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1)주관적 자료
(1)개인정보
(2)기본 욕구 사정
(3)현재 건강력 사정
(4)과거 건강력 사정
1)객관적 자료
(1)신체검진
(2)검사소견
(3)의학적 치료
2.Problem list
3.간호진단
4.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1)주관적 자료
(1)개인정보
(2)기본 욕구 사정
(3)현재 건강력 사정
(4)과거 건강력 사정
1)객관적 자료
(1)신체검진
(2)검사소견
(3)의학적 치료
2.Problem list
3.간호진단
4.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ea(호흡곤란)
8/17
-A calcified granuloma on posterior basal segment of RLL
(석회화된 육아종(염증성 결절)이 우폐 하엽 뒤쪽 바닥에 있다.)
-Subsegmental atelectasis of RML
(우폐 중엽에 소분절성 무기폐가 있음)
8/14
-no active pulmonary lesions on both lung( 양쪽 폐에 활동적인 병변은 없다)
PFT(폐기능 검사)
분류
단위
예상값
측정치
예상값과
비교한 %
정상치
FVC
(폐활량)
Liters
2.57
1.27
49%
예상값의
80%이상
FEV1
(1초 노력호기량)
Liters
1.80
1.10
61%
예상값의
80%이상
FEV1/FVC
%
75%
86%
50세이상:
예상값의 70%이상
50세미만:
예상값의 75%이상
FEF 25-75%
(노력 중간 호기 유속)
L/sec
1.84
1.25
68%
50세이상:
예상값의 70%이상
50세미만:
예상값의 75%이상
PEFR
(최고 호기유속)
L/sec
4.64
1.97
42%
결론:폐활량 감소로 보아 폐실질에 문제가 있고, 기관지천식으로 인한 1초 노력호기량이 과 최고호기유속이 감소되었다.
④Chest X-ray
8/15
-no newly developed parenchymal abdominalities on both lung
(최근 양쪽폐에 진행된 비정상적 실질이 없다)
(3)의학적 치료요법
내과적 치료
a.식이 요법 : 정상식
b.약물 요법
구분
약물명
용량
투여방법
주 작용
핵심 부작용
항생제
타조신
3vial /#3
N/S 100mg과 mix 하여 IV 투여
하기도감염 치료, 세균성 패혈증 치료제
알레르기반응
, 쇼크
항생제
사이톱신주 400mg
2BT / #2
IVS
호흡기감염증
치료제
건염, 건파열
과절손상
진해,거담제
브롬헥신
2cc
3ample / #3
IVS
객담배출곤란
완화
설사,상복부통증,면역계이상,아나필락시스쇼크,호흡곤란
진해,거담제
암브록솔
3ample / #3
IVS
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급.만성 호흡기 질환
소화불량,피부발진,미각변화,아나필락시스 쇼크
비경구
영양제제
스모프리드20% 250ml
1BT / #1
IV
영양공급
진해,거담제
테올란비서방캅셀
2C / #2
PO
호흡곤란
기도폐쇄성 장애
쇼크,발진,중추신경계 흥분,불안,두통,심계항진,단백뇨
진해,거담제
코푸시럽
60ml / #4
PO
기침 및 가래
위장관 자극,현기증
진해,거담제
벤토립흡입액
4ml / #4
천식, COPD
역설적기관지경련,불면,빈맥,심계항진,식욕부진
진해,거담제
아트로벤트
흡입액
4EA / #4
기관지천식, 기도폐쇄성 장애
빈맥,심계항진.피부발진.구갈,두통,진전
혈압강하제
스카드정
1T / #1
PO
고혈압
복통,오심,홍조,심계항진,현기증,두통,피로
지사제
스멕타현탁액
20ml
1EA / #1
PO
급,만성 설사
변비
특수 처치
Nasal canula(8/11~17)
2.문제목록 (Problem list)
기침, 가래, 설사, 객담, 호흡곤란
3.간호진단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질병과 관련된 설사
③야간 가족 부재와 관련된 외로움 위험성
4.간호 과정 적용
자료수집
주관적
-숨이차고 가래가 계속 나와요.
-가래는 계속 나오는데 잘 뱉어내기가 힘들어요.
객관적
-진한 객담이 지속적으로 나온다.
-호흡음에서 천명음이 들린다.
-V/S- T:37.2 , P:105 , R:22 , BP:188/105
-ABGA- pCO2:36 , pO2:67.4 , SaO2: 92.7%-Chest CT 상 RLL에 염증성 결절이 있다.
-PFT 결과 폐활량과, 1초 노력호기량이 일반인에 비해 낮다.
간호진단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의 SaO2 가 5일이내 95%이상으로 증가한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객담이 2주이내 옅어진다.
간호계획
①호흡음을 청진한다.
②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③O2 device를 시행한다.
④주기적인 ABGA를 시행한다.
⑤지속적으로 객담의 농도를 확인한다.
간호수행
①8/11~17일까지 Nasal canula를 사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②진해,거담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브롬헥신, 암브록솔, 테올란비서방캅센, 코푸시럽, 벤토린/아트로벤트 흡입액)
③매일 ABGA를 시행하여 SaO2 및 pO2 결과를 관찰하였다.
④호흡증진을 위해 침상머리를 올려주었다.
이론적
근거
-거담제는 객담을 줄여준다.
-반좌위,좌위는 호흡을 용이하게 해준다.
-Nasal canula는 Fio2를 올려주어 pO2 및 SaO2를 증가시킨다.
평가
-8월17일 nasan canula 없이 대상자의 SaO2가 96%이상으로 증가하였지만 대상자의 객담은 잠시 옅어졌지만 다시 진해졌다.
결론:SaO2 증가의 단기목표는 달성하였지만 아직도 진한 객담이 나오므로 주기적이 관찰이 필요하다.
1)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8/11~15
2)질병과 관련된 설사 8/11~17
자료수집
주관적
-3일째 계속 설사를 해요
-입이 바짝바작 말라요
객관적
-입술과 입안 점막이 건조함
-잦은 설사로 기운이 없음
-피부가 건조하고 탄력성이 없음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설사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이내 굳은 변을 본다고 말한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2주 이내 기운을 차린다.
간호계획
①지사세를 투여한다.
②영양 결핍을 방지하지 위해 영양제를 투여한다.
③체액 불균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액을 투여한다.
지속적으로 I & O를 관찰한다.
유분과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피한다.
밥대신 죽으로 식사를 바꾼다.
⑦지속적으로 탈수 증상을 확인한다.
간호수행
①지사제(스멕타 현탁액)을 1일 1팩 주는 것을 관찰 하였다.
②영양결핍 방지를 위해 스모프리드20% 250ml 1BT 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③체액 불균형 방지를 위해 N/S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
④지속적으로 탈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며 기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⑤식사가 죽으로 바뀐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론적
근거
-지사제는 설사를 완화한다.
-영양제와 수액은 영
8/17
-A calcified granuloma on posterior basal segment of RLL
(석회화된 육아종(염증성 결절)이 우폐 하엽 뒤쪽 바닥에 있다.)
-Subsegmental atelectasis of RML
(우폐 중엽에 소분절성 무기폐가 있음)
8/14
-no active pulmonary lesions on both lung( 양쪽 폐에 활동적인 병변은 없다)
PFT(폐기능 검사)
분류
단위
예상값
측정치
예상값과
비교한 %
정상치
FVC
(폐활량)
Liters
2.57
1.27
49%
예상값의
80%이상
FEV1
(1초 노력호기량)
Liters
1.80
1.10
61%
예상값의
80%이상
FEV1/FVC
%
75%
86%
50세이상:
예상값의 70%이상
50세미만:
예상값의 75%이상
FEF 25-75%
(노력 중간 호기 유속)
L/sec
1.84
1.25
68%
50세이상:
예상값의 70%이상
50세미만:
예상값의 75%이상
PEFR
(최고 호기유속)
L/sec
4.64
1.97
42%
결론:폐활량 감소로 보아 폐실질에 문제가 있고, 기관지천식으로 인한 1초 노력호기량이 과 최고호기유속이 감소되었다.
④Chest X-ray
8/15
-no newly developed parenchymal abdominalities on both lung
(최근 양쪽폐에 진행된 비정상적 실질이 없다)
(3)의학적 치료요법
내과적 치료
a.식이 요법 : 정상식
b.약물 요법
구분
약물명
용량
투여방법
주 작용
핵심 부작용
항생제
타조신
3vial /#3
N/S 100mg과 mix 하여 IV 투여
하기도감염 치료, 세균성 패혈증 치료제
알레르기반응
, 쇼크
항생제
사이톱신주 400mg
2BT / #2
IVS
호흡기감염증
치료제
건염, 건파열
과절손상
진해,거담제
브롬헥신
2cc
3ample / #3
IVS
객담배출곤란
완화
설사,상복부통증,면역계이상,아나필락시스쇼크,호흡곤란
진해,거담제
암브록솔
3ample / #3
IVS
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급.만성 호흡기 질환
소화불량,피부발진,미각변화,아나필락시스 쇼크
비경구
영양제제
스모프리드20% 250ml
1BT / #1
IV
영양공급
진해,거담제
테올란비서방캅셀
2C / #2
PO
호흡곤란
기도폐쇄성 장애
쇼크,발진,중추신경계 흥분,불안,두통,심계항진,단백뇨
진해,거담제
코푸시럽
60ml / #4
PO
기침 및 가래
위장관 자극,현기증
진해,거담제
벤토립흡입액
4ml / #4
천식, COPD
역설적기관지경련,불면,빈맥,심계항진,식욕부진
진해,거담제
아트로벤트
흡입액
4EA / #4
기관지천식, 기도폐쇄성 장애
빈맥,심계항진.피부발진.구갈,두통,진전
혈압강하제
스카드정
1T / #1
PO
고혈압
복통,오심,홍조,심계항진,현기증,두통,피로
지사제
스멕타현탁액
20ml
1EA / #1
PO
급,만성 설사
변비
특수 처치
Nasal canula(8/11~17)
2.문제목록 (Problem list)
기침, 가래, 설사, 객담, 호흡곤란
3.간호진단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질병과 관련된 설사
③야간 가족 부재와 관련된 외로움 위험성
4.간호 과정 적용
자료수집
주관적
-숨이차고 가래가 계속 나와요.
-가래는 계속 나오는데 잘 뱉어내기가 힘들어요.
객관적
-진한 객담이 지속적으로 나온다.
-호흡음에서 천명음이 들린다.
-V/S- T:37.2 , P:105 , R:22 , BP:188/105
-ABGA- pCO2:36 , pO2:67.4 , SaO2: 92.7%-Chest CT 상 RLL에 염증성 결절이 있다.
-PFT 결과 폐활량과, 1초 노력호기량이 일반인에 비해 낮다.
간호진단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의 SaO2 가 5일이내 95%이상으로 증가한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객담이 2주이내 옅어진다.
간호계획
①호흡음을 청진한다.
②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③O2 device를 시행한다.
④주기적인 ABGA를 시행한다.
⑤지속적으로 객담의 농도를 확인한다.
간호수행
①8/11~17일까지 Nasal canula를 사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②진해,거담제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브롬헥신, 암브록솔, 테올란비서방캅센, 코푸시럽, 벤토린/아트로벤트 흡입액)
③매일 ABGA를 시행하여 SaO2 및 pO2 결과를 관찰하였다.
④호흡증진을 위해 침상머리를 올려주었다.
이론적
근거
-거담제는 객담을 줄여준다.
-반좌위,좌위는 호흡을 용이하게 해준다.
-Nasal canula는 Fio2를 올려주어 pO2 및 SaO2를 증가시킨다.
평가
-8월17일 nasan canula 없이 대상자의 SaO2가 96%이상으로 증가하였지만 대상자의 객담은 잠시 옅어졌지만 다시 진해졌다.
결론:SaO2 증가의 단기목표는 달성하였지만 아직도 진한 객담이 나오므로 주기적이 관찰이 필요하다.
1)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8/11~15
2)질병과 관련된 설사 8/11~17
자료수집
주관적
-3일째 계속 설사를 해요
-입이 바짝바작 말라요
객관적
-입술과 입안 점막이 건조함
-잦은 설사로 기운이 없음
-피부가 건조하고 탄력성이 없음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설사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이내 굳은 변을 본다고 말한다.
장기목표
대상자의 2주 이내 기운을 차린다.
간호계획
①지사세를 투여한다.
②영양 결핍을 방지하지 위해 영양제를 투여한다.
③체액 불균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액을 투여한다.
지속적으로 I & O를 관찰한다.
유분과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피한다.
밥대신 죽으로 식사를 바꾼다.
⑦지속적으로 탈수 증상을 확인한다.
간호수행
①지사제(스멕타 현탁액)을 1일 1팩 주는 것을 관찰 하였다.
②영양결핍 방지를 위해 스모프리드20% 250ml 1BT 를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③체액 불균형 방지를 위해 N/S을 투여하는 것을 관찰 하였다.
④지속적으로 탈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며 기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⑤식사가 죽으로 바뀐 것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론적
근거
-지사제는 설사를 완화한다.
-영양제와 수액은 영
키워드
추천자료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결장암 케이스 트터디(case study)
급성신질환 (Acute Kidney Injury) case study
크룹 (Croup) case study
난소출혈 케이스 스터디 Ovarian Bleeding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담석증의 식사요법, 증상, 진단, 담석증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충수절제술(충수돌기절제술/appendectomy)과 관련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입...
PTE(pulmonary thromboembolism) 폐색전증 case study 간호과정
아동간호학case study-급성기관지염
A+_Diffuse large cell type lymphoma(non-hodgkins lymphoma) 비호지킨병 케이스 스터디, no...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