인의 소득수준
 5.중국인들의 소비성향
  5-1. 중국의 전통적인 소비자 성향
  5-2. 중국의 전통문화와 그에 따른 소비 형태의 특성
  5-3. 중국의 최근 소비자 성향
  5-4. 중국의 한국 식품 구매 성향
 6. 중국 시장의 유통망
  6-1.중국 유통시장의 특성
  6-2.중국 유통업체의 현황
  6-3. 중국 내 백화점 및 대형 마트 현황
  6-4. 중국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6-5. 시사점
II. 해외 진출 방법 선정하기
 1. 해외 진출 투자 형태
  1-1. 수출
  1-2. 라이센싱
  1-3. 프랜차이징
  1-4. 계약생산(주로 OEM형태)
  1-5. 합작투자
  1-6. 완전소유 자회사(해외직접투자)
 2. 중국으로 진출하기 적합한 투자방식 선정하기
  2-1. 위의 투자 방식들이 풀무원의 중국 진출에 부적합한 이유
  2-2. 합자, 합작, 독자 투자 방식 비교
 3. 한국 식품 기업의 합자 진출 방식의 사례
  3-1. 오리온(초코파이)의 사례
  3-2. CJ(두부 및 조미료류)의 사례
  3-3. 풀무원(두부)의 사례(진출 계획)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국시장은 계획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판매자 중심에서 구매자 중심으로의 전환기에 놓여 있어, 빠른 변화와 그에 따른 불안전성도 함께 가지고 있다. 특히 광활한 국토와 중국의 인구 중심점 및 산업구조별 중심점의 이동은 중국 지역별 개발 수준에 큰 차이를 보이게 한다.
첫째, 중국의 인구는 전반적으로 동부연해지역으로 집중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동부연해지역을 중심으로 경제특구 및 경제개방도시의 발전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타원형 표준편차에서 북경, 천진, 상해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인구의 집중 역시 가속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중국의 제 2차 산업과 제 3차 산업의 중심이 중국 남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특히 제 2차 산업의 경우에는 점점 더 중국의 동부연해지역으로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제 3차 산업은 미약하나마 중국의 중서부지역으로 중심점이 이동하고 있다.
<중국8대종합경제구역>
3-2. 중국의 대외개방
(1) 대외개방 골조
중화인민공화국의 설립 이전에 중국은 극도로 빈곤했었으나, 계획적으로 대규모 건설을 실시한지 50여 년이 지난 지금은 큰 발전 잠재력을 가진 경제대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1980년부터 중국은 광둥성의 선전, 주하이, 산토우, 푸젠성의 샤먼, 하이난성에 5개의 경제특별구를 설치했고, 1984년에는 다렌, 친황다오, 텐진, 옌타이, 칭다우, 렌윈강, 난통, 상하이, 닝뽀, 웬저우, 푸저우, 광조우, 잔장, 뻬이허 등 14개의 연해 도시를 개방했다. 1985년 이후에는 장강델타, 주강델타, 빈난(푸젠성 남부)델타, 산둥반도, 랴오둥반도, 허뻬이성, 광시좡족자치구를 경제 개방구로 지정해 연해 경제개방벨트지대를 형성하고, 1990년에는 상하이 푸동신구의 개발·개방을 결정했으며, 1992년 이후에도 여러 도시와 내륙부의 모든 성도, 자치구가 개방되었다. 또, 일부의 대·중 도시에 15개의 보세구, 47개의 국가급 경제기술개발구와 53개의 하이테크 산업개발구를 설치했다. 이렇게 해서 중국에는 연해지구와, 하천연안, 국경주변, 내륙부가 서로 결합해 전방위 대외 개방의 골조를 형성했다. 이들 대외개방지구에는 특별우대정책이 적용되어 수출 지향형 경제의 발전과 수출에 의한 외화 획득, 선진 기술의 도입의 창구 역할이 이루어 지고 있다.
(2) 관세인하
최근 몇 년간, 중국은 세계경제의 흐름에 따라 관세 인하를 위해 노력해 왔다. 1996년 4월 1일, 중국정부는 4971항목의 수입세율 인하를 발표해 세율의 평균 수준을 35%에서 23%로 인하했하였고, 1997년 10월 1일부터는 4874항목에 대해 관세율을 평균 수준 23%에서 17%로 감소시켰으며, 2001년 1월 1일부터는 15.3%로 내렸다. 관세 인하는 중국 지도자가 1996년 필리핀에서 열린 제4회 APEC수뇌 비공식회합에서 2000년까지 관세의 전반적인 수준을 15% 전후로 내릴 것 이라고 밝힌 공약으로, 중국이 개방형 경제를 실행하고 세계 각국과 각 지역과의 경제 무역 협력을 강화해 세계 경제의 발전을 촉진시키겠다는 결의를 나타낸 것이며, WTO에 정식 가맹한 후, 중국 정부는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절차를 따라 지속적으로 관세율을 인하했다.
(3) 서부대개발
중국의 서부개발은 2000년에 막을 열어서, 신규 착공된 10대 프로젝트, 작업에 착수한 5대 중점 프로젝트, 건설을 서두르고 있는 78개의 중·대 프로젝트 등으로 서부지구는 투자열기가 넘치고 있는 상황이다. 통계에 의하면 2000년, 서부지구에 대한 기본건설 투자는 동부지구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2001년 이후 중국은 자금 투입과 투자환경의 정비, 국내외의 개방, 과학·교육의 발전 및 인재 도입 등 서부지구에 특혜정책을 실시하고, 동시에 12개의 새로운 중점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중국 서부는 간쑤, 귀저우, 닝샤, 칭하이, 샤시, 쓰촨, 티벳, 신장, 운난, 충칭 등 10개의 성·자치구·직할시가 있으며, 전국 면적의 2/3를 차지하고 있고 인구는 전체의 22.8%를 차지한고 있다. 서부지구는 광물자원이 풍부하고 에너지(수력발전자원 포함), 관광, 토지 자원도 갖추고 있다. 창강과 황허 하류 동부에는 14000km에 이르는 해안선이, 상류 서부지구에는 여러 나라와 인접한 3500km의 국경선이 있어 서부지구는 대외개방에 둘째가는 골든·벨트 지대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중국정부는 서부개발계획(서부 10개의 성·자치구·직할시 외에 내몽고자치구와 광시장족자치구도 포함)에 서부지구의 투자를 장려하는 일련의 특혜정책을 제정하였다. 또한, 서부의 성·자치구·직할시는 연해지구의 성·자치구·직할시와 같은 권한을 주어 3000만 달러 이하의 외자프로젝트를 독자적으로 인가할 수 있게 하였다.
(4) 외자이용
중국은 2002년부터 시작하여 건수와 액수기준 모두 우리나라의 최대 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하였다. 1990년대 중반이후 본격화된 우리기업의 대중국 투자는 2003년 5월 현재 (누계) 신고기준 9,517건, 118.04억 달러, 실행기준 7,885건, 70.45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대중 투자는 한·중 수교후 폭발적으로 확대되면서(2003.5월말 현재 총 해외투자 건수의 55.9% 차지) 대중 원부자재 수출도 증가하였고 건당 평균 투자금액은 \'92년 말까지 83만 달러에서 \'03년 5월말 현재 신고기준으로 132만 달러로 늘어났다. 업종 및 투자지역으로는 소규모의 경공업부문 제조업을 중심으로 산동성, 상하이, 광동성, 동북 3성에 집중되고 있다. 1992년에는 산둥성과 동북 3성(랴오닝, 지린, 헤이롱장) 투자가 전체 대중 투자금액의 58%를 차지했으나 2003년 5월말 현재 37.8%로 낮아졌고, 동 기간 신고건수 기준으로는 69%에서 51.8%로 감소하였다. 1992년부터 2003년 5월말까지 華東(상하이, 장쑤, 저쟝)지역 및 광둥성 투자금액의 비율은 14.1%에서 38.8%로 높아졌고, 제조업 투자의 비중이 건수 기준으로 \'92년 93.4%에서 \'03.5월 현재 83.8%로 떨어지면서 투자 업종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부동산.서비스업, 도소매, 숙박요식업 등 비중 확대 추세이다. 중국정부아졌고,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3.04.08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8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