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운론 [변동규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음운론 [변동규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변동의 규칙
1.1. 변동의 성격
1.2. 가로(통합)체계의 제약성으로 일어나는 변동
1.3. 발음의 편의로 일어나는 변동
1.4. 표현을 똑똑하게 하려는 데서 일어나는 변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둘째, 음운은 음성에 비하면 ‘참된 있음‘ 이라 할 만한데 음운표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음성표기로 이끌어 내게 되면 ’참된 있음’을 없애는 결과가 나온다.
셋째, 형태소 표기 자체가 그 대표 형태를 음운으로 적은 것이라 할지 모르나 「ㅅ , ㅂ 」벗어난 풀이씨에서 그 기본 형태를 {도ㅸ}으로 정한다면 이것은 음운의 표기가 아니다. 「ㅸ」은 현대 국어의 음운 목록- 머리 속에 갈무리된 소리의 목록-에는 없는 가상적인 소리의 기호이다.
넷째, 그 변이 모습이 다르다. 음운 규칙의 경우 ’/ s / →[]‘으로의 실현은 음소에서 변이음으로 바뀐 것이고 변동 규칙의 경우 ’/ㄷ/→/ㅈ/‘으로의 실현은 음소에서 다른 음소로 바뀐 것이다. 한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뀐 변동규칙은 우리의 의식에 직각적으로 떠오르지만 한 음소 안의 변이인 음운규칙은 그렇지 못하다. 이러한 두 규칙의 본질상의 다름은 매우 중요하다.
<기술상의 태도>
첫째, ‘입천장소리되기‘ 규칙은 두 쪽에 다 설정한다.
둘째, 세 단계의 표기 체계를 확립시킨다. (이 경우, 합류변이음 끌어 들일 필요 없음.)
{형태소}→/음소/(변이형태)→[음성]
{입, 잎} → / ip / → [ip]
<규칙의 차례>
한 형태소에 몇 가지의 변동 규칙이 적용되어 변이 형태를 이끌어 낼 때, 그 규칙들은 차례를 지켜 적용되어야 한다.
- {값}에서「감(-만)」을 이끌어 낼 때에 ‘겹받침 줄이기‘ 적용 후에 ‘콧소리되기’ 적용.
- {값} →「갑(-만)」→「감(-만)」
* 만약 콧소리되기를 먼저 적용하면 /*kapn-/으로 이끌러 나오게 됨.
-「합리」에도 두 가지 규칙이 적용.
‘ㄹ 의 ㄴ 되기‘ 적용 후에 ’콧소리 되기‘를 적용함. 「합리」→「합니」→ /함니/
<필연과 임의>
형태소의 변동은 말할이의 의도가 개입 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필연적인 것과 임의적인 것으로 나뉜다.
- 약한 터짐소리(/ㄱ, ㄷ, ㅂ /)가 콧소리 앞에서 콧소리로 나는 것은 필연적인 현상
- 「신문」을/ ㅅ l ㅁ ㅁ ㅜ ㄴ /으로 내는 것은 임의적인 현상
<보편과 한정>
변동의 규칙에는 어떤 형태소에도 적용되는 보편적인 것이 있고 국한된 범위 안의 형태소에 한해서 일어나는 한정적인 것이 있다.
- /ㄱ , ㄷ , ㅂ /가 콧소리 앞에서 콧소리가 되는 것, / ㄴ/가 / ㅁ/앞에서 / ㅁ/가 되 는 것은 보편적이다.
-「듣-」의 끝소리 / ㄷ /은 홑소리 사이에서는 / ㄹ /로 바뀌는데. 이 현상은 「듣-, 싣-, 묻-, 긷-, 걷-…」따위의 한정된 형태소에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한정적이다.
<변동의 종류>
변동은 그 원인에 따라
첫째, 음소의 가로의 체계의 제약성에 의한 것.
둘째, 발음의 편의를 위한 자연적인 경향에 말미암은 것.
셋째. 말의 청취 효과를 똑똑히 하려는 데서 일어나는 것.
으로 나눌 수 있다.
1.2. 가로(통합)체계의 제약성으로 일어나는 변동
(가) 음절 짜임새 맞추기
닿소리로 끝나는 형태소의 원형 다음에 홀소리가 올 때는 이 끝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이어진다. 음절의 끝소리는 일곱 개 이므로 한 형태소의 끝의 닿소리가 일곱이 아닐 때에는 그것은 자리를 옮기거나, 하나가 없어지거나, 끝소리 일곱 중의 하나로 바뀌는데 이것을 ‘음절 짜임새 맞추기’라 한다.
1) 소리 이음
형태소의 경계와 음절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을 때 앞의 형태소의 끝닿소리는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되어 음절의 짜임새에 맞도록 조정된다. (일반적으로 닿소리는 첫소리 자리에 올 때 가장 자연스럽고, 홀소리는 닿소리 뒤에 올 때 가장 자연스럽다. 그러므로 국어에서 앞 형태소의 끝닿소리는 홀소리로 시작하는 형식형태소가 뒤따를 때 뒤 형태소의 첫소리가 된다.)
예) 먹이 → 머기, 옷을 → 오슬, 없으며 → 업스며
[먹이]의 형태소의 경계는 [먹*이]에 있다. 이것은 CVC*V로서 음절 짜임새에 맞지 않으므로 CV*CV로 조절한 것이다.
이 규칙은 두 휴식 사이에서 적용됨이 원칙이나, 말이 빨라지면 휴식의 경계가 허물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용의 범위는 유동적이다. 「할# 일」사이에 휴식을 두면 이음이 적용되지 않아 [hal # il]로 발음되지만 휴실을 허물면 /halil/ → [haril]이 된다.
2) /ㅎ/ 끝소리 자리 바꾸기
/ ㅎ /끝소리 다음에 거센 짝이 있는 약한 소리가 따르면 서로 자리를 바꾼다. 이 규칙은 겹받침 줄이기에 앞서며 다음에는 ‘거센소리 되기’ 규칙이 바로 적용되어야 한다.
예) 놓다 →/ㄴㅗㄷㅎㅏ/ (→노타), 놓고. 놓지……
많다 →/ㅁㅏㄴㄷ ㅎㅏ/ (→만타)
꿇고 →/ㄲㅜㄹㄱㅎㅗ/ (→꿀코)
3) 겹받침 줄이기
국어에는 /ㄳ, ㄵ, ㄼ, ㄽ, ㄾ, ㅄ, ㄺ, ㄻ, ㄿ, ㄶ, ㅭ/의 11개의 겹받침이 있다. 겹받침의 둘째 닿소리는 끝소리 자리에서 없어진다. 다만 없어진 뒤에 뒷소리에 대한 ‘울림소리 되기’의 음운 규칙은 적용되지 않으며 /ㄹ/와, 그와 다른 자리에서 나는 닿소리가 어울린 것은 앞의 /ㄹ/가 없어지는 것이 원칙이다.
이 규칙은 ‘ㅎ 끝소리 자리 바꾸기’에 뒤따른다.「많다」→ 「만다」(x)
예) 값 → /ㄱㅏㅂ/, 넋, 곬
없다, 앉다, 핥다, 훑다
「값어치, 값없다, 넋없다」「갑서치, 갑섭다, 넉섭다」(x) → 소리 이음 규칙 전에 형태소의 경계에 음절의 경계를 미리 두어 「갑+어치, 갑+업다, 넉+업다」로 만들고 난 뒤에 음절의 경계를 없애고 소리이음을 적용하여 「가버치, 가법다, 너겁다」로 이끌어야 한다.
4) 일곱 끝소리 되기
어떤 음절이 닿소리로 끝날 경우 끝소리가 일곱 끝소리 / ㄱ, ㄴ, ㄷ, ㄹ, ㅁ, ㅂ, ㅇ /가운데 들지 않는다면 끝소리 자리에서 나는 장애음은 같은 자리의 약한 터짐소리로 중화된다. 입술소리 /ㅂ, ㅍ/은 끝소리 자리에서 /ㅂ/으로, 혀끝소리 /ㄷ, ㅌ, ㅅ, ㅆ /과 센입천장소리 /ㅈ, ㅊ/은 /ㄷ/으로, 여린 입천장소리 /ㄱ, ㅋ, ㄲ/은 /ㄱ/으로 실현된다. /ㅎ/은 혀끝으로 서열을 옮긴다. /ㅎ/끝소리 자리 바꾸기(「읊다」→「읖다」→「읍다」 )와 겹받침 줄이기에 뒤 따른다.
예) 부엌[부억], 밖[박] / ㅋ, ㄲ/ → / ㄱ /
밭[받], 낮다[낟따], 옷[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6.3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4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