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박탈증후군, 독소형 쇼크증후군 같은 질환을 일으킨다.
④진단
균의 분리, 동정을 시행한다. 포도알균의 분리에는 7.5% 식염첨가 mannitol 배지가 주로 사용된다. 집락, 색조, Gram 염색상 기타의 생화학 성상, phage의 감수성 등에 의해 동정한다.
-Streptococcus 속
①형태배양
0.8~1㎛의 알균으로서 사슬모양을 하고 있으며 균종에 따라 길이는 매우 다양하다. Gram 양성으로서 catalase 음성이다. 아포는 없으나 일부의 균에서 협막을 형성하며 드물게 편모를 가진 것도 있다.
배양은 혈액우무배지, 혈청첨가배지에서 잘 발육하지만 보통 우무배지에서의 발육은 불량하다. 혈액우무배지상의 집락은 주위에 특유한 용혈환을 가진다.
녹생의 용혈을 나타내는 것은 녹색사슬알균,완전용형을 나타내는 것을 β-용혈사슬알균이라 하여 구별한다. 액체배지는 THB를 사용하는데 그 발육성상은 균종에 따라 다르며 침전형, 평형등으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발육은 불량하다.
②성상
β-용혈사슬알균에는 군항원의 종류에 따라 A,B,C,G군 사슬알균으로 분류된다.
α-용혈사슬알균에는 병원균인 폐렴사슬알균 외에 구강사슬알균이 있다. 이들 균종은 그 생화학적 성상의 차이에 따라 구별된다.
③병원성
④진단
검체의 직접 도말염색표본의 경검에 의해 사슬알균의 형태와 Gram양성을 관찰한다. 배양 검사에 의한 균의 분리와 동정을 시행한다. 혈액우무배지를 사용하여 집락의 성상, 용혈환의 형(α,β), 군별, 기타의 생물학적 성상으로 균종을 동정한다.
-Streptococcus pyogenes (화농사슬알균)
화농사슬알균은 사슬알균 감염증 중에서 가장 중요한 균종이다. 1차 감염증으로는 급성 편도염, 성홍열, 피부화농성질환, 속발증으로는 류마티스열, 금성 사구체신염등의 원인균이다. 이들의 환자 분리주에는 균체 표층에 있는 섬모구조의 한 성분인 M 단백항원이 있다.
M 단백은 식세포의 식균작용을 저해하는 작용이 있다. 식작용에는 저항한 균은 쉽게 증식하며 감염이 성릭하게 된다. 따라서 이 물질은 독성인자인 것이다. 기타 발적독소, streptolysin O, streptokinase, streptodornase, hyaluronidase 등 다양한 균체외 효소 또는 균체외 생산물질을 생산하며 아래와 같은 질환을 유발한다.
- Streptococcus pheumoniae (폐렴사슬알균)
폐렴사슬알균은 1881년 Sternberg와 Pasteur가 사람의 침에서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뒤이어 Friedlander가 이 균이 폐렴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협막이 있는 Gram양성 알균으로 직경은 0.5~1.25㎛정도이다. 특징적으로 쌍을 이루고 분포한다. 혈액우무배지에서 녹색용혈환을 보이며, ethylhydrocuprein HCI에 감수성을 보여 이 균을 동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Streptococcus pheumoniae 에 의한 폐렴은 고열(38.8~41.1℃)을 동반하여 흉통을 호소한다. 신생아나 소아의 호흡기 감염의 원인균으로 가장 흔히 분리되고 있으며, 소아에서 성인까지 전 언령층에 수막염의 원인균으로도 중요한 세균이다.
-Streptococcus mutans (구강사슬알균)
구강사슬알균은 설탕으로부터 불용성이면서 점착성의 다당류와 유산을 생산하여 치아의 법랑질 표면에 부착하고, 그 내부에 유산을 축적하여 법랑질을 손상시켜 우식증을 유발한다. 또 구강사슬알균은 건전한 치아면의 치면세균막 속에 상재, 설탕을 이용하여 수용성인 다당류와 유산을 생산한다. 그러나 다당류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우식 유발성이 약하다. 이 균은 α-용혈을 나타내며, 아급성 심내막염의 원인균이다. 치과처치 중 수행되는 발치, 치석제거, 보존 및 기타 수술을 시행할 때 균혈즈을 유발할 수 있다.
-Escherichia coli (대장균)
①형태배양
1.1~1.5㎛×2.0~6.0㎛ 크기의 Gram음성 막대균으로서 대부분의 균은 주모성 편모를 가졌으며 운동성이 있다. 특정 장기에 부착하여 정착하기 위한 섬모를 가지기도 한다. 포도당을 발효하고 산과 가스를 만든다. 대개의 균주는 유당을 분해하고 MacConkey 우무배지에서 핑크색의 집락을 만든다
②병원성
보통의 대장균은 정상 균무리의 하나로서 무해한 균이나 장관 이외에 담도, 요로, 호흡기 등에 대장균이 국소성으로 침입한 경우에는 병원선을 발휘한다. 그러나 최근 요로감염증을 일으키는 대장균은 요로계 세포에 부착할 수 있는 특별한 병원인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져, 다른 부위에 감염을 일으키는 대장균도 정상 균무리를 구성하는 대장균과는 달리 각각 특이적인 병원인자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별한 병원인자 생산능을 가진 인군의 대장균은 설사를 주증상으로 하는 장관감염증을 일으킨다. 대장균은 4형으로 분류된다.
장병원선 대장균은 살모넬라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낸다. 장침입성 대장균은 이질균과 같은 병원성을 가진 대장균으로 감염되었을 경우 큰창자의 점막 상피세포 내로 침입하여 증식하고 점막을 괴사시켜 궤양을 형성하는 대장균으로 세균성 이질과 같은 침습성 인자가 있다. 설사증의 1~5%가 이 세균이 원인이 된다. 최근 0157균이 문제가 되고 있다. 장독소원성 대장균은 내열성 enterotoxin 및 이열성 enterotoxin을 생산함으로써 질병을 일으키며 여행자설사증의 중요한 원인균이다.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균)
①형태배양
0.7~1.5㎛×2.0~5.0㎛크기의 막대균으로 주모성 편모를 가졌으며 활발히 운동한다. 유당 비분해하여 SS나 MacConkey 등의 선택배지상에서는 무색 집락을 형성한다.
②병원성
환자나 보균자의 대변 중의 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에 의해 발병되고 전신성 질환으로 법정전염병 제1군에 속한다. 장티푸스의 경우 경구섭취되 균은 돌막창자부위의 림프조직에서 증식하고 혈액 중으로 들어가 패혈증을 일으킨다. 고열, 장미진, 비종 등이 주증상이다. 발증 후 2~3주 정도에 항체가 출현하고 회복기에 들어선다. 이 사이에 티푸스균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침입하기
④진단
균의 분리, 동정을 시행한다. 포도알균의 분리에는 7.5% 식염첨가 mannitol 배지가 주로 사용된다. 집락, 색조, Gram 염색상 기타의 생화학 성상, phage의 감수성 등에 의해 동정한다.
-Streptococcus 속
①형태배양
0.8~1㎛의 알균으로서 사슬모양을 하고 있으며 균종에 따라 길이는 매우 다양하다. Gram 양성으로서 catalase 음성이다. 아포는 없으나 일부의 균에서 협막을 형성하며 드물게 편모를 가진 것도 있다.
배양은 혈액우무배지, 혈청첨가배지에서 잘 발육하지만 보통 우무배지에서의 발육은 불량하다. 혈액우무배지상의 집락은 주위에 특유한 용혈환을 가진다.
녹생의 용혈을 나타내는 것은 녹색사슬알균,완전용형을 나타내는 것을 β-용혈사슬알균이라 하여 구별한다. 액체배지는 THB를 사용하는데 그 발육성상은 균종에 따라 다르며 침전형, 평형등으로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발육은 불량하다.
②성상
β-용혈사슬알균에는 군항원의 종류에 따라 A,B,C,G군 사슬알균으로 분류된다.
α-용혈사슬알균에는 병원균인 폐렴사슬알균 외에 구강사슬알균이 있다. 이들 균종은 그 생화학적 성상의 차이에 따라 구별된다.
③병원성
④진단
검체의 직접 도말염색표본의 경검에 의해 사슬알균의 형태와 Gram양성을 관찰한다. 배양 검사에 의한 균의 분리와 동정을 시행한다. 혈액우무배지를 사용하여 집락의 성상, 용혈환의 형(α,β), 군별, 기타의 생물학적 성상으로 균종을 동정한다.
-Streptococcus pyogenes (화농사슬알균)
화농사슬알균은 사슬알균 감염증 중에서 가장 중요한 균종이다. 1차 감염증으로는 급성 편도염, 성홍열, 피부화농성질환, 속발증으로는 류마티스열, 금성 사구체신염등의 원인균이다. 이들의 환자 분리주에는 균체 표층에 있는 섬모구조의 한 성분인 M 단백항원이 있다.
M 단백은 식세포의 식균작용을 저해하는 작용이 있다. 식작용에는 저항한 균은 쉽게 증식하며 감염이 성릭하게 된다. 따라서 이 물질은 독성인자인 것이다. 기타 발적독소, streptolysin O, streptokinase, streptodornase, hyaluronidase 등 다양한 균체외 효소 또는 균체외 생산물질을 생산하며 아래와 같은 질환을 유발한다.
- Streptococcus pheumoniae (폐렴사슬알균)
폐렴사슬알균은 1881년 Sternberg와 Pasteur가 사람의 침에서 처음으로 분리하였다. 뒤이어 Friedlander가 이 균이 폐렴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협막이 있는 Gram양성 알균으로 직경은 0.5~1.25㎛정도이다. 특징적으로 쌍을 이루고 분포한다. 혈액우무배지에서 녹색용혈환을 보이며, ethylhydrocuprein HCI에 감수성을 보여 이 균을 동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Streptococcus pheumoniae 에 의한 폐렴은 고열(38.8~41.1℃)을 동반하여 흉통을 호소한다. 신생아나 소아의 호흡기 감염의 원인균으로 가장 흔히 분리되고 있으며, 소아에서 성인까지 전 언령층에 수막염의 원인균으로도 중요한 세균이다.
-Streptococcus mutans (구강사슬알균)
구강사슬알균은 설탕으로부터 불용성이면서 점착성의 다당류와 유산을 생산하여 치아의 법랑질 표면에 부착하고, 그 내부에 유산을 축적하여 법랑질을 손상시켜 우식증을 유발한다. 또 구강사슬알균은 건전한 치아면의 치면세균막 속에 상재, 설탕을 이용하여 수용성인 다당류와 유산을 생산한다. 그러나 다당류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우식 유발성이 약하다. 이 균은 α-용혈을 나타내며, 아급성 심내막염의 원인균이다. 치과처치 중 수행되는 발치, 치석제거, 보존 및 기타 수술을 시행할 때 균혈즈을 유발할 수 있다.
-Escherichia coli (대장균)
①형태배양
1.1~1.5㎛×2.0~6.0㎛ 크기의 Gram음성 막대균으로서 대부분의 균은 주모성 편모를 가졌으며 운동성이 있다. 특정 장기에 부착하여 정착하기 위한 섬모를 가지기도 한다. 포도당을 발효하고 산과 가스를 만든다. 대개의 균주는 유당을 분해하고 MacConkey 우무배지에서 핑크색의 집락을 만든다
②병원성
보통의 대장균은 정상 균무리의 하나로서 무해한 균이나 장관 이외에 담도, 요로, 호흡기 등에 대장균이 국소성으로 침입한 경우에는 병원선을 발휘한다. 그러나 최근 요로감염증을 일으키는 대장균은 요로계 세포에 부착할 수 있는 특별한 병원인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져, 다른 부위에 감염을 일으키는 대장균도 정상 균무리를 구성하는 대장균과는 달리 각각 특이적인 병원인자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별한 병원인자 생산능을 가진 인군의 대장균은 설사를 주증상으로 하는 장관감염증을 일으킨다. 대장균은 4형으로 분류된다.
장병원선 대장균은 살모넬라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낸다. 장침입성 대장균은 이질균과 같은 병원성을 가진 대장균으로 감염되었을 경우 큰창자의 점막 상피세포 내로 침입하여 증식하고 점막을 괴사시켜 궤양을 형성하는 대장균으로 세균성 이질과 같은 침습성 인자가 있다. 설사증의 1~5%가 이 세균이 원인이 된다. 최근 0157균이 문제가 되고 있다. 장독소원성 대장균은 내열성 enterotoxin 및 이열성 enterotoxin을 생산함으로써 질병을 일으키며 여행자설사증의 중요한 원인균이다.
-Salmonella typhi (장티푸스균)
①형태배양
0.7~1.5㎛×2.0~5.0㎛크기의 막대균으로 주모성 편모를 가졌으며 활발히 운동한다. 유당 비분해하여 SS나 MacConkey 등의 선택배지상에서는 무색 집락을 형성한다.
②병원성
환자나 보균자의 대변 중의 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에 의해 발병되고 전신성 질환으로 법정전염병 제1군에 속한다. 장티푸스의 경우 경구섭취되 균은 돌막창자부위의 림프조직에서 증식하고 혈액 중으로 들어가 패혈증을 일으킨다. 고열, 장미진, 비종 등이 주증상이다. 발증 후 2~3주 정도에 항체가 출현하고 회복기에 들어선다. 이 사이에 티푸스균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침입하기
추천자료
한의학 한문
오시리스 신화속의 고대 이집트 사회
유아 부모교육
베스킨라빈스 경영전략
[공공도서관][공공도서관 장서성향][공공도서관 사서][공공도서관 정보봉사][공공도서관 독서...
[공공도서관 기능][공공도서관사서 일반적 업무][공공도서관사서 독서교육][공공도서관사서 ...
공공성과 리더십의 특징을 논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조직에 적합한 리더상<像>을 제...
기업 M&A
[과잉보호]부모의 과잉보호가 유아의 정신건강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과잉보호원인...
이형기 시인
건축기사 필기대비 (설비부분) _ 2013
[현대 시인론] 이형기 & 정호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