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으로서의 가치태도 등에 관한 요소를 중시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초등학교에서 세계사 교육을 하도록 사회과의 방향과 목표를 잘 명시해 놓고 세계사 교육을 도입하려 한 점을 장점으로 볼 수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역사영역은 국사영역과 세계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초등학교에서 역사영역은 생활사, 국사 영역이므로, 세계사를 제외하고 있는 실정이다.
(2) 단점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세계사 관련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세계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은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일부 내용에서 구성상 필요에 따라 약간의 세계사 관련 내용이 보인다. 사회과 교과서와 사회과 탐구 가운데 세계사와 관련지어 세계적인 시각을 갖도록 지도할 수 있는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세계사에 관련된 내용이 부족하다. 이는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자체의 문제점이기도 하다. 환경확대법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에 따라 세계사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으나 교육외적 상황의 변화는 학생들로 하여금 세계사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학습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접할 수 있는 세계사 관련 자료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학교 교육에서는 외면하고 있다.
둘째, 정치역사적 영역에 관한 내용은 한국과 관계가 깊은 나라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나 한국의 역사를 진술하는 데 필요한 단순 사실의 언급에 그치고 있다. 즉 우리나라와 가까운 중국과 일본의 경우를 보더라도 한국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대외관계사에 집중되어 있고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나 역사에 대한 소개가 거의 없기 때문에 세계적인 안목과 태도 및 이해 능력인 국제적 소양을 기르기에 부족하다.
셋째, 사회문화지리 영역에 관한 내용은 약간의 안내 역할에 그치고 있으며, 학생들 스스로 탐구하고 학습해야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회문화지리 영역에 관한 내용인 6학년 2학기 3단원의 ‘변화하는 세계 여러 나라’는 세계사적인 시각 접근 없이 방대한 세계의 여러 나라를 단순히 소개하는 방식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크다.
넷째, 영역별 내용에서도 역사지리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영역을 모두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학습량에 비하여 교육과정에서 배당된 수업시간이 너무 부족하고, 사회과 탐구에서도 내용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뒷받침해 주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6대륙의 대표적인 국가에 관한 소개가 자연환경 및 산업을 중심으로 하여 그 특징을 함께 제시하고 있지만 학생들로 하여금 대륙의 위치 및 대륙에 어떤 국가들이 있는지 등을 이해하는 지형도와 산업도 등 주제별 지도를 비롯한 자료가 부족하다.
여섯째, 내용의 균형상의 문제이다. 유럽 지역에서는 소련의 붕괴, 동유럽의 민주화 변혁, 소련 연방과 유고 연방의 해체에 따른 신생 독립국가에 대해 다루는 등 최근의 국제정세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으나 아시아 지역에서는 같은 정치적 변화에 의해 출현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해서는 그 내용이 없다. 학생들로 하여금 균형 있는 세계적 시각을 갖는데 문제가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
김원수, 1994, “국민학교에서의 세계사 교육을 위한 일고찰”, 서울대학교 논문집 제27집.
박준수, 김흥수, 1999, “초등학교에서의 세계사 및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연구”, 인문 사회교육연구 제3호.
정선영, 2003, “세계사 교육에서의 국제이해교육”, 교육연구논총 제24권 제3호.
배한극, 2004, “초등학교에 있어서 세계사 교육의 필요성과 외국 사례”, 역사교육 논집 제33집.
이렇게 초등학교에서 세계사 교육을 하도록 사회과의 방향과 목표를 잘 명시해 놓고 세계사 교육을 도입하려 한 점을 장점으로 볼 수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역사영역은 국사영역과 세계사 영역”으로 구분하고, “초등학교에서 역사영역은 생활사, 국사 영역이므로, 세계사를 제외하고 있는 실정이다.
(2) 단점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세계사 관련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과서에서 세계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은 거의 찾아볼 수 없으며, 일부 내용에서 구성상 필요에 따라 약간의 세계사 관련 내용이 보인다. 사회과 교과서와 사회과 탐구 가운데 세계사와 관련지어 세계적인 시각을 갖도록 지도할 수 있는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세계사에 관련된 내용이 부족하다. 이는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자체의 문제점이기도 하다. 환경확대법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에 따라 세계사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으나 교육외적 상황의 변화는 학생들로 하여금 세계사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학습과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접할 수 있는 세계사 관련 자료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학교 교육에서는 외면하고 있다.
둘째, 정치역사적 영역에 관한 내용은 한국과 관계가 깊은 나라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나 한국의 역사를 진술하는 데 필요한 단순 사실의 언급에 그치고 있다. 즉 우리나라와 가까운 중국과 일본의 경우를 보더라도 한국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대외관계사에 집중되어 있고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나 역사에 대한 소개가 거의 없기 때문에 세계적인 안목과 태도 및 이해 능력인 국제적 소양을 기르기에 부족하다.
셋째, 사회문화지리 영역에 관한 내용은 약간의 안내 역할에 그치고 있으며, 학생들 스스로 탐구하고 학습해야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회문화지리 영역에 관한 내용인 6학년 2학기 3단원의 ‘변화하는 세계 여러 나라’는 세계사적인 시각 접근 없이 방대한 세계의 여러 나라를 단순히 소개하는 방식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크다.
넷째, 영역별 내용에서도 역사지리정치경제사회문화 등의 영역을 모두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학습량에 비하여 교육과정에서 배당된 수업시간이 너무 부족하고, 사회과 탐구에서도 내용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뒷받침해 주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6대륙의 대표적인 국가에 관한 소개가 자연환경 및 산업을 중심으로 하여 그 특징을 함께 제시하고 있지만 학생들로 하여금 대륙의 위치 및 대륙에 어떤 국가들이 있는지 등을 이해하는 지형도와 산업도 등 주제별 지도를 비롯한 자료가 부족하다.
여섯째, 내용의 균형상의 문제이다. 유럽 지역에서는 소련의 붕괴, 동유럽의 민주화 변혁, 소련 연방과 유고 연방의 해체에 따른 신생 독립국가에 대해 다루는 등 최근의 국제정세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으나 아시아 지역에서는 같은 정치적 변화에 의해 출현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대해서는 그 내용이 없다. 학생들로 하여금 균형 있는 세계적 시각을 갖는데 문제가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
김원수, 1994, “국민학교에서의 세계사 교육을 위한 일고찰”, 서울대학교 논문집 제27집.
박준수, 김흥수, 1999, “초등학교에서의 세계사 및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연구”, 인문 사회교육연구 제3호.
정선영, 2003, “세계사 교육에서의 국제이해교육”, 교육연구논총 제24권 제3호.
배한극, 2004, “초등학교에 있어서 세계사 교육의 필요성과 외국 사례”, 역사교육 논집 제33집.
추천자료
- 대학입학전형 개선 방안 연구
- 열린교육의 수업방법중에서...
-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태권도의 교육사적 의의에 관한 연구
- 초등실과교육 시험정리 완벽 서브노트!!
- [간호학과]서울시내 초등학생들의 비만실태와 영향요인 연구
- 비교유아교육(일본의 유아교육)
- 소규모학교 통폐합(작은학교 통폐합)의 이점, 소규모학교 통폐합(작은학교 통폐합)의 문제점...
- 과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기본생활습관 지도관련 내용과 방법 고찰
-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
-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필요성과 사례 및 대책방안 - 유아 교육의 공교육화, 공교육의 원리, ...
- [우수레포트★★★★]교원평가제의 최근 현황, 내용, 의의, 특징,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에 대해 설...
- 사교육 찬반 의견과 사교육문제의 대책 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