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학의 반봉건, 반외세 사상을 통하여 그들의 민족주의 사상을 강화, 축적하고 혁명을 통해 시대적 위기에 대처해 나갔다. 특히 일본군의 침략에 항거한 동학 혁명군의 항일 구국투쟁은 민족주의 역량을 총집결시켰다. 관군에게 보낸 격문을 통해서 외세의 간섭을 모두 배제하여 동족상잔도피하고 화합 단결하여 자주독립 의 국권을 수호하자고 주장한 것은 동학혁명의 근대적인 민족의식을 확연하게 표망한 것이다 비록 혁명군이 일본군에게 대패하여 엄청난 희생을 치루었지만 동학사상을 통해 무장한 우국적 민족의식은 근대적인 우리 민족과 국가를 형성하는 근간이 되었다. 또한 혁명군이 추진하였던 반봉건 운동은 갑오경장으로 이루어졌는데 일본의 압력에 따른 친일 정권에 의해 실시되었다고 비판할수도 있겠지만 이것은 혁명군의 피흘린 대가로 쟁취한 민중혁명의 성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혁명군의 반외세 사상을 통한 자주독립은 일본의 노골적인 침략에 의하여 좌절되었다. 하지만 혁명군의 민족적 역량은 소멸되지않고 한말의병항쟁이나 독립군,광복군등 독립운동 세력으로 계승 구국의 중추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후 손병희를 중심으로 한 근대화 운동을 위해 전국적인 규모에서 교단의 재정적인 기초와 조직을 강화 역량을 축척하여 보성학교 등 교육기관과 보성사 등의 출판기관을 경영 인재를 해외에 유학시키는 등 근대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해 나갔다. 그리하여 2.8독립선언이나 3.1운동에 있어서 주도적인 임무를 수행하여 근대적 민족의식과 독립정신을 선양케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동학혁명은 한국민중의 주체적,의식적 성장에 결정적 전기를 마련해 주었고 우리 역사가 나아갈 개혁적이고 민족주의적 방향을 제시해 주는 근대화의 바탕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동학혁명은 민족적 위기를 당한 민중에게 역사의 주인임을 일깨우고 근대화 와 자주독립의 구심점으로서 역사를 민주화와 공화제도의 한 단계 위로 발전시키는 커다란 원동력이 되었다. 임성렬.『동학혁명인가 농민전쟁인가?』, (서울:신서원, 2002), p.35
※ 참고문헌
고건호.『동학 운동의 전개 과정』
http://www.donghak.go.kr/
http://cont2.edunet4u.net/%7Ehistory/jo/donghak.htm
신일철. 『동학사상의 이해』, 서울: 사회비평사, 1995.
임성렬. 『동학혁명인가 농민전쟁인가?』, 서울: 신서원, 2002.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서울: 예문서원, 1995.
이후 손병희를 중심으로 한 근대화 운동을 위해 전국적인 규모에서 교단의 재정적인 기초와 조직을 강화 역량을 축척하여 보성학교 등 교육기관과 보성사 등의 출판기관을 경영 인재를 해외에 유학시키는 등 근대화를 위한 기초를 마련해 나갔다. 그리하여 2.8독립선언이나 3.1운동에 있어서 주도적인 임무를 수행하여 근대적 민족의식과 독립정신을 선양케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동학혁명은 한국민중의 주체적,의식적 성장에 결정적 전기를 마련해 주었고 우리 역사가 나아갈 개혁적이고 민족주의적 방향을 제시해 주는 근대화의 바탕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동학혁명은 민족적 위기를 당한 민중에게 역사의 주인임을 일깨우고 근대화 와 자주독립의 구심점으로서 역사를 민주화와 공화제도의 한 단계 위로 발전시키는 커다란 원동력이 되었다. 임성렬.『동학혁명인가 농민전쟁인가?』, (서울:신서원, 2002), p.35
※ 참고문헌
고건호.『동학 운동의 전개 과정』
http://www.donghak.go.kr/
http://cont2.edunet4u.net/%7Ehistory/jo/donghak.htm
신일철. 『동학사상의 이해』, 서울: 사회비평사, 1995.
임성렬. 『동학혁명인가 농민전쟁인가?』, 서울: 신서원, 2002.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서울: 예문서원, 199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