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 [sci]척수손상 임상보고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 [sci]척수손상 임상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ial blood gases 검사결과의 이해
⑦ 흉부 X-선 검사 등이 포함된다.
D.합병증
환자가 엽lobe, 분절segment의 허탈collapse을 동반하고, 분비물이 정체되는 등 호흡계 합병증이 있으면 물리치료의 방법도 바꾸고 치료횟수도 늘려야 한다. 폐에 분비물이 고여 있을 때는 그 부위를 염두에 두고 체위배액법postural drainage을 해야 한다. 체위배액법을 하는 동안에는 경추의 견인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골절이 있는 부위는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객담을 말초기도에서 주기도 main airway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경타percussion, 진동vibration, 강하게 흔들기shaking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노력성 호기를 계속하면 가래를 뱉어낼 수가 있다. 가끔 손상초기의 환자가 상기도에서 객담을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때는 비인두흡인술 naso-pharyngeal suction이 필요하다.
E. 척수손상이 교감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척수손상 초기에는 대개 일시적으로 교감신경계의 마비가 생긴다. 인두흡인술pharyngeal suction을 하면 부교감신경 즉, 미주 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서맥(bradycardia : 맥박이 1분간에 60이하)이, 더 심하면 심박동정지cardiac arrest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Frankel 등,1975). 가능하면 흡인카테터의 직경이 기도의 직경 보다 이상되거나 흡인카테터가 기도내에서 머 무는 시간이 15초를 넘으면 안된다.
F. 간헐적 양압호흡법
간헐적 양압호흡법은 척수손상 환자에게 예방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객담정 체(sputum retention)와 기도허탈(airway collapse)을 치료하려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간헐적 양압호흡을 하여 작은 기도가 막힌 것을 뚫어주고 기도 허탈 을 감소시키며,환기(ventilation)/관류(perfusion)비(ratio)를 증진시키는 것이다. 또한 척수 손상 환자들은 호기 근육의 기능이 손상되었으므로 양압호흡을 한 후에 숨을 깊게 들이 쉬고 갑자기 내쉬면 기침을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다. 간헐적 양압 호흡법에 의하여 숨을 들이쉬는 것이 증진되면 폐의 탄성복원력(elastic recoil)도 증가된다. 따라서 숨을 내쉬는 흐름(expiratory flow)도 증가되고 폐에 있는 분비물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G.횡격막 운동 보조 조절기 Diaphragmatic Pacing
횡격막운동 보조조절기는 횡격신경의 하위운동뉴런에 손상이 없고 척수의 C3,C4,C5절 segment에 있는 세포체 cell body가 살아있을 때 마비된 횡격막을 전기로 자극하는 것이다. 호흡중추에 이상이 있는 환자나, 제3경수 cevical cord 이상의 척수손상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한다. 휴대가 간편한 반면에 삽입수술을 해야하며, 보통 척수손상후 2~3개월 후에 시행한다. 횡격막의 움직임은 촉진 palpation, X-선검사 , 그리고 초음파 촬영으로 알 수 있다.
H.호흡근육의 훈련 Respiratory Muscle Training
근수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단거리 달리기나 역도와 같이 갑작스러운 것이고, 둘째는 장거리 달리기와 같이 지속적인 것이다. 호흡에서 갑작스러운 근수축의 예 는 기침이다. 기침을 하기 위해서는 큰 저항을 주면서 적은 반복을 한다. 지속적인 운동은 피로로 인하여 생기는 호흡부전respiratory failure을 예방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지속적인 운동에서는 작은 저항과 많은 반복 횟수가 특징이다.
횡격막의 근력강화 훈련은 척수손상환자뿐만 아니라 폐활량이 낮은 환자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다. 경수cervical cord 손상환자는 물론이고 하부요추부위를 손상받은 환자들도 오랫 동안 누워 있었다면 폐활량이 줄게되므로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횡격막 근력강화훈련을 하 면 도움이 된다. 횡격막의 근력강화를 위해서 저항운동을 하려면 횡격막의 근력이 F+는 되 어야 한다.
횡격막의 근력강화 방법에는 명치아래 부분 epigastric area에 저항을 증가시켜 나가는 방 법이 있다. 치료시간은 매일 약 15분 정도이며 점차적으로 무게를 증가시킨다. 횡격막에 신 경학적인 이상이 없는 환자라면 처음의 무게를 5 Ib로 놓고 시작한다. 환자는 누운 자세에 있어야 하며, 무게를 올려놓고 숨을 들여마셨을 때 명치아래 부분이 완전히 올라올 수 있 는 정도면 적당한 무게라고 할 수 있다.
운동을 하는 동안에 흉쇄유돌근을 사용하던지 호흡패턴이 변화하면 무게를 감소시켜야 한 다. 다른 방법으로는 외부에서 다른 사람의 손으로 명치아래 부분에 저항을 주는 방법과 머리부분을 낮추고 다리 부분을 올리는 방법이 있다. 15도 정도 머리를 낮추면 10pound의 무게를 명치아래 부분에 놓은 것과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발적 폐량계를 이용 하는 방범도 있다. 유발적 폐량계를 사용하면, 숨을 들이쉴 때,가벼운 공이 플라스틱관안 에서 떠오른다든지, 불빛이 변한다든지, 지시계dial의 눈금을 변화시켜서 시각적인 피드백 을 환자에게 줄 수 있다. 유발적 폐량계를 사용하면, 폐포의 허탈을 방지할 수 있고, 기침 을 유발하며, 약화된 호흡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1회 연습할 때, 8회내지 10회를 실시 하며 이러한 과정을 하루에 4차례 시행한다. 유발적 폐량계를 이용하여 호흡운동을 하는 요령을 알아보자. 먼저 누운 자세에서 상체를10내지 15도 정도 굴곡시켜서 복부에 있는 내용물의 저항을 제거한다. 자세를 잡고 4회정도 숨을 들이쉬고 내쉰 다음, 세번까지는 정 상적으로 내보내고 네번째에서 끝까지 내쉰 다음 유발적 폐량계의 입구에 입을 댄다. 그 리고 최대한 숨을 들이 마시면 된다.
I.설인 호흡법
경수에 손상을 당하여 폐활량이 심하게 줄어든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으로 약 1000cc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런 환자들은 주로 호흡기에 의존하여 호흡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 나 잠시동안이라도 호흡기에 의존하지 않고 호흡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 방법을 가르 쳐준다. 개구리가 혀를 이용하여 공기나 먹이를 입안으로
  • 가격2,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7.06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