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실습레포트2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량실습레포트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후시와 전시
- 후시(BS:Back Sight) : 표고를 이미 알고 있는 점(표고기준점)에 세운 수준척의 눈금
- 전시(FS:Fore Sight) : 표고를 알고자 하는 곳에 세운 수준척 눈금의 읽음
(10) 기계고(IH:Instrument Height, Collimation Height)
- 망원경의 시준선의 표고, 지반고에 후시를 더하여 얻어진다.
(11) 이기점(TP), 중간점(IP)
- 이기점(Turning Point) : 측량 도중 레벨을 옮겨 세우기 위하여 한 측점에서 전시와 후시를 동시에 읽을 때 그 측점을 말함
- 중간점(Intermediate Point) : 어느 한 점의 표고를 구하기 위하여 그 점에 수준척을 세우고 전시만을 읽는점을 말함. 중간시(Intermediate Sight)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함
(12) 지반고(GL:Ground Level)
- 기준면에서 어느 한 점까지의 표고, 기계고에서 전시 또는 중간시를 뺀 값
직접 수준측량의 원리
(후시 - 전시)
두 점간의 거리가 멀거나 고저차가 심하여 한번에 이를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측량한다.
A, B, C, D, E에 세워진 수준척의 읽음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면
x1, x4 : (+)부호 → 후시
x3, x6 : (-)부호 → 전시
x2, x5 : E점의 표고계산에 전혀 사용되지 않은 점 → 중간점
전시와 후시가 같이 있는 점 : T.P.(이기점)
E점의 높이는
즉 ,
야장기입방법
① 고차식 : 단지 두 점의 표고차만을 알고자 할 때 사용, 하지만 중간의 점들의 표고는 알 수가 없다. 원리는 두 점의 표고차는 후시의 합과 전시의 합의 차라는 기본원리를 이용
② 승강식(Rise & Fall Method)
- 두 점에 세운 표척의 눈금차가 두 점의 표고차가 된다는 원리
- 계산과정에서 완전한 검산을 할 수 있으므로 정밀측량에 사용, 그러나 중간점(IP)이 많을 때는 계산이 복잡한 단점이 있음
③ 기고식 : 종단측량, 횡단측량과 같이 중간점이 많을 때 사용, 완전한 검산을 할 수가 없음
수준 측량을 할 때 주의하여야 할 점
① 사용하는 기계, 기구는 사용 전 반드시 검사 및 조정을 하여야 하며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측량에서는 측량 도중에도 가끔 검사하여 필요한 경우 조정을 실시하여야 한다.
② 레벨을 세우는 곳은 땅이 견고하여 기계가 침하하지 않는 곳이어야 하며 햇빛이 직접 쬐지 않는 곳이 좋다. 햇빛을 피할 수 없을 때에는 양산이나 우산 등으로 기계를 가려 주어야 한다.
측정할 순간에는 반드시 기포가 중앙에 있어야 한다. 기포관 반사경이 없어 기계수가 관측도중 직접 기포를 확인할 수 없을 경우에는 야장수가 기포의 위치를 주의 깊게 보아야 하며 만일 기포가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때는 삼각을 가볍게 누르면서 기포를 중앙에 오도록 한다. 관측자는 고정나사를 푼 채로 될수 있으면 두 눈을 뜨고 측정하는 것이 좋다.
④ 수준척은 연직으로 세워야 하며 측정 도중에 수준척의 침하가 없는가 또는 함척일 경우에는 함척의 이음매가 완전한가에 주의하여야 한다.
⑤ 전시와 후시의 거리를 되도록 같게 하여 기계적 오차나 그 밖의 오차를 없애도록 노력하여야 하고 반드시 왕복측량을 하여 두 측정값의 차가 허용오차를 넘을 때에는 다시 측량을 하여야 한다. 이때 돌아오는 노선은 서로 다른 경로를 택하는 것이 좋다.
⑥ 기계를 운반할 때에는 어깨에 미지말고 고정 나사를 가볍게 잠근 후 기계축을 대략 연직하게 하고 운반한다.
⑦ 야장을 기입할 때는 착오를 일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수준측량의 오차
수준측량에서 오차가 허용범위 안에 있을 때에는 각 측점에다 오차를 조정하는데 오차를 라 할때 각 점의 조정량 는
= ×출발점부터 그 점까지의 거리
노선의 전 거리
(1)오차의 원인과 소거법
① 기계의 조정 불완전으로 인한 오차
망원경의 시준축과 수준기축이 평행하지 못하여 생기는 오차
소거법: B.S F.S의 거리를 같게 한다.
② 시차에 의한 오차
시준선에대한 눈의 위치에 따라 표척의 읽음이 변하는 오차
소거법: 접안경을 조절하여 십자선을 선명하게 하고 목표가 명확히 보이도록 대물경을 조절한다.
③ 표척의 눈금 부정확으로 인한 오차
소거법: 기준척과 비교하여 보정
값을 정하여 놓고 결과를 보정한다.
④표척의 기울기에 의한 오차
⑤기계 및 표척의 침하에 의한 오차
[5] 측량 결과 (단위: m)
측점
후시
전시
승(+)
강(-)
지반고
IP
TP
BM
1.929
500
A
1.428
0.501
500.501
B
1.413
1.278
0.651
500.651
C
1.425
0.012
500.639
D
1.217
1.315
0.098
500.749
E
1.446
0.229
500.52
F
0.247
2.794
1.577
499.172
G
1.488
1.241
497.931
H
2.83
1.48
1.233
497.939
I
1.739
1.091
499.03
J
1.586
0.265
2.565
500.504
K
1.411
0.175
500.679
L
0.046
1.519
0.067
500.571
M
2.026
1.98
498.591
N
0.421
2.407
2.361
498.21
O
0.926
0.505
497.705
P
2.497
0.676
0.255
497.955
Q
1.873
0.624
498.579
R
2.087
1.565
0.932
498.887
S
1.626
0.461
499.348
T(BM)
1.041
1.046
499.933

14.273
15.388
14.34
5.359
5.426
후시+전시:-0.067
승-강:-0.067
최종-최초:-0.067
[6] 고찰
- 이번 측량은 레벨을 이용한 본관 주변에 있는 잔디밭 주변을 수준측량을 하여 고저차에 대한 정밀도를 검토 하는 것이었다. 우선은 이번 측량실습시간에도 첫 번째 측량실습시간과 마찬가지로 조원들에게 각각의 역할을 분배 하였다. 조가 많은 관계로 대다수의 조가 모여 있는 곳이 아닌 다른 모서리에서 시작점을 정하고, 일정한 구간거리씩 재어 가면서 중간 중간에 자동레벨을 설치해서, 측량을 실시하였다. 우선은 문제가
  • 가격13,86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6.04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8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