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스코마케팅전략,세스코중국시장진출,해충방제시장,중국의해충방제시장,세스코기업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스코마케팅전략,세스코중국시장진출,해충방제시장,중국의해충방제시장,세스코기업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품선정 - 해충방제업체 ‘세스코’
 1. 제품 선정이유
 2. 세스코 소개

Ⅱ. 수출지역선정 - 중국시장
 1. 시장수요
 2. 소비자조사
 3. 기후
 4. 중국의 해충방제시장
 5. 경쟁업체조사
 6. 무역장벽
 7. 시장매력도 조사
 8. 중국시장 선택이유

Ⅲ. STP전략
 1. 시장세분화
 2. 목표시장 결정
 3. 포지셔닝

Ⅳ. 결론 및 전망

본문내용

한 명이 고객을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회사의 직원들이 고객과 만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홍보하고 있다.
5) 사업영역
1) 산업체 환경위생에 관한 해충방제사업
- 특급호텔, 식품공장, 대형빌딩, 대형유통업체 등의 해충방제서비스
- 시설컨설팅 및 직원교육서비스
- 해충동정서비스
- HACCP 및 PL 대비 통합해충방제서비스
2) 음식점 환경위생에 관한 해충방제사업
- 일반음식취급업소, 패밀리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단체급식소 등의 해충방제서비스
- 체인점 통합해충방제서비스
3) 가정집 환경위생에 관한 해충방제사업
- 단독세대 해충방제서비스
- 가정집 위생관리컨설팅서비스
4) 아파트단지 환경위생에 관한 해충방제사업
- 대규모 아파트단지 통합해충방제서비스
5) 쥐, 해충방제에 관한 연구
- 쥐 방제시스템 개발 연구
- 해충별 방제시스템 개발 및 연구
6) 첨단 무인 비래해충 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
- 유인포충기 개발 및 운영서비스
- 자동분사장치(A. C. S) 개발 및 운영서비스
- 취약지역 환경관리 시스템 개발 및 운영서비스
7) 방제약품 개발 및 제조
- 해충별 방제약품 개발 및 제조
- 방제장소별(실내, 실외) 방제약품 개발 및 제조
6) 기업규모
- 방역업체 서비스 기업으로 국내 1위, 세계 5위
- 전국 36개의 직영 지사, 1000여 명의 세스코맨, 700여 대의 서비스 차량 운영
7)영업실적
Strength
시장 선도자 : 국내 업계 1위
경영자의 전문성
홈페이지 Q&A를 통한 통합 마케팅
(홍보효과)
기술연구소를 통한 끊임없는 연구와 적용
CESCO man 양성을 통한 책임성 추구
CESCO zone 마크를 통한 관계마케팅
ISO 9002 인증획득
해충별, 업종별 전문 맞춤서비스
Weakness
CESCO 기업명에 대한 인식 부족
타겟 마켓의 모호함
수요에 따른 적절한 공급 가능 여부
계절에 따른 수요 변동
Opportunity
고정적인 수요확보의 어려움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
곤충 출현에 따른 피해 사례 증가
‘세스코맨’이라는 직업자체에 호기심 상승
홈페이지 인기 상승으로 e-marketing
Threat
경쟁사의 증가
테러사태로 인한 화학제품에 대한 거부감 해충의 약품에 대한 내성 증가
8) SWOT분석
9) 세스코의 해충방제서비스
◆ 서비스 제공 주기
1) 산업체 : 매월 실시
2) 소규모 : 매월 실시
3) 가정집 : 신청 후 30일 주기로 2회를 실시하며, 이 후 부터는 4개월 마다 실시
◆ 서비스혜택
1) 정기 서비스 후에도 해충의 침입이 있거나 고객의 요청이 있을 시에는 회수에 관계없이 무료 추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2) 서비스를 받는 기간에 해충으로부터 피해가 발생되거나 서비스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열거한 항목에 해당되는 환불을 받을 수 있다.
- 가정집 : 초기 2회 서비스 후에는 초기비용 전액/정기서비스 시에는 해당 월비용
- 산업체 : 해당 월비용
3) 서비스 후에도 해충의 피해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대상고객은 해결 시점까지 서비스 비용 지급을 보류 할 수 있다.
4) 다음의 항목에 해당하면 대상 고객이라 할지라도 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없다.
- 내부에 서식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계속적으로 침입하는 파리, 모기와 같은 날벌레 피해
- 계약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해충의 피해
- 해충의 피해 발생이 초기 침입 단계인 경우 - 수목 해충으로 인한 피해
Ⅱ. 수출지역선정 - 중국시장조사
1. 시장수요
중국의 인구는 1,339,724,852명(2011기준)으로 전 세계 1위로 가장 많으며 연평균 인구성장률은 약 0.57%이다. 중국의 경제규모를 알아보면 GDP는 5조8780억 달러로 전 세계 2위이며 경제성장률은 약 10.3%로 BRICs 국가들 중 인도와 함께 경제성장률이 가장 높은 유망 있는 시장이다. 또한, 중국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향후 몇 십년 후에 미국을 제치고 세계의 경제대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에 비해 아직 1인당 GDP($)는 4283(2009기준)인 전 세계 92위로 현저하다.
위의 표를 보면, 중국 국내총생산 및 민간소비가 2020년 까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의 8대 도시 저축률이 매년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것을 보아 중국 민간소비는 확실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약 3조1천불로 중국의 규모처럼 천문학적인 외반보유고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해충방제서비스에 대한 현재 중국의 제품수명주기는‘성장기 단계’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와 외국과의 교류로 인해 중국은 해충방제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외국 해충방제업체들이 진출해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현재 도입기를 거쳐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성장기 단계로 예측된다.
2. 소비자 조사
중국의 인구 성별구조를 조사한 결과 남성이 약 6억 8,685만 2,572명으로 51.27%를 차지하고 여성이 약 6억 5,287만 2,280명으로 48.73%를 차지해 남성인구가 약 2.5%정도 많았다. 연령구조는 0~14세 인구가 16.60%이고, 15~59세가 70.14%, 60세 이상 인구가 13.26%로 중국은 15~59세의 젊은층 인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민족구성은 한족이 91.15%이고 각 소수민족이 8.49%로 한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수많은 소수민족들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또한 각 소수민족들의 생활습관이나 소비성향이 매우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인들의 학력을 조사해본 결과 대졸이 1억 1,963만 명, 고졸이 1억 8,797만 명, 중졸이 5억 1,965만, 초등학교 학력 소지자 3억 5,876만 명으로 중졸 학력소지자가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초등학교 학력 소지자가 가장 많아 대체적으로 평균 학력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의 문맹률은 문맹인구 약 5,465만 명으로 추정해 4.08%으로 조사되었다. 2005년 기준 전 세계 평균 문맹률이 23%인 것을 감안하면 낮은 문맹률도 생각할 수 있다.
중국소비자들의 성향은 매우 많이 조사되었지만 중요한 특징 몇 가지만 설명해보면, 중국은 넓은 국토면적으로 거리 및 시간적인 개념이 다르며, 인맥인 ‘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3.05.09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4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