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구소개………………………………………………………………1
대구광역시 인구……………………………………………………2
대구광역시 행정구역도………………………………………………4
대구광역시 행정조직도………………………………………………5
대구광역시 직속기관………………………………………………5
대구광역시 사업소…………………………………………………5
대구광역시 역사……………………………………………………5
대구광역시 경제……………………………………………………6
푸른 대구 가꾸기 추진……………………………………………11
제1차 푸른대구가꾸기 사업(1996~2006, 11년) ………………11
제2차 푸른대구가꾸기 사업(2007~2011, 5년)…………………12
대구광역시 중구……………………………………………………18
구정방향……………………………………………………………18
중구연혁……………………………………………………………18
중구의 문화…………………………………………………………20
중구 중.장기 발전계획……………………………………………24
중구 여건 분석……………………………………………………26
중구 발전 방향……………………………………………………27
느낀점…………………………………………………………………28
대구광역시 인구……………………………………………………2
대구광역시 행정구역도………………………………………………4
대구광역시 행정조직도………………………………………………5
대구광역시 직속기관………………………………………………5
대구광역시 사업소…………………………………………………5
대구광역시 역사……………………………………………………5
대구광역시 경제……………………………………………………6
푸른 대구 가꾸기 추진……………………………………………11
제1차 푸른대구가꾸기 사업(1996~2006, 11년) ………………11
제2차 푸른대구가꾸기 사업(2007~2011, 5년)…………………12
대구광역시 중구……………………………………………………18
구정방향……………………………………………………………18
중구연혁……………………………………………………………18
중구의 문화…………………………………………………………20
중구 중.장기 발전계획……………………………………………24
중구 여건 분석……………………………………………………26
중구 발전 방향……………………………………………………27
느낀점…………………………………………………………………28
본문내용
중구 중.장기 발전계획
1 변화하는 여건
1) 무 한 경 쟁 의 시 대
다핵구조의 도시공간 형성으로 도심기능 약화
자치구별 경쟁 체제로 규모 작은 도심 자치구 상대적으로 불리
동대구로의 업무지구화로 도심 업무상업기능 저하
2) 도 심 재 생 트 렌 드
도심경제 활성화와 도시경쟁력 강화수단으로 도심재생 추진
도시마케팅을 위한 자산 형성과정으로서 재생의 중요성 증대
도시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도심 기능의 활성화 필요
2 대구시의 도심 구상
1) 노 후 환 경 의 정 비
정비예정구역 지정을 통한 노후 불량 지역 관리 및 개발
재정비촉진구역을 통한 광역적 정비 유도
환경정비를 통한 도심 공동화현상 완화 도모
2) 대 중 교 통 및 보 행 중 심 의 환 경 조 성
도시철도 1, 2, 3호선의 도심 경유, 양호한 버스 서비스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으로 도심 교통환경개선
보행중심의 도심활동으로 안전쾌적한 도심 조성 유도
3) 도 심 재 생 사 업 의 추 진
다양한 도심기능 확대 및 활성화
도심활성화 기폭제로서의 전략지 개발 도모
도심 주거지의 적극적 개선 및 정비
4) 도 심 재 생 기 본 구 상 (2009. 4)
도심 공동화 방지 및 경쟁력 강화를 통한 도심 기능 강화 및 이미지 제고 이를 위해 대구 도심재생 기본구상의 비전은 ‘개성·활력·매력의 도심 창조’를 지향함.
도심재생의 5대 목표
살기좋은 도심, 살아있는 도심
도심 저이용 토지 및 이전적지의 전략적 활용
쇼핑·업무 등 도심 중심기능의 강화
주거시설의 개선과 정비
다양하고 재미있는 도심
산재한 역사자산과 근대골목, 특화거리, 전통시장 등을 정비
다양한 문화콘텐츠 도입
문화와 지식의 도심
현대적 예술·공연전시 공간 조성
문화와 지식을 선도하는 지역 중심공간 위상 강화
쾌적한 도심, 걷고 싶은 도심
공원·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의 확칭과 연결녹지축 구축
보행과 대중교통 위주의 지속가능한 도심교통체계구축
보행중심 도심 가로환경의 정비
역사와 미래가 함께하는 도심
도심역사자산 정비로 도시의 역사성과 정체성 회복
다양한 역사자산을 복원, 교육문화관광 활용방안 모색
전략지 개발, 업무중심지구 조성 등으로 미래도시공간 확보
9대 도심전략사업
전략사업 1 : 대구근대역사벨트 조성 사업
전략사업 1-1 : ‘종로의 추억’ 종로 재생
전략사업 1-2 : 경상감영공원 역사테마공원화
전략사업 1-3 : 향촌동 전후 문학사 흔적 복원
전략사업 2 : 도심랜드마크적 복합용도개발사업
전략사업 2-1 : 시민운동장 부지 복합용도개발
전략사업 2-2 : 제일모직 부지 복합용도개발
전략사업 3 : 달성토성 복원 및 주변정비사업
전략사업 3-1 : 달성공원 역사테마공원화
전략사업 3-2 : 달서천 복원 및 천변 재개발
전략사업 4 : 도심내부도로 보행중심 재구성 사업
전략사업 4-1 : 도심내부 보행자 중심도로 설정
전략사업 4-2 : 거점 공영주차장 위주 도심 주차장 운영
전략사업 4-3 : 도심 순환버스 운행
전략사업 5 : 도심 전통시장 및 테마상가 활성화 사업
전략사업 5-1 : 서문시장·칠성시장 복합사회문화공간 조성
전략사업 5-2 : 교동시장·염매시장 테마형 시장 조성
전략사업 5-3 : 약전골목의 재창조
전략사업 6 : 도심 녹지축 구성 사업
전략사업 6-1 : 신천대로 수변공원 조성
전략사업 6-2 : 국채보상로 그린웨이 조성
전략사업 7 : 도심 활동거점 조성 사업
전략사업 7-1 : 공평주차장 부지 놀이중심 복합테마공간 개발
전략사업 7-2 : 2.28기념중앙공원 광장 조성
전략사업 7-3 : 지식테마 창조형 도서관 건립
전략사업 8 : 도심 문화축 조성 사업
전략사업 8-1 : 시민회관 지하도 문화공간화
전략사업 8-2 : 중앙로 일대 소극장 집적지 조성
전략사업 8-3 : 삼덕동 카페거리 활성화 지원
전략사업 8-4 : 夜한 거리 만들기 - 봉산문화거리 활성화
전략사업 9 : 도심형 주거단지 개발사업
전략사업 9-1 : 블록단위 협조형 공동주택 개발
전략사업 9-2 : 친환경 도심형 주거단지 조성
중구 여건 분석
강점(Strength)
대구의 역사적 중심지로서의 위상과 이미지 보유
시청 등 주요행정 기관, 교육기관 등 입지
한방, 쇼핑, 패션주얼리 등 다양한 특화 구역과 백화점 및 전문상가 입지
간선도로 및 대중교통여건 양호, 도시전역에서 접근 용이
다수의 의료시설, 문화시설 입지
직업기술학원 등 성인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서비스 시설
약점(Weakness)
도심기능의 쇠퇴로 인한 활력 저하와 지속적 상주 인구의 감소
노후한 주거시설 및 열악한 주거환경
복잡한 토지소유 관계와 높은 지가로 인한 개발의 어려움.
도심 통과교통 집중에 따른 혼잡과 대기오염 유발
도심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계획의 부재
노후화되고 경쟁력 약한 공교육 환경
기회(Opportunity)
도심 중요성에 대한 인식 고조와 도심재창조에 대한 정책적 관심 증가
도심지 문화역사자산 등에 대한 가치 인식 증대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로 도심환경 정비 기회
위협(Threat)
혁신도시 개발 등 대규모 외곽지 개발으로 도심 이탈 촉진 우려
고유가금융위기 등에 따른 대구 도시경제의 전반적 침체
타도시 및 자치구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행·재정적으로 불리
중구 발전 방향
노후 환경 개선
주거시설 및 노후 환경의 정비와 보행환경, 주차 문제 등 교통체계의 개선, 생활 여건 제고를 위한 공원녹지 등 도시 어메니티 시설의 정비와 확충으로 쾌적한 환경의 제공
차별화된 도시 중심 이미지 구축
역사자산 정비로 대구경북 정체성의 중심 이미지 구축, 특화전문상가의 집중 육성을 통한 경쟁력의 확보, 전략지 개발 등을 통한 도심 랜드마크 형성을 통해 타 지역과 차별화된 도시 중심 이미지 구축
새로운 도심의 역할 모색
현재의 문화 기반에 다양한 콘텐츠의 확대 도입으로 대구 문화의 중심지로 발돋움함과 동시에 교육의료지식 기반 시설의 중심지 형성, 타지역으로 이전된 특화전문상가 중심의 상권 회복
출처 및 참고자료
대구광역시청 :http://www.daegu.go.kr
대구광역시 환경 녹지국
대구광역시 중구청 :http://www.jung.daegu.kr
통계청 :http://kostat.go.kr
1 변화하는 여건
1) 무 한 경 쟁 의 시 대
다핵구조의 도시공간 형성으로 도심기능 약화
자치구별 경쟁 체제로 규모 작은 도심 자치구 상대적으로 불리
동대구로의 업무지구화로 도심 업무상업기능 저하
2) 도 심 재 생 트 렌 드
도심경제 활성화와 도시경쟁력 강화수단으로 도심재생 추진
도시마케팅을 위한 자산 형성과정으로서 재생의 중요성 증대
도시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도심 기능의 활성화 필요
2 대구시의 도심 구상
1) 노 후 환 경 의 정 비
정비예정구역 지정을 통한 노후 불량 지역 관리 및 개발
재정비촉진구역을 통한 광역적 정비 유도
환경정비를 통한 도심 공동화현상 완화 도모
2) 대 중 교 통 및 보 행 중 심 의 환 경 조 성
도시철도 1, 2, 3호선의 도심 경유, 양호한 버스 서비스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으로 도심 교통환경개선
보행중심의 도심활동으로 안전쾌적한 도심 조성 유도
3) 도 심 재 생 사 업 의 추 진
다양한 도심기능 확대 및 활성화
도심활성화 기폭제로서의 전략지 개발 도모
도심 주거지의 적극적 개선 및 정비
4) 도 심 재 생 기 본 구 상 (2009. 4)
도심 공동화 방지 및 경쟁력 강화를 통한 도심 기능 강화 및 이미지 제고 이를 위해 대구 도심재생 기본구상의 비전은 ‘개성·활력·매력의 도심 창조’를 지향함.
도심재생의 5대 목표
살기좋은 도심, 살아있는 도심
도심 저이용 토지 및 이전적지의 전략적 활용
쇼핑·업무 등 도심 중심기능의 강화
주거시설의 개선과 정비
다양하고 재미있는 도심
산재한 역사자산과 근대골목, 특화거리, 전통시장 등을 정비
다양한 문화콘텐츠 도입
문화와 지식의 도심
현대적 예술·공연전시 공간 조성
문화와 지식을 선도하는 지역 중심공간 위상 강화
쾌적한 도심, 걷고 싶은 도심
공원·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의 확칭과 연결녹지축 구축
보행과 대중교통 위주의 지속가능한 도심교통체계구축
보행중심 도심 가로환경의 정비
역사와 미래가 함께하는 도심
도심역사자산 정비로 도시의 역사성과 정체성 회복
다양한 역사자산을 복원, 교육문화관광 활용방안 모색
전략지 개발, 업무중심지구 조성 등으로 미래도시공간 확보
9대 도심전략사업
전략사업 1 : 대구근대역사벨트 조성 사업
전략사업 1-1 : ‘종로의 추억’ 종로 재생
전략사업 1-2 : 경상감영공원 역사테마공원화
전략사업 1-3 : 향촌동 전후 문학사 흔적 복원
전략사업 2 : 도심랜드마크적 복합용도개발사업
전략사업 2-1 : 시민운동장 부지 복합용도개발
전략사업 2-2 : 제일모직 부지 복합용도개발
전략사업 3 : 달성토성 복원 및 주변정비사업
전략사업 3-1 : 달성공원 역사테마공원화
전략사업 3-2 : 달서천 복원 및 천변 재개발
전략사업 4 : 도심내부도로 보행중심 재구성 사업
전략사업 4-1 : 도심내부 보행자 중심도로 설정
전략사업 4-2 : 거점 공영주차장 위주 도심 주차장 운영
전략사업 4-3 : 도심 순환버스 운행
전략사업 5 : 도심 전통시장 및 테마상가 활성화 사업
전략사업 5-1 : 서문시장·칠성시장 복합사회문화공간 조성
전략사업 5-2 : 교동시장·염매시장 테마형 시장 조성
전략사업 5-3 : 약전골목의 재창조
전략사업 6 : 도심 녹지축 구성 사업
전략사업 6-1 : 신천대로 수변공원 조성
전략사업 6-2 : 국채보상로 그린웨이 조성
전략사업 7 : 도심 활동거점 조성 사업
전략사업 7-1 : 공평주차장 부지 놀이중심 복합테마공간 개발
전략사업 7-2 : 2.28기념중앙공원 광장 조성
전략사업 7-3 : 지식테마 창조형 도서관 건립
전략사업 8 : 도심 문화축 조성 사업
전략사업 8-1 : 시민회관 지하도 문화공간화
전략사업 8-2 : 중앙로 일대 소극장 집적지 조성
전략사업 8-3 : 삼덕동 카페거리 활성화 지원
전략사업 8-4 : 夜한 거리 만들기 - 봉산문화거리 활성화
전략사업 9 : 도심형 주거단지 개발사업
전략사업 9-1 : 블록단위 협조형 공동주택 개발
전략사업 9-2 : 친환경 도심형 주거단지 조성
중구 여건 분석
강점(Strength)
대구의 역사적 중심지로서의 위상과 이미지 보유
시청 등 주요행정 기관, 교육기관 등 입지
한방, 쇼핑, 패션주얼리 등 다양한 특화 구역과 백화점 및 전문상가 입지
간선도로 및 대중교통여건 양호, 도시전역에서 접근 용이
다수의 의료시설, 문화시설 입지
직업기술학원 등 성인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서비스 시설
약점(Weakness)
도심기능의 쇠퇴로 인한 활력 저하와 지속적 상주 인구의 감소
노후한 주거시설 및 열악한 주거환경
복잡한 토지소유 관계와 높은 지가로 인한 개발의 어려움.
도심 통과교통 집중에 따른 혼잡과 대기오염 유발
도심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계획의 부재
노후화되고 경쟁력 약한 공교육 환경
기회(Opportunity)
도심 중요성에 대한 인식 고조와 도심재창조에 대한 정책적 관심 증가
도심지 문화역사자산 등에 대한 가치 인식 증대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로 도심환경 정비 기회
위협(Threat)
혁신도시 개발 등 대규모 외곽지 개발으로 도심 이탈 촉진 우려
고유가금융위기 등에 따른 대구 도시경제의 전반적 침체
타도시 및 자치구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행·재정적으로 불리
중구 발전 방향
노후 환경 개선
주거시설 및 노후 환경의 정비와 보행환경, 주차 문제 등 교통체계의 개선, 생활 여건 제고를 위한 공원녹지 등 도시 어메니티 시설의 정비와 확충으로 쾌적한 환경의 제공
차별화된 도시 중심 이미지 구축
역사자산 정비로 대구경북 정체성의 중심 이미지 구축, 특화전문상가의 집중 육성을 통한 경쟁력의 확보, 전략지 개발 등을 통한 도심 랜드마크 형성을 통해 타 지역과 차별화된 도시 중심 이미지 구축
새로운 도심의 역할 모색
현재의 문화 기반에 다양한 콘텐츠의 확대 도입으로 대구 문화의 중심지로 발돋움함과 동시에 교육의료지식 기반 시설의 중심지 형성, 타지역으로 이전된 특화전문상가 중심의 상권 회복
출처 및 참고자료
대구광역시청 :http://www.daegu.go.kr
대구광역시 환경 녹지국
대구광역시 중구청 :http://www.jung.daegu.kr
통계청 :http://kostat.g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