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제의 식민지 지배
1)일제의 식민 지배정책
①1910년대의 헌병 경찰 통치
②1920년대의 민족 분열통치
③1930년대 문화말살통치
2)일제의 경제수탈
①1910년대의 토지수탈
②1920년대의 식량수탈
③1930년대의 인적․물적 수탈
2. 민족의 독립운동
①3․1운동
②6․10만세운동 광주항일운동
③대한민국 임시정부
④대한광복군
⑤애국계몽운동
1)일제의 식민 지배정책
①1910년대의 헌병 경찰 통치
②1920년대의 민족 분열통치
③1930년대 문화말살통치
2)일제의 경제수탈
①1910년대의 토지수탈
②1920년대의 식량수탈
③1930년대의 인적․물적 수탈
2. 민족의 독립운동
①3․1운동
②6․10만세운동 광주항일운동
③대한민국 임시정부
④대한광복군
⑤애국계몽운동
본문내용
한 광주일보에 몰려들어가서 항의할 정도로 그들의 반일감정은 폭발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광주고보의 조선인 학생이 광주중학교의 일본인 학생들에게 테러당하는 일이 벌어지면서 폭력사태까지 발생하였다. 졸업생인 장재성의 설득이 아니었다면 한일 학생들간의 충돌은 더 심하게 번졌을 것이다. 한편 장재성등은 일제에 대항할 자세한 행동방향을 제시한다.
1. 우리의 투쟁 대상은 광주중학생이 아니라 일본 제국주의이니 투쟁 방향을 일제로 돌릴 것.
2. 광주중학생에 대한 적개심과 투쟁을 일제에 대한 증오와 독립투쟁으로 바꿀 것.
3. 광주중학생과 대치 중인 광주고보생을 해산시키지 말고 광주고보로 집합시켜 적개심에 불타는 학생들을 식민지 강압정책 반대 시위운동으로 돌릴 것.
4. 장재성이 시위운동을 직접 지도할 것.
5. 우리는 앞으로 다른 동지들과 연락하여 다음 투쟁을 준비하고 계획할 것.
그리하여 장재성의 주도로 학생들은 광주농고 학생들과 함께 광주시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용감히 적(일제)을 물리치자는 내용의 행진가를 부르는 가두시위를 하였다. 일제는 항일시위에 가담한 70여 명의 조선인 학생중 60여 명을 구속, 검사국으로 송치하는 탄압을 하였고 심지어는 개인의원인 태양의원에서 치료받던 학생들을 도립병원장이 치료할 가치도 없다면서 비하하는 망언을 하여 공분을 샀다. \'동아일보\', \'조선일보\'등에서도 일제의 학생운동 탄압과 차별을 비판하는 기사를 보도할 정도였다.
2차 광주학생운동
장재성은 광주학생들을 설득하는 유인물을 작성했으며,인쇄를 맡은 오쾌일에 의해서 등사판을 이용하여 박기석의 집에서 약 1,000장을 인쇄하였다. 그리고 1929년 11월 12일 오전 8시 경 오쾌일은 광주고보와 광주농고의 학생들을 통해서 유인물을 배포한다. 당시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의 여학생들도 교정에서 시위에 가담하였으며, 광주고보, 광주농고, 광주여자고보 학생들은 동맹휴학으로 일제에 대항하였다. 일제는 250여명에 가까운 학생들을 검거했으며, 사회운동단체 간부들도 검거당했다. 학교측도 무기정학, 퇴학으로 광주학생운동 가담자들을 탄압했다. 당시 일제는 언론통제를 통해 광주에서의 학생운동이 전국에 번져서 전국규모의 항일운동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으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어느 여학교에서는 학생들을 집에 못가게 한다는 헛소문이 돌게 해서 조선인들의 항일의식만 부채질할 뿐이었다.
③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3.1운동으로 더욱 체계적으로 조직적인 것을 만들어야 생각해서 그 취지로 생겨난 것이 임시정부입니다. 체계적으로 독립활동은 만들어 졌으나 여러개로 나누어진 임시정부는 힘이 없고 통합된 정부가 전 국민을 대표하고 강력한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러하여 상하이의 임시정부로 통합되었고 이 상하이는 서구 열강의 공사관이 설치되어 외교에 편리하였으며 일제의 영향이 미치지가 않아 여러 민족 지도자들이 모여 독립 투쟁을 논의하기에도 편한 곳 이였습니다. 이 임시정부는 민주주의와 공화정을 기본으로 하여 대통령제를 채택하였습니다. 그리고 몇차례의 임시정부 개헌을 하고 김구가 주석이 되어 광복이 될 때 까지 이 임시정부를 이끌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외교론과 투쟁론이 공존하지 못하였고 대립하였습니다. 임시정부는 ‘김규식’ 이라는 사람을 ‘파리 강화 회의’ [1차 세계대전의 전후복구를 위해 개최]에서 한국의 독립을 주장하였습니다. ‘민족자결주의’의 기대에 부흥하며 온듯하나 19c말부터 서구열강들은 ‘일본의 한국 지배’를 인정하였습니다. 그러하여 이 소리는 잘 안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민족자결주의는 승전국의 식민지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일본은 승전국 이였기에 이
1. 우리의 투쟁 대상은 광주중학생이 아니라 일본 제국주의이니 투쟁 방향을 일제로 돌릴 것.
2. 광주중학생에 대한 적개심과 투쟁을 일제에 대한 증오와 독립투쟁으로 바꿀 것.
3. 광주중학생과 대치 중인 광주고보생을 해산시키지 말고 광주고보로 집합시켜 적개심에 불타는 학생들을 식민지 강압정책 반대 시위운동으로 돌릴 것.
4. 장재성이 시위운동을 직접 지도할 것.
5. 우리는 앞으로 다른 동지들과 연락하여 다음 투쟁을 준비하고 계획할 것.
그리하여 장재성의 주도로 학생들은 광주농고 학생들과 함께 광주시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용감히 적(일제)을 물리치자는 내용의 행진가를 부르는 가두시위를 하였다. 일제는 항일시위에 가담한 70여 명의 조선인 학생중 60여 명을 구속, 검사국으로 송치하는 탄압을 하였고 심지어는 개인의원인 태양의원에서 치료받던 학생들을 도립병원장이 치료할 가치도 없다면서 비하하는 망언을 하여 공분을 샀다. \'동아일보\', \'조선일보\'등에서도 일제의 학생운동 탄압과 차별을 비판하는 기사를 보도할 정도였다.
2차 광주학생운동
장재성은 광주학생들을 설득하는 유인물을 작성했으며,인쇄를 맡은 오쾌일에 의해서 등사판을 이용하여 박기석의 집에서 약 1,000장을 인쇄하였다. 그리고 1929년 11월 12일 오전 8시 경 오쾌일은 광주고보와 광주농고의 학생들을 통해서 유인물을 배포한다. 당시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의 여학생들도 교정에서 시위에 가담하였으며, 광주고보, 광주농고, 광주여자고보 학생들은 동맹휴학으로 일제에 대항하였다. 일제는 250여명에 가까운 학생들을 검거했으며, 사회운동단체 간부들도 검거당했다. 학교측도 무기정학, 퇴학으로 광주학생운동 가담자들을 탄압했다. 당시 일제는 언론통제를 통해 광주에서의 학생운동이 전국에 번져서 전국규모의 항일운동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으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어느 여학교에서는 학생들을 집에 못가게 한다는 헛소문이 돌게 해서 조선인들의 항일의식만 부채질할 뿐이었다.
③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3.1운동으로 더욱 체계적으로 조직적인 것을 만들어야 생각해서 그 취지로 생겨난 것이 임시정부입니다. 체계적으로 독립활동은 만들어 졌으나 여러개로 나누어진 임시정부는 힘이 없고 통합된 정부가 전 국민을 대표하고 강력한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러하여 상하이의 임시정부로 통합되었고 이 상하이는 서구 열강의 공사관이 설치되어 외교에 편리하였으며 일제의 영향이 미치지가 않아 여러 민족 지도자들이 모여 독립 투쟁을 논의하기에도 편한 곳 이였습니다. 이 임시정부는 민주주의와 공화정을 기본으로 하여 대통령제를 채택하였습니다. 그리고 몇차례의 임시정부 개헌을 하고 김구가 주석이 되어 광복이 될 때 까지 이 임시정부를 이끌었습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외교론과 투쟁론이 공존하지 못하였고 대립하였습니다. 임시정부는 ‘김규식’ 이라는 사람을 ‘파리 강화 회의’ [1차 세계대전의 전후복구를 위해 개최]에서 한국의 독립을 주장하였습니다. ‘민족자결주의’의 기대에 부흥하며 온듯하나 19c말부터 서구열강들은 ‘일본의 한국 지배’를 인정하였습니다. 그러하여 이 소리는 잘 안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민족자결주의는 승전국의 식민지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일본은 승전국 이였기에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