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도 메독 와인[제출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르도 메독 와인[제출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보르도 메독 와인 역사
2. 보르도 메독 와인의 개요
지리
토양
기후
3. 보르도 메독 지역의 포도품종
백포도
적포도
4. 보르도 품질 분류 시스템
5. 메독 지역 산지
쌩떼스떼프
뽀아악
쌩줄리엥
마르고
리스트락 메독
물리스 엉 메독
6. 보르도 메독 지역의 와이너리
7. 메독 지역 주요 와인

본문내용

입한 경우 용량 앞에 사용한다.
13. 프랑스 국가 외에 유통할 때 “Produit de France” 또는 “Produce of France”를 표시해야 한다. 한 와인 생산자가 네고씨앙 회사에서 병입 한 경우, 허가서류에 명시된 조건하에 소유자 명과 주소를 기입할 수 있다.
14. 포장에 사용된 병은 재활용할 수 있다는 초록색 로고를 넣을 수 있다.
15. 알코올 도수는 필수적이다.
16. 보르도 와인인 경우 2000년도 빈티지부터 모든 와인에 주 라벨 또는 병목 라벨에 보르도 포도주 보르도 포도주 조합 연합회에서(CIVB)에서 제안한 새로운 보르도 와인 로고를 넣어야 한다.
그 외 임의적 표시로는 크뤼의 분류인 크뤼 클라쎄(Cru Classe),크뤼 부르주와(Cru Bourgeois),크뤼 아르띠쟝(Cru Artisan)과 품평회 메달 수상, 포도 품종 등이 있다.
[그림5.보르도 AOC 와인 라벨 표기] 한관규, 보르도 와인, 그랑뱅코리아, 2002년, p.126.
5. 메독 지역 산지
*오 메독(HAUT-MEDOC)
메독 지역을 크게 바메독(Bas-Medoc)과 오메독(Haut-Medoc)두 지역으로 나뉘는데 이 경계는 오래 전부터 전해 오는 지역의 분류로서 하나는 지롱드강 상류 지역을 “위”의 뜻을 가진 오(Haut)로 나누고, 다른 하나는 하류 “아래”의 바(Bar)로 나타내고 있다. 바메독 지역은 단어에서 오는 낮은 혹은 아래의 어감으로 메독 AOC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 두지역의 행정상 분류는 1935년 이었지만 1815년에 이미 샤르트롱(Chartrons)의 한 중개인이 오메독의 고급 적포도주로 허가를 받으면서 언급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 오메독이 지역 AOC로서 인정을 받게 된 것은 18세기에 시작한 품질 향상 노력의 결과이기도 했다. 오메독 지역은 북에서 남지 약 60km 정도이며 북쪽 바메독지역의 쌩쒜랭 드 꺄두르느(Saint-Seurin de Cadourne)부터 남쪽 브랑끄포르(Blanquefort) 공업도시에 까지 굉장히 넓게 펼쳐져 있다.
1)쌩떼스떼프(St-Estephe)
오 메독(Haut-Medot)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원만한 경사를 이룬 곳으로 자갈이 많아 배수가 뛰어나며, 남성적이며 강렬한 와인을 생산하는 곳이다. 이곳의 와인은 타닌 성분이 풍부한 강하고 투박한 와인이 특징이지만, 천천히 숙성되면 부드러워진다. 아래에 위치한 뽀이악(Pauilac),쌩줄리앙(Saint-Julien)보다 더 타닌이 많고 강한 와인이 생산된다. 그러나 과거의 거칠고 개성있는 와인 스타일에서 부드러운 품종의 비율을 높이며 양조과정에서
[그림6.쌩떼스테프 지도] 타닌보다는 과일 향을 높임으로서 떼루와의 맛이 사라지고 있다. 포도품종은 까베르네 쏘비뇽을 주품종으로 까베르네 프랑과 메를로를 브랜딩한다. 대표적 와인으로 샤또 몽호즈(chateau Monrose), 샤또 꼬스 데스투흐넬(Chateau Cos d\' Estournel)등이 있다.
[그림7.샤또 꼬스 데스뚜르넬] [그림8.샤또 라롱 로쉐] [그림9.샤또 깔롱 쎄귀르]
2)뽀이악(Pauilac)
18세기 중반에 조성된 포도재배지역으로 풍부하고 진하며 강인한 타닌이 조화로운 와인을 생산하는 곳이다. 토양은 굵은 자갈과 모래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자갈은 낮의 태양을 반사하며 배수를 도와 포도성장에 도움을 준다. 샤또 라피트 로칠드는 하층토는 점토질과 석회암(limestone)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상층토는 자갈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토양은 까배르네 쑈비뇽 재배에 좋은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 뽀이악은 블랙커런트향과 서양 삼나무향이 나며, 맛이 오래 유지되는 특급 와인생산지이다. 까베르네 쑈비뇽을 주품종으로 메를로가 블렌딩되며, 카베르네 프랑과 쁘띠 베르도 품종도 적게 섞기도 한다. 메독 지역의 1등급 와인 5개 중 3개의 명성있는 샤또인 샤또 라피트 로칠드(Chateau Lafite-Rothschild)등 최고금 와인이 생산되는 곳이다. 그 외에 2등급 샤또인 샤또 롱그빌 오 바룽 드 삐숑 롱그빌(Chateau Longuevill au Baron de Pichon- [그림10.뽀이악 지도] Longueville), 샤또 삐숑 롱그빌 꽁떼스 드 랄랑드(Chateau Pichon-Longueville Comtesse de lalande), 그리고 5등급이지만 그 이상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샤또 린치 바쥐(Chateau Lynch-Bages)가 있다.
[그림11.샤또 라뚜르] [그림12.샤또 라피뜨 로칠드] [그림13.샤또 린슈 바즈]
3)쌩줄리앙(Sailt-Julien)
작은 자갈로 이루어진 토양으로 배수가 잘되는 경사지를 이루고 있고, 힘있고 맛과향이 풍부하며 조화로운 와인을 생산한다. 삼나무향이 나며 우아하고 깨끗한 와인이 쌩줄리앙 지역의 특성이다. 뽀이악과 마르고 지구의 중간에 위치하며, 주품종으로는 까베르네 쏘비뇽의 보조품종으로 메를로와 까베르네 프랑이 사용된다. 1등급 포도원은 없지만 샤또 레오빌 [그림14.쌩줄리엥 지도] 라스까스(Leovile-Las Cases), 샤또 그뤼오 라로즈(Chateau Gruaud-Larose), 샤또 뒤크뤼 보까이유(Chateau Ducru-Beaucaillou)등 5개의 2등급 포도원이 있다. 면적은 다른 마을단위 지구보다 좁은 지역이나 2등급부터 4등급까지 11개 샤또가 있는 알찬 지역이다. 존 딸보(John Talbot)라는 영국인이름에서 유래하여 우리에게 친숙한 이름인 4등급 와인 샤또 딸보(Chateau Talbot)가 위치하고, 쌩줄리앙의 부르더움과 좋은 과일향이 특징인 샤또 베이슈벨(Chateau Beychevelle)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림15.샤또 그뤼오 라오즈] [그림16.샤또 뒤크뤼 보까이유] [그림17.샤또 라그렁즈]
4)마르고(Margaux)
23개의 가장 많은 그랑 크뤼(Grand Cru)급 와인을 가지고 있는 마을단위지구로 부드럽고 강하며 향이 복잡하고 우아한 와인이 생산된다. 메독 지역의 남쪽에 위치하며, 석회질 및 점토토양이 섞인 자갈층 위에 규산질 자갈토양 언덕에 포도밭이 있어 자연배수가 잘 되는 좋은
  • 가격3,3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3.04.15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96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