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조금 큰 것 같다.
위와 같이 실험을 구성하고, 각각의 좌표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마이너스를 감안해 주어 전장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2) 이를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위의 회로와 합성해 보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자기평가> 원형 전극쌍에서의 전장의 형태는 위와 같다. 위의 그림에서 source를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의 알짜 전기선속은 0 이 됨을 볼 수 있다. 폐곡선 안으로 들어오는 전기력선만큼 밖으로 나감을 확인할 수 있고, source를 포함하는 폐곡선을 그리면 알짜 전기선속은 0 이 아니다. 그 이유는 앞의 실험에서 설명했듯이, 의 가우스법칙을 항상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위의 전장의 분포를 보면, 좌우 대칭이므로 실제 측정시 오른쪽 편만 측정하여, 오른쪽 부분의 측정값의 마이너스값을 취해주면 좌측편의 정보를 실제로 측정하지 않고도 알 수 있다.
많은 측정점을 잡았고, 각각의 전압을 측정할 때, 실수를 하지 않았기에 매우 보기좋게 전장이 잘 측정된 것 같다.
실험 C. 동심원형 전극쌍에서의 전장, 전기력선
1) 앞의 실험 과정을 그대로 반복한다. 단지 동심원형 전극쌍을 배치한 텔레델토스 종이만 대체한다. 두 전극사이에 20V를 인가하고 가운데 점을 원점으로 잡고, 각각의 좌표에서의 x축 방향으로의 전압과 Y축 방향으로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들 전압은 앞서 설명했듯이, 단위 길이당 전압이 되므로 의 값과 같기 때문에 측정된 전압에 마이너스값만 취해주면 전장이 된다. 즉, 을 각각의 방향으로의 단위길이당 전압을 측정하여 전기력선을 측정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것이다.
2) 측정한 전압으로부터 구한 전장을 동심원형의 회로구성도 위에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합성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자기평가> 동심원형 전극쌍의 구조일 경우, 전기력선은 위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다. 전압이 높은 곳에서 전압이 낮은 곳으로 전기력선이 뻗어 나감을 볼 수 있다.
각각의 구조에서 전압을 인가해 주었을 때, 전장의 형성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늘상 책에서만 보던 모습들을 실제로 측정하여 가시화하여 보니 여러 가지 면에서 의미 있는 실험이 된 것 같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전장이 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최대로 변화할 수 있는 경로로 형성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고, source를 포함하는 폐곡선과 source를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을 잡았을 때, 알짜 전기선속이 어떻게 되는지 등등을 배웠다.
위와 같이 실험을 구성하고, 각각의 좌표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마이너스를 감안해 주어 전장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2) 이를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위의 회로와 합성해 보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자기평가> 원형 전극쌍에서의 전장의 형태는 위와 같다. 위의 그림에서 source를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의 알짜 전기선속은 0 이 됨을 볼 수 있다. 폐곡선 안으로 들어오는 전기력선만큼 밖으로 나감을 확인할 수 있고, source를 포함하는 폐곡선을 그리면 알짜 전기선속은 0 이 아니다. 그 이유는 앞의 실험에서 설명했듯이, 의 가우스법칙을 항상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위의 전장의 분포를 보면, 좌우 대칭이므로 실제 측정시 오른쪽 편만 측정하여, 오른쪽 부분의 측정값의 마이너스값을 취해주면 좌측편의 정보를 실제로 측정하지 않고도 알 수 있다.
많은 측정점을 잡았고, 각각의 전압을 측정할 때, 실수를 하지 않았기에 매우 보기좋게 전장이 잘 측정된 것 같다.
실험 C. 동심원형 전극쌍에서의 전장, 전기력선
1) 앞의 실험 과정을 그대로 반복한다. 단지 동심원형 전극쌍을 배치한 텔레델토스 종이만 대체한다. 두 전극사이에 20V를 인가하고 가운데 점을 원점으로 잡고, 각각의 좌표에서의 x축 방향으로의 전압과 Y축 방향으로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들 전압은 앞서 설명했듯이, 단위 길이당 전압이 되므로 의 값과 같기 때문에 측정된 전압에 마이너스값만 취해주면 전장이 된다. 즉, 을 각각의 방향으로의 단위길이당 전압을 측정하여 전기력선을 측정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것이다.
2) 측정한 전압으로부터 구한 전장을 동심원형의 회로구성도 위에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합성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 및 자기평가> 동심원형 전극쌍의 구조일 경우, 전기력선은 위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다. 전압이 높은 곳에서 전압이 낮은 곳으로 전기력선이 뻗어 나감을 볼 수 있다.
각각의 구조에서 전압을 인가해 주었을 때, 전장의 형성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늘상 책에서만 보던 모습들을 실제로 측정하여 가시화하여 보니 여러 가지 면에서 의미 있는 실험이 된 것 같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전장이 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최대로 변화할 수 있는 경로로 형성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고, source를 포함하는 폐곡선과 source를 포함하지 않는 폐곡선을 잡았을 때, 알짜 전기선속이 어떻게 되는지 등등을 배웠다.
키워드
추천자료
물리학-열전도(heat conduction)
B. F. Skinner의 행동주의이론
철학과 물리학
근대음악학의 형성과정과 음악학의 시원
열펌프예비보고서
임금피크제에 관한 조사
열전도율 실험 결과보고서
한국민속 풍속과 점복신앙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완벽 요약본~
E=mc2 독후감
국가안보론 기말정리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설명
MOTOROLA’S 6 SIGMA - 모토로라 기업분석 및 6시그마전략,모토로라혁신전략,모토로라6시그마...
[무선통신기초] R(저항), L(인덕터),C(캐패시터) 그리고 RF, S파라미터.pptx
소개글