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M의 소개
(1). GM의 역사
(2). GM의 성장과정
(3). GM의 조직구조
2). GM 조직의 경영형태
(1). GM의 경영전략
(2). GM의 마케팅전략
(3). GM의 차별화된 경영전략
- GM의 기업문화
3). GM의 조직개혁
(1) 개혁을 통한 조직의 슬림화
(2) Shift from all type of car market to selected market
(3) 글로벌화
(4) 분사(SPIN-OFF)
(5) E-Business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
4). GM의 몰락
(1) GM의 파산
(2) GM의 현재 현황
5). 시사점 및 결론
(1). GM의 역사
(2). GM의 성장과정
(3). GM의 조직구조
2). GM 조직의 경영형태
(1). GM의 경영전략
(2). GM의 마케팅전략
(3). GM의 차별화된 경영전략
- GM의 기업문화
3). GM의 조직개혁
(1) 개혁을 통한 조직의 슬림화
(2) Shift from all type of car market to selected market
(3) 글로벌화
(4) 분사(SPIN-OFF)
(5) E-Business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
4). GM의 몰락
(1) GM의 파산
(2) GM의 현재 현황
5). 시사점 및 결론
본문내용
이 점점 증가하였다.
공급측면에서도 도요타는 빅3에 도전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였고 미국 자동차 빅3가 도요타 배우기에 나설 정도로 경쟁 우위가 바뀌었다.
ⅱ산업 규범의 변화
산업 규범은 해당 산업의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해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시켜 온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경쟁방식이라 정의할 수 있다. 자동차산업을 놓고 보면 20세기 초반 포드가, 1970년대 오일쇼크 이전에는 GM이 그리고 그 이후에는 도요타와 폭스바겐이 산업 규범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산업 규범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것이 GM의 몰락의 원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산업 규범의 변화>
GM형
(Push형 공급자 주도)
도요타 또는 폭스바겐형
(Pull형 소비자 주도)
주요
부문
제품개발
-공급자 주도(Product-out)
-시장 중시(Market-in)
생산
-전용 모델-전용공장
→설비 효율성 중시
-플랫폼/부품 공유
-다품종 유연 생산
-범용 설비/반자동화
→투자 최소화
-현장 경쟁력 제고 위한 개선 중시
마케팅
-밀어내기식 판매 체계
-고객 지향의 관계 마케팅 중시
노사관계
-거래적/대립적 관계
·수량적 유연성 확보
·보상 중시
-협력적/생산적 관계
·기능적 유연성 중시
·작업자의 개선 참여
부품업체
-단기적/거래 비용 관계
·가격 중심
-장기적/포괄적 파트너십 관계
·상호 경쟁력 제고
⑤ GM의 변화 대응 실패 사례
·도요타 배우기 실패 -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린(lean)생산방식을 도입해 새로운 산업 규범을 따라가려고 시도했지만 저유가로 인한 SUV/픽업 시장의 호황과 버블 붕괴에 따른 일본업체의 위기 직면으로 배우기 중단
·개발자 주도 제품 개발 - GM 개발자들은 자동차에 대해서는 자신들이 최고 전문가이기 때문에 자동차의 스타일링과 엔지니어링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를 좌우할 수 있다고 판단
·단기적/거래 비용 중심 부품업체 관계 - 비용절감 중심 관계가 지속. 원가, 품질 및 기술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장기적 협력 관계 구축에 실패
·밀어내기식 마케팅 - 판매 저조시 인센티브 확대. 렌터가 판매를 통한 밀어내기 등으로 중고차 가치와 소비자 신뢰가 하락하고, 이는 다시 판매 감소와 인센티브 확대로 연결됨으로써 악순환 구조가 형성됨
(2) GM의 현재 현황
GM은 2009년 사브와 허머·폰티악·새턴·오펠 등 수익성이 악화된 브랜드(배드 GM)를 매각하거나 폐기하고, 시보레, 캐딜락, 뷰익, GMC 등 수익성이 양호한 자산과 사업부문(굿 GM)을 축소 합병해 \'뉴 GM\'을 출범시키겠다고 계획했다.
이 후 미국과 캐나다 정부의 구제 금융을 받아 지난해 7월 10일 출범한 뉴 GM은 2010년 들어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5년 이후 5년 만에 흑자로 전환할 것이 유력하다. GM의 주요 브랜드인 시보레, 뷰익, GMC, 캐딜락의 올 들어 3월까지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대비 36% 늘었다.
재무구조도 건전해졌다. 정부에 지고 있던 채무액을 완전히 털어냈으며, 지난해 파산보호 신청 전까지 700억 달러에 달하던 부채도 채권자들의 탕감을 통해 대부분 줄여냈다. GM은 이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기업공개(IPO)를 통해 정부의 그늘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PO와 재상장을 통해 정부의 자금회수를 돕겠다는 목표다.
달라진 모습도 긍정적으로 여겨진다. 세계적인 차량 다운사이징(소형화) 동향을 외면하고 미국의 전통적인 소비성향에 치중하며 높은 배기량의 대형차를 주로 만들던 과거에 비해, 플러그인 전기차 \'볼트\'를 개발하고 한국 내 자회사인 GM대우를 앞세워 경소형차 개발역량을 키워나가고 있다. 30여년에 걸친 노사 갈등도 상생협력을 중시하며 변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직 GM 전체 지분의 70% 이상이 미국과 캐나다 정부 소유로 남아있다. 올 들어 자동차 판매량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는 렌트카 업체 등을 대상으로 한 법인 판매로, 수익성 자체는 그리 높지 않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수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GM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에 승부수를 던지고 있다. 내년 말까지 전기차 \'볼트\'를 포함, 총 25종의 신차와 연식변경모델을 투입하며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5). 시사점 및 결론
▶부활을 위한 GM의 노력
2010년 7월까지 주식시장 재상장을 목표로 삼은 뉴GM은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자사 브랜드 이미지 개선과 판매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GM에 대한 안 좋은 소비자들의 인식을 변화키는 것이 GM의 과거 영광 재현의 열쇠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과거 자동차 이미지 광고에 치중하던 전략을 수정하여 비교 광고를 통해서 GM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 주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렉서스 ES350이나 혼다 CR-V와 같은 경쟁차종과의 비교 광고를 통해서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 신임 회장인 에드워드 휘태커가 직접 출현하는 광고로 신뢰성을 획득하고자 하고 있다. 이 기법은 과거 크라이슬러 CEO인 리 아이아코카가 광고, 인터뷰 등을 통해서 소비자와 직접 대화함으로써 신뢰도를 회복했던 사례를 모방한 것이다. 또 변화된 프로모션 전략으로 판매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60일내 환불 보장’프로그램이 그 것인데 이 프로그램은 시보레, 뷰익, GMC, 캐딜락 브랜드 구매 고객에게 9월 중순부터 11월말까지 한시적으로 4천 마일이 넘지 않는 경우에 구매 후 60일 이내에 환불을 보장해주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는 다소 위험을 떠 앉더라도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감수해야 된다고 여기고 추진하고 있는 공격적인 전략이며 현재까지는 환불요구가 많지 않아서 재정에 큰 부담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GM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젊은층을 공략하기 위해서 버즈(Buzz : 입소문)마케팅을 실행하고 있으며 whatis230.com이라는 티저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웹사이트 주소가 적힌 T-셔츠와 모자를 나누어주며 길거리 홍보를 통해 버즈를 유발하고 있다.
▶ GM의 시사점
공급측면에서도 도요타는 빅3에 도전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였고 미국 자동차 빅3가 도요타 배우기에 나설 정도로 경쟁 우위가 바뀌었다.
ⅱ산업 규범의 변화
산업 규범은 해당 산업의 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해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시켜 온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경쟁방식이라 정의할 수 있다. 자동차산업을 놓고 보면 20세기 초반 포드가, 1970년대 오일쇼크 이전에는 GM이 그리고 그 이후에는 도요타와 폭스바겐이 산업 규범을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산업 규범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것이 GM의 몰락의 원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산업 규범의 변화>
GM형
(Push형 공급자 주도)
도요타 또는 폭스바겐형
(Pull형 소비자 주도)
주요
부문
제품개발
-공급자 주도(Product-out)
-시장 중시(Market-in)
생산
-전용 모델-전용공장
→설비 효율성 중시
-플랫폼/부품 공유
-다품종 유연 생산
-범용 설비/반자동화
→투자 최소화
-현장 경쟁력 제고 위한 개선 중시
마케팅
-밀어내기식 판매 체계
-고객 지향의 관계 마케팅 중시
노사관계
-거래적/대립적 관계
·수량적 유연성 확보
·보상 중시
-협력적/생산적 관계
·기능적 유연성 중시
·작업자의 개선 참여
부품업체
-단기적/거래 비용 관계
·가격 중심
-장기적/포괄적 파트너십 관계
·상호 경쟁력 제고
⑤ GM의 변화 대응 실패 사례
·도요타 배우기 실패 -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린(lean)생산방식을 도입해 새로운 산업 규범을 따라가려고 시도했지만 저유가로 인한 SUV/픽업 시장의 호황과 버블 붕괴에 따른 일본업체의 위기 직면으로 배우기 중단
·개발자 주도 제품 개발 - GM 개발자들은 자동차에 대해서는 자신들이 최고 전문가이기 때문에 자동차의 스타일링과 엔지니어링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호를 좌우할 수 있다고 판단
·단기적/거래 비용 중심 부품업체 관계 - 비용절감 중심 관계가 지속. 원가, 품질 및 기술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장기적 협력 관계 구축에 실패
·밀어내기식 마케팅 - 판매 저조시 인센티브 확대. 렌터가 판매를 통한 밀어내기 등으로 중고차 가치와 소비자 신뢰가 하락하고, 이는 다시 판매 감소와 인센티브 확대로 연결됨으로써 악순환 구조가 형성됨
(2) GM의 현재 현황
GM은 2009년 사브와 허머·폰티악·새턴·오펠 등 수익성이 악화된 브랜드(배드 GM)를 매각하거나 폐기하고, 시보레, 캐딜락, 뷰익, GMC 등 수익성이 양호한 자산과 사업부문(굿 GM)을 축소 합병해 \'뉴 GM\'을 출범시키겠다고 계획했다.
이 후 미국과 캐나다 정부의 구제 금융을 받아 지난해 7월 10일 출범한 뉴 GM은 2010년 들어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5년 이후 5년 만에 흑자로 전환할 것이 유력하다. GM의 주요 브랜드인 시보레, 뷰익, GMC, 캐딜락의 올 들어 3월까지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대비 36% 늘었다.
재무구조도 건전해졌다. 정부에 지고 있던 채무액을 완전히 털어냈으며, 지난해 파산보호 신청 전까지 700억 달러에 달하던 부채도 채권자들의 탕감을 통해 대부분 줄여냈다. GM은 이르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기업공개(IPO)를 통해 정부의 그늘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PO와 재상장을 통해 정부의 자금회수를 돕겠다는 목표다.
달라진 모습도 긍정적으로 여겨진다. 세계적인 차량 다운사이징(소형화) 동향을 외면하고 미국의 전통적인 소비성향에 치중하며 높은 배기량의 대형차를 주로 만들던 과거에 비해, 플러그인 전기차 \'볼트\'를 개발하고 한국 내 자회사인 GM대우를 앞세워 경소형차 개발역량을 키워나가고 있다. 30여년에 걸친 노사 갈등도 상생협력을 중시하며 변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분석도 나온다. 아직 GM 전체 지분의 70% 이상이 미국과 캐나다 정부 소유로 남아있다. 올 들어 자동차 판매량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는 렌트카 업체 등을 대상으로 한 법인 판매로, 수익성 자체는 그리 높지 않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수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GM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에 승부수를 던지고 있다. 내년 말까지 전기차 \'볼트\'를 포함, 총 25종의 신차와 연식변경모델을 투입하며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5). 시사점 및 결론
▶부활을 위한 GM의 노력
2010년 7월까지 주식시장 재상장을 목표로 삼은 뉴GM은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자사 브랜드 이미지 개선과 판매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GM에 대한 안 좋은 소비자들의 인식을 변화키는 것이 GM의 과거 영광 재현의 열쇠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과거 자동차 이미지 광고에 치중하던 전략을 수정하여 비교 광고를 통해서 GM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 주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렉서스 ES350이나 혼다 CR-V와 같은 경쟁차종과의 비교 광고를 통해서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 신임 회장인 에드워드 휘태커가 직접 출현하는 광고로 신뢰성을 획득하고자 하고 있다. 이 기법은 과거 크라이슬러 CEO인 리 아이아코카가 광고, 인터뷰 등을 통해서 소비자와 직접 대화함으로써 신뢰도를 회복했던 사례를 모방한 것이다. 또 변화된 프로모션 전략으로 판매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60일내 환불 보장’프로그램이 그 것인데 이 프로그램은 시보레, 뷰익, GMC, 캐딜락 브랜드 구매 고객에게 9월 중순부터 11월말까지 한시적으로 4천 마일이 넘지 않는 경우에 구매 후 60일 이내에 환불을 보장해주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는 다소 위험을 떠 앉더라도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감수해야 된다고 여기고 추진하고 있는 공격적인 전략이며 현재까지는 환불요구가 많지 않아서 재정에 큰 부담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GM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젊은층을 공략하기 위해서 버즈(Buzz : 입소문)마케팅을 실행하고 있으며 whatis230.com이라는 티저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웹사이트 주소가 적힌 T-셔츠와 모자를 나누어주며 길거리 홍보를 통해 버즈를 유발하고 있다.
▶ GM의 시사점
추천자료
[기업마케팅전략]Lock&Lock 마케팅 분석과 향후 전략 방향 및 계획
[마케팅전략/경영전략A+] 크리스피크림(Krispy Kreme Doughnut) 기업소개와 STP/4P/3C 마케팅...
현대카드,마케팅전략분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MCM,성공사례,마케팅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마케팅전략,성공사례,실패사례분석,월마트,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
마케팅트랜드,마케팅전략,마케팅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
하겐다즈,마케팅전략,아이스크림시장분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
글로벌경영,미국시장진출,현대장동차,마케팅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
맥도날드,맥도날드CSF,CSF전략,KPI전략,KPI사례,맥도날드마케팅전략,맥도날드마케팅,맥도날드...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한 소비자구매의사결정과정 단계별 마케팅 전략 -올림푸스 기업/SLR c...
기업국제화(세계화, 글로벌화) 개념,필요성, 기업국제화(세계화, 글로벌화) 목표, 네트워크화...
삼성중공업 vs 현대중공업 마케팅전략 비교분석과 기업전략비교분석및 미래전망및 새로운 마...
『롯데마트 (Lotte Mart / &#20048;天&#29595;特) 중국진출 마케팅전략』 - 롯데마트...
【 CJ오쇼핑 (CJ O Shopping) 】 CJ오쇼핑 기업분석과 경영전략, 마케팅전략분석 및 CJ오쇼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