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ase study
<간호정보기록>
․ 성명 : 김미○ ․ 성별 : F ․ 나이 : 27
● 일반정보
● 신체정보
● 배설습관
● 수면습관 : 양호
● 산부인과력
<LAB> (-다른 검사종류는 정상)
< 간호진단 목록 >
#1
간호 진단(A)
수술 후 조직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acute pain)
#2
간호 진단(A)
외음부 수술과 관련된 감염가능성
#3
간호 진단(A)
입원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4
간호 진단(A)
질병 및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5
간호 진단(A)
수술 후 외음부 변화와 관련된 신체상 장애
<간호정보기록>
․ 성명 : 김미○ ․ 성별 : F ․ 나이 : 27
● 일반정보
● 신체정보
● 배설습관
● 수면습관 : 양호
● 산부인과력
<LAB> (-다른 검사종류는 정상)
< 간호진단 목록 >
#1
간호 진단(A)
수술 후 조직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acute pain)
#2
간호 진단(A)
외음부 수술과 관련된 감염가능성
#3
간호 진단(A)
입원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4
간호 진단(A)
질병 및 추후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5
간호 진단(A)
수술 후 외음부 변화와 관련된 신체상 장애
본문내용
11/23 9:00am : 139/47, 58, 20, 36.5℃
2) 모든 간호행위 전, 철저히 손 씻기를 시행하였다.
3) 매일 foley catheter, dressing, IV line(72시간마다 교체) 적용 된 부위를 사정하고 간호 처치 시 무균술을 적용하였다.
4) 대상자에게 감염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 손 씻기에 관해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 대상자에게 urine bag을 방광위치보다 낮게 유지하고
바닥에 닿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 보호자에게 8시간마다 urine bag을 비우도록 하고 소변버리 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 보호자에게 드레싱 한 부위가 더러워지면 새로 드레싱 할 수
있도록 간호사에게 알리라고 교육하였다.
5) 대상자에게 충분한 영양 및 수분 섭취 할 것을 교육하였다.
간호 평가(E)
대상자는 V/S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대상자는 침습적 처치로 인해 9/1 IV line 부분이 부어올랐으나
새로운 line으로 교체하여 문제해결 되었다.
대상자의 WBC수치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대상자(보호자)는 감염예방 교육을 이해하고 잘 수행하였다.
#3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방문객이나 선생님들 왔다갔다 하는게 신경쓰여요”
“병실이 바뀌어서 그런지 편히 못 자겟네...”
객관적
자료
환경적변화: 다인실(4인실)
낮동안 잠을 자는 모습을 빈번히 관찰 할 수 있다.
평소수면양상: 낮잠자지 않고 밤에 푹 잠
→ 현재수면양상: 낮잠자고 밤에 깊게 못 잠
간호 진단(A)
입원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 목표(G)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깨지 않고 6시간 이상 숙면
했다고 말한다.
② 대상자는 수면장애 요인 및 수면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에 7시간 이상 숙면했다고 말한다.
간호 계획(P)
및 수행(I)
1) 대상자의 평소 수면
습관을 사정한다.
2) 대상자와 함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사정 한다.
3) 대상자와 함께 수면증진 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4) 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을
교육하고 실시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1) 환자의 정확한 수면양상을
사정함으로써 수면장애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대상자가
정상적인 수면양상을 보이도 록 한다.
4) 근육을 이완시켜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여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다.
1) 대상자의 평소 수면습관을 사정하였다.
- 특별한 이상은 없으나 작은 소리나 빛에도 예민하게 반응,
병원생활로 낮잠을 주무신다.
2) 대상자와 함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사정하였다.
ex: 다인실, 과도한 낮잠, 조명..
3) 대상자와 함께 수면증진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취침 중에 귀마개나 눈가리개를 착용하였다.
- 취침 전에 책을 읽는 것과 같은 휴식적인 활동을 권장하고
불안을 일으키는 활동들은 피하였다.
- 낮동안 계속 누워있기보다는 자세를 조금씩 움직여서 밤동안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 좋아하는 음악이나 책을 보도록 하여 불안을 감소시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4) 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을 교육하고 실시하도록 격려하였다.
- 이완요법(명상요법, 상상요법, back massage)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가르치고 취침 시 실시하게 하였다.
간호 평가(E)
대상자는 수면장애 요인 및 수면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말로 표현하였다.
대상자가 3일 이내에 깨지 않고 6시간 이상 숙면하였다고 말하 였다.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목욕은 언제부터 해도 되요?”
“선생님, 이 약은 뭐에요?”
“수술은 잘
2) 모든 간호행위 전, 철저히 손 씻기를 시행하였다.
3) 매일 foley catheter, dressing, IV line(72시간마다 교체) 적용 된 부위를 사정하고 간호 처치 시 무균술을 적용하였다.
4) 대상자에게 감염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 손 씻기에 관해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 대상자에게 urine bag을 방광위치보다 낮게 유지하고
바닥에 닿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 보호자에게 8시간마다 urine bag을 비우도록 하고 소변버리 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 보호자에게 드레싱 한 부위가 더러워지면 새로 드레싱 할 수
있도록 간호사에게 알리라고 교육하였다.
5) 대상자에게 충분한 영양 및 수분 섭취 할 것을 교육하였다.
간호 평가(E)
대상자는 V/S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대상자는 침습적 처치로 인해 9/1 IV line 부분이 부어올랐으나
새로운 line으로 교체하여 문제해결 되었다.
대상자의 WBC수치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대상자(보호자)는 감염예방 교육을 이해하고 잘 수행하였다.
#3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방문객이나 선생님들 왔다갔다 하는게 신경쓰여요”
“병실이 바뀌어서 그런지 편히 못 자겟네...”
객관적
자료
환경적변화: 다인실(4인실)
낮동안 잠을 자는 모습을 빈번히 관찰 할 수 있다.
평소수면양상: 낮잠자지 않고 밤에 푹 잠
→ 현재수면양상: 낮잠자고 밤에 깊게 못 잠
간호 진단(A)
입원으로 인한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 목표(G)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깨지 않고 6시간 이상 숙면
했다고 말한다.
② 대상자는 수면장애 요인 및 수면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에 7시간 이상 숙면했다고 말한다.
간호 계획(P)
및 수행(I)
1) 대상자의 평소 수면
습관을 사정한다.
2) 대상자와 함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사정 한다.
3) 대상자와 함께 수면증진 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4) 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을
교육하고 실시하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1) 환자의 정확한 수면양상을
사정함으로써 수면장애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대상자가
정상적인 수면양상을 보이도 록 한다.
4) 근육을 이완시켜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여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다.
1) 대상자의 평소 수면습관을 사정하였다.
- 특별한 이상은 없으나 작은 소리나 빛에도 예민하게 반응,
병원생활로 낮잠을 주무신다.
2) 대상자와 함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사정하였다.
ex: 다인실, 과도한 낮잠, 조명..
3) 대상자와 함께 수면증진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취침 중에 귀마개나 눈가리개를 착용하였다.
- 취침 전에 책을 읽는 것과 같은 휴식적인 활동을 권장하고
불안을 일으키는 활동들은 피하였다.
- 낮동안 계속 누워있기보다는 자세를 조금씩 움직여서 밤동안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 좋아하는 음악이나 책을 보도록 하여 불안을 감소시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4) 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을 교육하고 실시하도록 격려하였다.
- 이완요법(명상요법, 상상요법, back massage)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가르치고 취침 시 실시하게 하였다.
간호 평가(E)
대상자는 수면장애 요인 및 수면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말로 표현하였다.
대상자가 3일 이내에 깨지 않고 6시간 이상 숙면하였다고 말하 였다.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목욕은 언제부터 해도 되요?”
“선생님, 이 약은 뭐에요?”
“수술은 잘
키워드
추천자료
투약실습보고서
[논문] 만성중이염
[모성간호학]자궁탈출(uterine prolapse)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실습일지
신경계, SDH(Subdural Hematoma) Case study
[논문] 담석증 케이스
골관절염사례연구
장기이식 자료 거부반응 이종이식 윤리적고려 간호사정 역사 환자관리
CASE 대퇴경부골절 (Femur of neck fx)
[케이스스터디][폐질환][간세포암][갑상선암][뇌출혈]폐질환 케이스스터디(CaseStudy), 간세...
GB Stone (담석증)간호사례연구[1]
[성인간호학][DKA][당뇨성케톤산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Diabetic Ketoacido...
[모성간호학][분만1,2,3,4기][분만기록지]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심방세동(Artrial fibrilla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Artrial...
기본간호학) 상처간호 욕창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